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 경찰병력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면서 현장에 배치된 경찰 인력들의 번아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윤웅 기자

지난 20일 인터넷 커뮤니티와 소셜미디어(SNS)를 중심으로 ‘가짜 경찰’ 논란이 빠르게 확산했다. 한 경찰이 신분을 위조한 사실이 증명됐다는 소식이 일파만파 퍼지면서다. 당시 헌법재판소 앞 탄핵 반대 집회 참가자는 한 경찰에게 소속 및 이름을 끈질기게 물었고, 해당 경찰이 강원경찰청 제1기동대 소속 김○○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그러자 일부 시위대는 곧장 강원청 기동대에 전화해 “거기 김○○이 있느냐”고 따져 물었고, 이에 한 경찰이 “네, 제가 김○○입니다”라고 답했다. 이러한 상황이 담긴 영상은 실시간으로 퍼지면서 ‘신분을 속인 가짜 경찰들이 집회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다’는 주장에 불을 지폈다. 일각에서는 강원청에 동명이인 김○○이 있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나왔다.

강원청에 확인해보니 강원청 제1기동대에 김○○이라는 이름을 가진 경찰은 단 1명이었다. 강원청 관계자는 “당시 기동대 행정반에 ‘김○○이라는 경찰이 있는 게 맞느냐’는 전화가 실제 다수 걸려왔고, 이에 김○○이 현재 헌재 앞에서 파견 근무 중이라는 답변도 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 관련 영상에 대해서도 “시위대가 누구와 통화를 하고, 녹음했는지는 알 수 없지만 확실한 것은 제1기동대 직원 누구도 그런 통화를 한 사실이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이미 가짜 경찰 논란은 온라인상에서 기정사실처럼 여겨지고 있다. 이러한 의혹은 가짜 경찰들이 사실은 중국 국적의 경찰이고, 정체를 숨기기 위해서 다른 사람의 신원을 도용하고 있다는 주장까지 번지고 있다.

나아가 중국 경찰 채용 경로의 유력한 근거로 ‘통역요원 선발 제도’나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외국인 유학생 특별전형’, 지난해 경찰청이 중국과 맺은 ‘경찰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MOU)’을 드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경찰청 공식 홈페이지 자유게시판에는 지난 일주일간 “중국인 용역 경찰에 대한 의혹을 해명하라”는 글이 1000건 넘게 올라왔다.

지난 19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 경찰병력이 경계근무를 서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늦어지면서 현장에 배치된 경찰 인력들의 번아웃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윤웅 기자

경찰은 이 같은 의혹 제기가 황당하다는 입장이다. 현행법상 외국인은 경찰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국가공무원법 제26조는 대한민국 국적이 없는 사람은 경찰관으로 임용될 수 없다고 명시하고 있다. 또 만약 일반인이 경찰로 위장할 경우에는 공무원자격사칭죄로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할 수 있다.

경찰청 관계자는 “통역요원은 경찰이 아니고, 피의자나 피해자가 외국인일 때 수사관과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전문가들”이라며 “유학생 특별전형이나 MOU를 통해 외국인이 경찰로 위장해 활동할 수 있다는 것도 허무맹랑한 주장”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을 향한 불신이 커지면서 집회 현장의 경찰들은 고충을 호소하고 있다. 막무가내로 “중국 공안 경찰은 물러나라”고 말하거나 “시진핑을 욕해보라”는 요구를 받는 것은 예삿일이다. 한 경찰관은 “현장 경찰들이 ‘공안 경찰이냐’며 신분증 제시하라고 하거나 관등성명을 반복적으로 요구받고, 유튜버들에 의해 실시간으로 촬영 당하는 등 괴로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65 멕시코서 대규모 '불법 석유' 적발…소비가 300억원 규모 랭크뉴스 2025.04.01
46964 야 “임기 연장” 여 “후임 지명”…이번엔 문형배·이미선 대치 랭크뉴스 2025.04.01
46963 집 불탔는데…위약금 내라는 통신사 랭크뉴스 2025.04.01
46962 의대 40곳 중 38곳 ‘전원 복귀’…온라인 강의 시작 랭크뉴스 2025.04.01
46961 김승연 회장 지분 3형제에 증여…‘유상증자 논란’ 가라앉히기 랭크뉴스 2025.04.01
46960 한, 계속 버티면 ‘줄탄핵’ 이론상 가능…두 재판관 퇴임도 변수 랭크뉴스 2025.04.01
46959 ‘마은혁 임명’ 막은 채…‘문형배·이미선 후임’ 카드 꺼낸 국힘 랭크뉴스 2025.04.01
46958 “100년 동안 본 적 없는 참사”…미얀마 강진 사망 최소 2천명 랭크뉴스 2025.04.01
46957 선조들의 독립 의지를 되새기다… 독립기념관 찾은 해외동포 후손들 랭크뉴스 2025.04.01
46956 김승연, 지주사 지분 절반 세 아들 증여…“경영권 승계 완료” 랭크뉴스 2025.04.01
46955 뇌사 환자에 유전자 변형 '돼지 간' 이식했는데…믿을 수 없는 결과 나왔다 랭크뉴스 2025.04.01
46954 "광양항에 보관된 러 알루미늄 다량 출고 대기중" 랭크뉴스 2025.04.01
46953 마은혁은 두고 “문형배·이미선 후임 인선하라” 여당의 모순 랭크뉴스 2025.04.01
46952 사지마비 환자 뇌에 BCI 이식했더니… 18년 전 잃었던 목소리 찾았다 랭크뉴스 2025.04.01
46951 "방금 담배 피우셨죠? 4만원입니다"…길거리 간접흡연에 칼 뺀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4.01
46950 자산 증식에 몰두… ‘부동산 쇼핑’ 나선 디지털 업체들 랭크뉴스 2025.04.01
46949 [사설] 막가는 정치권의 압박…헌재는 尹 선고 더 미루지 말라 랭크뉴스 2025.04.01
46948 [Today’s PICK] 삼쩜삼 대신 원클릭 쓸까…국세청, 무료 환급서비스 랭크뉴스 2025.04.01
46947 "재판관 임명 지연하면 징역형"…민주당, 한덕수 압박법 또 발의 랭크뉴스 2025.04.01
46946 최상목, 미국 국채 2억원 매입 논란‥"경제 수장이 환율 급등에 베팅?"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