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아이를 홀로 키우는 한부모 가족은 한 달에 평균 58만 원을 양육비로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여성가족부는 지난해 3~12월 전국 한부모가족 가구주 3,31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2024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결과를 오늘(30일) 발표했습니다.

●'한부모 양육비 지출' 첫 조사…가장 큰 어려움은 ‘양육비 부담’


한부모 가족은 자녀의 양육비에 한 달 평균 58만 2천 5백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연령별로는 미취학 자녀의 경우 월 46만 천 원, 초등생과 중등 이상 자녀에는 매달 각각 50만 5천 원과 66만 천 원의 양육비가 드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한부모 가족의 자녀 양육비 조사 결과가 발표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가장 큰 어려움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 한부모들은 자녀의 연령대와 관계 없이 '양육비‧교육비 부담'을 가장 많이 꼽았습니다.

하지만 전체 한부모의 71.3%는 이혼 상대 등으로부터 양육비를 한 푼도 받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법적 채권' 여부에 따라 양육비 지급 비율 큰 차이


조사 대상자의 33.3%는 법적으로 결정된 양육비 채권(정기지급·일시지급 포함)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지난 2021년 조사 당시(21.3%)보다 10% 이상 늘어난 수치입니다.

양육비의 실제 지급 여부는 법적 채권 유무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습니다.

법적 양육비 채권이 있는 이혼·미혼 한부모 10명 중 8명은 양육비를 받았고, 평균 지급 금액은 78.6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면 법적 양육비 채권이 없는 한부모 중에서는 2.6%만 양육비를 지급받았고, 평균 지급 금액은 27.1만 원이었습니다.

한부모들은 양육비 이행 확보를 위해 '양육비 긴급 지원 확대 및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71%)이 가장 시급하다고 꼽았고, '제재조치 강화'(17.5%)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정부 지원 받는 한부모 12년 만에 두 배로…"현금 지원 필요"


정부의 양육비 지원을 받는 한부모 가족의 비율은 65.9%로, 2012년(30.4%)과 비교해 두 배 이상 늘었습니다.

여가부는 지원 대상의 소득기준을 계속해서 완화하고, 지원 자녀 연령도 12세 미만에서 22세 미만까지로 확대하는 등 정부가 한부모 가족 지원 정책을 적극 추진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습니다.

한부모 가족에게 가장 필요한 정책 지원은 '생계비·양육비 등 현금 지원'(66.9%)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주거 지원(12.9%)과 아이돌봄 서비스 지원(6.3%), 의료 지원(5.7%) 순이었습니다.

한부모의 평균 연령은 2021년 조사 결과와 같은 43.6세로, 대다수(84.2%)가 이혼 한부모였고 평균 1.5명의 자녀를 키우고 있었습니다.

가구 구성은 어머니가 아이를 혼자 키우거나 모자와 다른 세대원이 함께 거주하는 '모자 중심 가구'가 68.7%로 가장 많았는데, 이러한 가족 구성 형태는 2018년(65.5%)부터 계속해서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부모 가족의 월 평균 소득은 294.6만 원으로, 2021년보다 49만 원 올랐지만 여전히 전체 가구 소득 대비 60% 수준이었습니다.

금융자산, 부동산, 부채를 포함한 순자산액은 평균 1억 1,568만 원으로, 전체 가구 순자산액의 25% 수준이었습니다.

신영숙 여성가족부 차관은 "이번 조사로 한부모 가구의 어려움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면서 "오는 7월 시행을 앞둔 '양육비 선지급' 제도를 비롯한 관련 정책을 세심히 살피고 필요한 지원을 지속해서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60 野, 마은혁 자동임명법 상정…대통령 몫 헌재 임명권 제한 나서 랭크뉴스 2025.03.31
46759 권성동 "野, 韓탄핵 돌입시 정부와 문형배·이미선 후임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58 김혜수가 광고하던 발란은 어쩌다 ‘제2의 티메프’가 됐나 랭크뉴스 2025.03.31
46757 "9년간 고통스러운 시간"… '성폭행 혐의' 장제원 고소인, 동영상·감정 결과 증거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756 가좌역 선로에 물 고여 경의중앙선 DMC∼공덕 5시간째 운행중지(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755 국회 운영위,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임명촉구 결의안 가결…여당 불참 랭크뉴스 2025.03.31
46754 헌법재판소 “마은혁 미임명은 위헌…헌법절차 작동돼야” 랭크뉴스 2025.03.31
46753 [속보] 권성동 "野, 韓탄핵 돌입시 정부와 문형배·이미선 후임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52 헌재 사무처장 "尹사건 신중 검토…재판관 임기연장 입장 없다" 랭크뉴스 2025.03.31
46751 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내란=위헌 판단이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1
46750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공매도 여파에 상호관세 경계감이 키운 환율 [김혜란의 FX] 랭크뉴스 2025.03.31
46749 벌써 딥시크 '짝퉁' 논란…쏟아지는 유사상표에 '화들짝' 랭크뉴스 2025.03.31
46748 [속보] 김승연 한화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아들에 증여 랭크뉴스 2025.03.31
46747 "尹 사건 젤 먼저 한댔잖아요!" 묻자 헌재 관계자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3.31
46746 윤건영 “검찰, 윤석열 구속취소 전후 문재인 전 대통령에 2차례 소환 요구” 랭크뉴스 2025.03.31
46745 첫 위헌 심판대 오른 ‘중대재해법’…노동계 “노동자 안전 외면” 랭크뉴스 2025.03.31
46744 창원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 피해 여성 끝내 숨져 랭크뉴스 2025.03.31
46743 권성동 "野, 韓탄핵안 발의시 문형배·이미선 후임 지명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42 조국혁신당, ‘민주당·김어준 내란죄 고발’ 국민의힘 주진우 무고죄로 맞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741 “이 판단이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향해 일갈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