메뉴 건너뛰기

다른 빌딩·공사현장은 무사 '대조'
中국영 계열사 시공···결함 가능성
부동산업 경험 패통탄도 문제제기
해당업체 SNS서 관련 게시물 빛삭
지난 28일(현지시간) 미얀마에서 발생한 강진의 여파로 태국 방콕에서 건설 중이던 33층 빌딩이 무너져내리고 있다./AFP연합뉴스

[서울경제]

미얀마 강진으로 태국 방콕에서 건설 중이던 33층 빌딩이 무너져내린 참사와 관련해 태국 정부가 시공사인 중국 국영기업 계열 건설회사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 해당 회사는 소셜미디어에 건물 완공과 관련해 올렸던 게시물을 붕괴 사고 직후 삭제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진 발생 장소에서 1000㎞ 이상 떨어진 방콕에서 다른 기존 건물이나 공사 현장은 인명피해가 없었는데 유독 이 건물만 붕괴했기 때문이다.

30일(현지시간) 방콕포스트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전날 내무부 산하 공공사업·도시농촌계획국에 전문가 위원회를 구성해 이번 사고를 철저히 조사해 1주일 안에 조사 결과를 보고하라고 지시했다.

패통탄 총리는 방콕 시내 수많은 건물과 공사 현장 중 무너진 곳은 이 건물뿐이며 대다수 건물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정계 입문 전까지 친나왓 일가의 부동산 사업을 관리한 그는 “건물 붕괴를 여러 각도에서 담은 많은 영상을 봤다”며 “내 건설업계 경험상 이런 문제는 본 적이 없다”고도 강조했다. 이어 “(건설) 예산의 상당 부분이 배정됐고 완공 기한이 연장되었기 때문에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말했다.

패통탄 총리는 위원회에 건물 설계, 설계 승인 기관, 승인 방법 등을 조사하고 붕괴 요인을 밝혀낼 것을 주문했다.

앞서 지난 28일 미얀마 중부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으로 방콕 명소 짜뚜짝 시장 인근에 건설 중이던 33층 높이의 태국 감사원 청사 건물이 완전히 무너졌다. 이 사고로 지금까지 10명이 숨졌고 79명이 실종된 상태다.

이 건물은 지난 3년간 20억 밧(약 867억원) 이상의 예산을 들여 공사를 진행해 왔다. 공사를 맡은 곳은 중국 거대 국영기업인 중국철로총공사(CREC) 계열 건설회사인 ‘중철10국’의 태국 현지 합작법인과 ‘이탈리안·태국 개발’이다.

영국 일간 텔레그래프는 일부 전문가를 인용해 빌딩이 대들보 등 지지 구조물 없이 수직 기둥에 바닥 슬래브가 곧바로 연결된 무량판 구조인 점을 지적했다. 방콕의 부드러운 토양까지 더해져 지진 때 땅의 진동이 증폭됐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미 지난해 3월 말 건물의 구조물 뼈대 공사가 끝났는데도 이곳만 붕괴한 것은 설계 또는 시공상 결함일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해 시공사인 중국 기업은 이 건물 프로젝트와 관련한 SNS 게시물을 붕괴 직후 서둘러 삭제해 중국 내에서도 ‘흔적 지우기’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중국 매체 차이신과 일본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이 회사의 공식 계정에는 지난해 3월 말 기준 건물 골조 공사가 최상층까지 완성됐다는 게시물이 올라왔는데, 이번 지진 및 건물 붕괴 이후 이 게시물은 확인할 수 없는 상태가 됐다. 이와 관련한 기사들에는 “위기 관리의 모범이다”라고 비꼬거나 “앞으로 중국에 건설을 발주할 나라가 있겠느냐”고 질타하는 댓글이 잇따르고 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84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인수합병 추진” 랭크뉴스 2025.03.31
46683 ‘정산 지연’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 랭크뉴스 2025.03.31
46682 기약 없는 탄핵심판…시민단체, 헌법재판관 ‘직무유기’ 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681 2월 전국 '악성 미분양' 2만3722가구…전월 比 3.7%↑ 랭크뉴스 2025.03.31
46680 이재명 "尹 복귀시 5·18과 비교할 수 없는 혼란과 유혈사태" 랭크뉴스 2025.03.31
46679 北, 소년단지도원 대강습 첫 개최…북한판 'MZ' 길들이기 관측 랭크뉴스 2025.03.31
46678 [단독] 최여진, '돌싱' 예비신랑과 6월 1일 결혼 랭크뉴스 2025.03.31
46677 "尹 지키는 게 자유대한민국 수호"... '용현이형 응원떡' 돌린 김용현 랭크뉴스 2025.03.31
46676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 랭크뉴스 2025.03.31
46675 박찬대 "윤석열" 권성동 "윤석열? 우리도 이재명이라고 할까" 랭크뉴스 2025.03.31
46674 이재명 "尹 복귀는 제2의 계엄 의미…韓·崔 책임 물어야" 랭크뉴스 2025.03.31
46673 영국 명문 '위컴 애비' 분교, 인천 미단시티에 들어선다…우선협상자 선정 랭크뉴스 2025.03.31
46672 이재명 "尹 복귀 시 광주 5·18과 비교할 수 없는 혼란과 유혈사태" 랭크뉴스 2025.03.31
46671 발란, 결국 기업회생 신청…“회생인가 전 M&A 목표” 랭크뉴스 2025.03.31
46670 ‘마은혁 임명’ 여야 충돌 격화…추경 기싸움도 가열 랭크뉴스 2025.03.31
46669 권성동 또 색깔론 “마은혁은 법복 입은 좌파 활동가” 랭크뉴스 2025.03.31
46668 “한국 인구 4% 수준으로 준다”… 머스크 인류 최대 위기로 저출산 언급 랭크뉴스 2025.03.31
46667 이재명 "한덕수∙최상목 용서 안돼… 중대 헌법 위반 책임 물어야" 랭크뉴스 2025.03.31
46666 ‘삼쩜삼’은 수수료 있어요···국세청 ‘원클릭’은 무료로 종합소득세 환급 랭크뉴스 2025.03.31
46665 '꼼꼼하고 신중하게' 외치더니... 권영세 "헌재, 이제 조속히 결단해야"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