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온라인 명품 플랫폼 ‘발란’의 결제 서비스가 전면 중단됐다.

판매대금 정산 지연으로 논란을 빚고 있는 발란의 상품 구매·결제가 지난 28일 밤부터 모두 막혔다. 판매자들은 제2의 티메프(티몬+위메프) 미정산 사태가 벌어지는 것이 아닌 지 우려하고 있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신용카드사와 전자결제대행(PG)사가 발란과 관련한 서비스를 중단하고 철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발란의 자체 결제서비스인 발란페이도 멈춘 상태다. 현재 결제창에는 “모든 결제 수단 이용이 불가하다”는 안내문만 떠 있다.

발란 미정산 사태는 지난 24일 판매자들에게 지급하기로 했던 정산금이 지급되지 않으면서 시작됐다. 발란은 자체 재무점검 과정에서 정산금 과다지급 등의 오류가 발생해 정산 일정을 미뤘다면서 지난 28일까지 재개 일정을 재공지하겠다고 밝혔으나 결국 실행되지 않았다.

특히 최형록 발란 대표는 지난 28일 정산 지연에 대한 사과문에서 “이번 주 안에 실행안을 확정하고 다음 주에는 여러분(판매자)을 직접 찾아뵙고 그간의 경위와 향후 계획에 대해 투명하게 설명해 드릴 자리를 마련하겠다”고 해명했지만 통하지 않았다.

업계에서는 정산 지연 사태가 발란이 겪고 있는 유동성 위기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발란의 월평균 거래액은 300억원 안팎으로 입점업체는 1300여 개다. 미정산 규모는 수백억원대로 추정되고 있다. 대금을 받지 못한 판매자들은 발을 동동 구르고 있다. 한 판매자는 “지난해 티메프 대규모 미정산 사태에다 홈플러스 기습 기업회생절차 개시 등까지 도통 잠을 이룰 수가 없다”고 말했다.

2015년 설립된 발란은 2022년 한때 기업가치 3000억원까지 인정받았으나 수년간 판매 부진과 고객 이탈 등으로 어려움을 겪으며 최근 기업가치가 10분의 1인 300억원대로 추락했다. 2020∼2023년 4년간의 누적 영업손실액은 724억원에 달한다. 지난해에도 적지 않은 손실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손실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며 지난 2023년부터 완전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업계 관계자는 “거래가 침체한 상황에서 어떻게든 매출을 일으키려고 10% 초반대의 판매 수수료를 초과하는 20∼30% 할인쿠폰을 남발했고 결국 플랫폼의 총체적인 부실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발란 홈페이지 캡쳐


발란 로고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62 한화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 아들에 증여…경영권 승계 마무리 랭크뉴스 2025.03.31
46761 [속보]한화 김승연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 아들 증여…경영승계 완료 랭크뉴스 2025.03.31
46760 野, 마은혁 자동임명법 상정…대통령 몫 헌재 임명권 제한 나서 랭크뉴스 2025.03.31
46759 권성동 "野, 韓탄핵 돌입시 정부와 문형배·이미선 후임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58 김혜수가 광고하던 발란은 어쩌다 ‘제2의 티메프’가 됐나 랭크뉴스 2025.03.31
46757 "9년간 고통스러운 시간"… '성폭행 혐의' 장제원 고소인, 동영상·감정 결과 증거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756 가좌역 선로에 물 고여 경의중앙선 DMC∼공덕 5시간째 운행중지(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755 국회 운영위,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임명촉구 결의안 가결…여당 불참 랭크뉴스 2025.03.31
46754 헌법재판소 “마은혁 미임명은 위헌…헌법절차 작동돼야” 랭크뉴스 2025.03.31
46753 [속보] 권성동 "野, 韓탄핵 돌입시 정부와 문형배·이미선 후임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52 헌재 사무처장 "尹사건 신중 검토…재판관 임기연장 입장 없다" 랭크뉴스 2025.03.31
46751 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내란=위헌 판단이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1
46750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공매도 여파에 상호관세 경계감이 키운 환율 [김혜란의 FX] 랭크뉴스 2025.03.31
46749 벌써 딥시크 '짝퉁' 논란…쏟아지는 유사상표에 '화들짝' 랭크뉴스 2025.03.31
46748 [속보] 김승연 한화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아들에 증여 랭크뉴스 2025.03.31
46747 "尹 사건 젤 먼저 한댔잖아요!" 묻자 헌재 관계자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3.31
46746 윤건영 “검찰, 윤석열 구속취소 전후 문재인 전 대통령에 2차례 소환 요구” 랭크뉴스 2025.03.31
46745 첫 위헌 심판대 오른 ‘중대재해법’…노동계 “노동자 안전 외면” 랭크뉴스 2025.03.31
46744 창원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 피해 여성 끝내 숨져 랭크뉴스 2025.03.31
46743 권성동 "野, 韓탄핵안 발의시 문형배·이미선 후임 지명 협의"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