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삼성전자, 초연결 ‘비스포크 AI’ 2025년형 신제품 공개
삼성전자가 지난 28일 진행된 '웰컴 투 비스포크 AI' 제품 체험 행사에서 AI 가전 신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였다. 각 가전 제품마다 터치 스크린이 탑재된 게 눈에 띈다. 사진 삼성전자
#주방에서 요리하다가 냉장고를 향해 “건조기 아직도 돌아가고 있어?”라고 묻자, 냉장고 스크린에 알림 메시지가 뜨고 “건조 완료 10분 전입니다”라는 음성이 흘러나왔다. 이어 “다 끝나면 건조기 문 열고, 거실 청소도 시작해”라고 말하니 곧바로 세탁실 건조기에 ‘자동 문 열림’ 기능이 설정됐다. 거실에 있던 로봇청소기도 동시에 작동을 시작했다.

지난 28일 삼성전자가 공개한 2025년형 인공지능(AI) 가전으로 누릴 수 있는 일상의 모습이다. 이날 삼성전자는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를 열고 2025년형 가전 신제품을 공개했다.



AI 가전에 스며든 터치스크린·음성 제어
지난 28일 서울 광진구에서 열린 '삼성전자 웰컴 투 비스포크 AI' 제품 체험 행사에서 모델들이 AI 가전 신제품과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사진 삼성전자

냉장고, 세탁기, 인덕션, 오븐 등 주요 가전의 올해 신제품에는 전면 터치 스크린이 탑재됐다. 문종승 삼성전자 생활가전(DA) 사업부 개발팀장(부사장)은 “스크린과 마이크, 스피커를 통해 고객들이 스마트폰처럼 터치와 음성만으로 가전제품을 쉽게 제어할 수 있도록 했다”며 “하드웨어 혁신을 넘어 기기 간 연결과 AI 기술로 편의성을 확대했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의 AI 음성비서 ‘빅스비’에는 가족 구성원의 목소리를 구분해 인식하는 ‘보이스 ID’ 기능을 추가했다. 빅스비가 탑재된 냉장고 앞에서 “빅스비, 내 폰 찾아줘”라고 말하면 휴대폰의 벨소리를 크게 울려 위치를 알려준다. 또 다른 가족 구성원이 같은 명령을 내릴 경우 빅스비가 목소리를 인식해 해당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내 폰 찾기’ 기능을 작동시키는 식이다.



로봇청소기 보안 강화
지난 28일 삼성전자 ‘웰컴 투 비스포크 AI(Welcome To Bespoke AI)’ 행사에서 선보인 2025년형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AI 스팀’의 모습. 이가람 기자
가전제품 본연의 성능도 한층 강화됐다. 지난해 출시 43일 만에 1만대가 팔려 화제를 모은 일체형 세탁건조기 ‘비스포크 AI 콤보’는 2025년형에서 열교환기 구조와 예열 기능을 개선했다. 쾌속 코스 기준으로 세탁부터 건조까지 79분 만에 끝낼 수 있다.

컴프레서(압축기)와 펠티어 소자의 두 가지 냉각 방식을 사용해 에너지 효율을 높인 ‘비스포크 AI 하이브리드’ 냉장고는 프리스탠드부터 키친핏까지 라인업을 확장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혔다.

청소기도 쓰기 더 편리해졌다. 로봇청소기 ‘비스포크 AI 스팀’은 액체 감지 센서를 탑재해 바닥에 흘린 액체를 로봇청소기가 피해 가거나 물걸레 기능으로 액체를 닦도록 설정해둘 수 있다. 물통과 오수통을 따로 관리할 필요 없는 자동 급·배수 방식도 적용됐다.

특히 중국산 로봇청소기에 대한 보안 우려가 커지면서 삼성전자는 AI 가전의 보안 성능을 주요 강점으로 내세웠다. 와이파이가 탑재된 모든 가전제품에는 ‘녹스 매트릭스’를 적용했다. 외부의 보안 위협이 감지되면 해당 기기의 연결을 차단하고 사용자에게 즉시 알림을 보낸다. 냉장고와 청소기 등 스크린이 탑재된 가전에는 민감한 데이터를 별도 보안 칩에 저장하는 ‘녹스 볼트’ 기술을 처음 적용해 보안 수준을 강화했다.



가전업계 생존전략 떠오른 ‘초연결’
삼성전자 DA사업부 개발팀장 문종승 부사장이 지난 28일 진행된 '웰컴 투 비스포크 AI' 행사에서 기술 전략과 비전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사진 삼성전자
AI로 가전과 가전을 연결하는 전략은 요즘 가전 업계의 최대 화두다. 특정 브랜드에서 여러 제품을 연계해 구매하도록 유도할 수 있어 소비자 락인(Lock-in)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삼성전자는 ‘스마트싱스’, LG전자는 ‘씽큐’ 등 자체 플랫폼을 중심으로 가전 간 연결성을 강화하고 있다. 하드웨어 기술력에서 빠르게 추격 중인 중국 업체들과의 차별화를 소프트웨어 경쟁력으로 극복하려는 전략이기도 하다.

삼성전자 문 개발팀장은 “과거에는 모터나 압축기 같은 아날로그 기술이 가전의 핵심이었다면 이제는 편의성을 제공하는 지능형 AI 기술이 중요해지고 있다”며 “AI 가전 시장의 성장 가능성은 갈수록 커지고 있는 만큼 올해 AI를 탑재한 가전제품의 출시를 3배 이상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39 [사설] 공매도 재개 첫날 요동친 시장, 글로벌 스탠더드로 가야 랭크뉴스 2025.04.01
46938 이재명 “윤석열 복귀는 제2계엄…국민 저항 유혈사태 감당하겠나” 랭크뉴스 2025.04.01
46937 2차전지·반도체 공매도 집중…SK하이닉스 등 28종목 한시 중단 랭크뉴스 2025.04.01
46936 헌재 사무처장 "마은혁 미임명은 위헌‥재판관 충원 바란다" 랭크뉴스 2025.04.01
46935 ‘들쭉날쭉’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증가’에도 ‘경기 회복’ 말 못 하는 사정 랭크뉴스 2025.04.01
46934 드라마 ‘가시나무새’ 주연 리처드 체임벌린 별세 랭크뉴스 2025.03.31
46933 ‘한덕수 최후통첩’ 하루 앞…야당 ‘마은혁 임명 촉구’ 단독 결의 랭크뉴스 2025.03.31
46932 의대 40곳 중 38곳 '전원 복귀'… 수업 거부 불씨는 남았다 랭크뉴스 2025.03.31
46931 이재명 “韓, 이래도 상법 거부권 쓸 거냐”며 든 총수 사례가… 랭크뉴스 2025.03.31
46930 [단독] 2년전 ‘판박이 산불’로 백서까지 내고도... 최악 산불 참사 못막았다 랭크뉴스 2025.03.31
46929 野, 마은혁 자동임명법 상정…'韓대행 임명방지법'도 발의 랭크뉴스 2025.03.31
46928 경의중앙선 DMC∼공덕 12시간째 멈춰…"출근시간 전 복구 총력" 랭크뉴스 2025.03.31
46927 '강남 마지막 판자촌' 구룡마을, 3800세대 단지 탈바꿈 랭크뉴스 2025.03.31
46926 김수현 "의혹 모두 거짓말" 폭로전 이제 법정 다툼으로 랭크뉴스 2025.03.31
46925 의대 40곳 중 38곳 '전원 복귀'…1년 만에 학사 정상화 목전 랭크뉴스 2025.03.31
46924 이재명 “韓, 이래도 거부권 쓸 거냐”며 든 총수 사례가… 랭크뉴스 2025.03.31
46923 초선들 불러 “국무위원 다 날리면”… 거야 좌지우지하는 김어준 랭크뉴스 2025.03.31
46922 이재명, 한화 경영승계 언급하며 “기어이 거부권 쓸 거냐” 랭크뉴스 2025.03.31
46921 미얀마 군부, 지진 사망자 수 급증 뒤 취재 제한…구조 활동은 허가 랭크뉴스 2025.03.31
46920 의대 40곳 중 38곳 ‘전원 복귀’…학사 정상화 목전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