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동물단체 활동가와 산불 현장 동행 취재]
목줄 묶인 채 집주인 대피해 굶주린 채 고립
몸 곳곳서 피부 녹아 근육과 뼈 드러나 '신음'
강원 산불 때 4만 마리 사망 "이번엔 그 이상"
27일 경북 안동 임동면 박곡리에서 동물권단체 케어 소속 활동가가 굶주린 개들에게 사료를 주기 위해 사료 봉투를 뜯고 있다. 안동=허유정 기자


"잠깐, 방금 개 짖는 소리 들리지 않았어요?"

27일 오후 8시 경북 안동시 임동면 박곡리. 산불로 통신·전기가 끊겨 칠흑 같은 산골에서 동물권단체 '케어' 활동가 팽윤재(30)씨가 다급히 외쳤다. 팽씨가 입으로 "똑똑" 소리를 내자, 털이 까맣게 그을린 백구 여섯 마리가 언덕 아래 잿더미 틈에서 헐레벌떡 팽씨 곁으로 달려왔다. 개들은 살려 달라는 듯 연신 꼬리를 흔들더니 도로 위에 배를 내보이며 드러누웠다.

개들이 달려온 쪽으로 내려가니, 화마에 전소된 마을이 보였다. 마당에 있던 개집은 형체를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불길에 녹았고, 텅 빈 사료 그릇과 물그릇이 나뒹굴었다. 팽씨는 "(백구들이) 최소 2, 3일은 굶은 듯한데, 임신한 개도 있는 것 같다"며 사료 포대를 뜯었다. 허기진 개들이 달려든 5kg짜리 사료는 개봉 10분 만에 동났다.

이달 22일 의성군을 시작으로 경북 지역 산불이 급속도로 확산하자 동물 구호를 위해 케어 활동가 7명이 화마가 휩쓴 안동에 급파됐다. 한국일보는 27일 케어 활동가 팽씨와 이은영(52)씨를 따라 도움의 손길이 필요한 동물들을 찾았다. 2002년 설립된 케어는 24년째 화재 등 재난 상황에서 고통에 신음하는 동물들을 구조해왔다. 전날 현장에 도착한 활동가들은 하루 2시간 쪽잠을 자고 끼니를 거르면서 이틀간 산불로 다친 개 15마리를 구조했다. 이씨는 2019년 4월 강원 속초·고성 대형 산불에 이어 6년 만에 동물 구호에 나섰다. 그는 "남편이 이번엔 너무 위험하다고 강하게 만류했지만 가만히 있을 순 없었다"고 말했다.

목줄에 묶여 산불 못 피해

27일 경북 청송 진보면 괴정1리에서 동물권단체 케어 소속 활동가들이 산불로 화상을 입은 개 대풍이에게 먹이를 주고 있다. 청송=허유정 기자


특히, 산 속에서 가축은 화마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는 때가 많아 동물구조 활동가들이 세심하게 살필 수밖에 없다. 주인들이 황급히 대피하는 사이 목줄에 묶여 있거나 우리에 갇힌 소, 개, 닭 등은 불길을 피할 수도 없다.

이에 동물 구호가들은 위험을 무릅쓰고 산불 지역을 찾아 다닌다. 이들의 차량에는 목줄을 끊을 니퍼와 이동형 개집(켄넬), 구급약, 사료, 물이 늘 실려 있다. 이씨는 "2019년까진 동물을 풀어주고 대피한 주인이 10명에 1명꼴이었다면, 이번엔 10명 중에 5명 정도로 크게 늘었다"며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멀다"고 했다. 팽씨는 도망가지 못해 머리만 남고 새카맣게 타버린 강아지 사체 사진을 꺼내곤 "구조 다니면서 종종 보는 참혹한 장면"이라며 안타까워했다.

두 활동가는 불길이 덮친 집 마당에서 구조를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를 동물들을 찾아 다녔다. 마을에 들를 때마다 대여섯 채의 집을 구석구석 살폈다. 아직 화기(火氣)가 도는 안동 임동면과 청송 파천면 마을을 비롯해 마을 7군데를 수색했다.

동물구조 활동가들은 대피소에서 지내는 이재민들이 동물들을 돌볼 수 없는 처지라는 점도 헤아린다. 청송군 진보면 괴정1리에서 발견된 개(대풍이)의 상황도 그랬다. 대풍이는 몸통과 다리 곳곳의 피부가 녹아 근육과 뼈가 드러났고, 하얀 털은 불에 타서 짧게 잘리며 갈색으로 변한 상태로 발견됐다. 활동가들이 수소문 끝에 만난 대풍이 주인 채양자(59)씨는 "일 나간 사이 집이 타버려서 (목줄에 묶여 있던 대풍이를) 구하러 못 갔다"며 "대풍이가 다친 뒤로는 무서워서 집 근처에 얼씬도 안 하고, 상처가 아파 앉지도 눕지도 못하고 서 있기만 한다"고 안타까워했다. 채씨는 "대풍이를 잘 부탁한다"며 동물병원으로 이송되는 모습을 보며 눈물로 배웅했다.

27일 경북 청송 진보면 괴정1리에서 주인 채양자(오른쪽)씨가 산불로 화상을 입은 개 대풍이를 켄넬로 옮기려고 시도하고 있다. 청송=허유정 기자


"동물 재난 대비 시스템 갖춰야"



끔찍한 산불을 경험한 주민들은 재해 현장의 동물들도 방치돼선 안 된다고 지적한다. 민간 동물단체들에 따르면, 2명이 사망하고 11명이 다친 2019년 4월 강원 속초·고성 산불로 4만 마리 넘는 동물이 사망한 것으로 추산됐다. 이번 영남권 산불영향구역은 28일 오전 6시 기준 4만6,927㏊로, 강원 산불(2,872㏊)의 16배에 달하는 만큼 동물 피해도 상당히 클 것으로 예상된다. 박소연 케어 대표는 "동물 대피소가 생긴다면, 동물구조단체들이 일일이 찾아다닐 필요 없이 사료 등을 후원할 수 있다"며 "주인들이 동물을 어떻게 보호할지 숙지할 수 있도록 동물 재난 경보 및 긴급 의료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5352 한강불패…성수 전용 84㎡ 31억 신고가[집슐랭] 랭크뉴스 2025.04.08
45351 '피의자' 김건희 이제야 소환‥공천 개입 '의혹' 랭크뉴스 2025.04.08
45350 뉴욕증시, 기록적 롤러코스터 장세…나스닥 반등 마감(종합) 랭크뉴스 2025.04.08
45349 개헌 찬성하면 '수박'으로 찍힌다?... 민주당 의원들에 쏟아진 '개헌 문자폭탄' 랭크뉴스 2025.04.08
45348 입주한다던 공공주택 가보니 맨땅…수도권 공급 지연 ‘2만 호’ 랭크뉴스 2025.04.08
45347 MZ는 옷 어디서 살까… 승승장구 패션플랫폼 랭크뉴스 2025.04.08
45346 [단독]명태균, 산단 유치하려 창원시 통해 기업 압박했나···“수요율 400% 육박” 랭크뉴스 2025.04.08
45345 사흘 연속 폭락세 피했지만…‘가짜 뉴스’에 출렁 랭크뉴스 2025.04.08
45344 "주목할 만한 AI 모델, 한국은 1개뿐... 미국 40개·중국 15개" 랭크뉴스 2025.04.08
45343 열흘 뒤에 다시 마비되는 헌재... 재판관 공백 방치 언제까지 랭크뉴스 2025.04.08
45342 트럼프, 중국에 50% 추가 관세 경고…“다른 나라와는 즉시 협상” 랭크뉴스 2025.04.08
45341 [단독] 대선 이후 '이재명 재판' 물었더니... '헌법 84조'에 대법원도 헌재도 변죽만 랭크뉴스 2025.04.08
45340 "우원식 뱉은 말 거둬라" "한덕수 재탄핵"…더 세진 강성 친명 랭크뉴스 2025.04.08
45339 [속보] 롤러코스터 탄 뉴욕증시…나스닥 0.1% 상승 마감 랭크뉴스 2025.04.08
45338 포장주문도 '당근'… 배달앱 시장판도 흔들릴까 랭크뉴스 2025.04.08
45337 이재명 '경기도 법인카드 유용 혐의' 재판 오늘 첫 공판준비기일 랭크뉴스 2025.04.08
45336 정부, 오늘 국무회의서 차기 대선일 6월 3일로 확정 랭크뉴스 2025.04.08
45335 "담배꽁초 비벼서 껐나요?"…건조·강풍속에 '담뱃불 화재' 잇따라 랭크뉴스 2025.04.08
45334 [2보] 뉴욕증시, 기록적 롤러코스터 장세…나스닥 반등 마감 랭크뉴스 2025.04.08
45333 트럼프 관세 불확실성 고조…日총리는 협상 中은 위안화 절하 만지작 [글로벌 모닝 브리핑] 랭크뉴스 2025.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