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정부 발표에 전국 유일 무비자 입국 허용되는 제주 예의주시
'여행객 분산 불가피' 우려와 '중국 관광 수요 회복' 기대 공존


제주 면세점 찾은 중국 단체관광객
[촬영 제주도사진기자회]


(제주=연합뉴스) 백나용 기자 = 정부가 3분기 중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시 비자 면제를 추진하는 가운데 제주 관광업계가 지역 관광 시장에 미칠 영향에 대한 엇갈린 전망을 내놓고 있다.

30일 제주지역 관광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일 경북 경주시에서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오는 3분기 중 전담여행사가 모집한 중국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시 비자 면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국민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친 뒤 다음 달께 시행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조치가 공식화되자 제주지역 관광업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제주도는 제주특별법에 따라 전국에서 유일하게 외국인 관광객에 대한 무비자(무사증) 입국이 허용되는 지역인 데다 제주도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 대다수가 중국인 관광객이기 때문이다.

2024년 제주를 찾은 외국인 관광객 190만5천696명 중 중국인 관광객은 72.5%인 138만3천13명으로 집계됐고, 올해 1월 기준으로도 80% 에 달했다.

제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2016년 306만1천522명으로 정점을 찍었지만,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배치에 따른 중국 한한령(限韓令·한류 제한령)으로 2017년 74만7천315명으로 4분의 1토막이 났다.

이어 코로나19 여파로 2020년 10만3천288명, 2021년 6천381명, 2022년 9천891명으로 또다시 줄었다.

코로나19 사태가 끝난 2023년 41만535명으로 증가해 지난해는 138만3천13명으로 다시 100만명대로 회복했지만, 여전히 한한령 이전 수준으로는 돌아가지 못한 상태다.

용두암 찾은 중국 단체관광객
[촬영 제주도사진기자회]


한 편에서는 제주도가 독점적으로 누리고 있던 무비자 혜택이 전국으로 확대되면 제주 여행 수요가 감소할 수밖에 없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가뜩이나 찬 바람이 부는 제주 관광업계에 그야말로 '엎친 데 덮친 격'이라는 반응이다.

제주 한 시내면세점 관계자는 "제주를 찾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늘곤 있지만 정작 큰손인 단체관광객(유커)이 돌아오지 않으면서 여전히 매출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며 "매출 부진에 유명 브랜드는 대부분 철수하고, 고환율까지 겹쳐 상황이 매우 어렵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지금도 정작 유커가 오더라도 서울과 제주를 함께 여행하는 경우가 많아 면세점 쇼핑은 대부분 서울에서 하는데, 비자 면제 조치가 전국 단위로 시행돼 단체관광객이 분산되면 오죽하겠냐"고 걱정했다.

제주도관광협회 관계자는 "중국인 관광객이 제주를 찾는 큰 이유 중 하나는 무비자 혜택이다. 개별 관광 흐름으로 많이 변화했다고 해도 단체 관광 수요는 여전하다"며 "특히 이번 조치로 각 지자체가 인센티브 제공 등 중국인 단체관광객 유치에 사활을 걸 텐데 단체관광객 유치에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른 한편에서는 얼어붙었던 한중관계가 개선되는 분위기 속에 이뤄진 이번 조치가 중국인들이 한국을 관광지로 선택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덩달아 제주를 찾는 관광객도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무비자 혜택 대상이 '단체 관광객'에 한정돼 큰 영향 없을 것을 것이며, 오히려 제주 관광 시장에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내비치기도 한다.

서울 명동거리 모습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기자 = 23일 문화체육관광부와 산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20일 경주에서 열린 '민생경제점검회의'에서 오는 3분기 중 전담여행사가 모집한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한 한시 비자 면제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이날 서울 명동거리 모습. 2025.3.23 [email protected]


제주관광공사 관계자는 "중국이 지난해 11월 한국 등 9개국의 일반 여권소지자를 대상으로 올해 연말까지 무비자 정책을 시행하고, 우리 정부가 이번에 중국인 단체관광객에 대해 한시적 무비자정책으로 화답한 모습이어서 중국인 관광객 시장의 파이 자체가 커질 수 있을 거라는 기대가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오히려 이번 조치를 계기로 코로나19 이후 침체한 중국 관광 수요가 전과 같이 회복된다면 제주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제주 이외 도시와 제주를 함께 여행할 수 있는 단체 여행 상품 개발 등 새로운 콘텐츠 발굴도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제주시 노형동의 모 여행사 대표는 "이미 중국에서 단체여행 비자를 받기도 쉽고 한국 단체여행 선호도도 낮아져 큰 영향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는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제주 카지노 업계 관계자도 카지노 '큰손'은 중국 단체 관광객이 아닌 개별관광객으로 이번 조치에 따른 여파가 크지 않을 것으로 봤다.

제주시 연동 한 숙박업소 대표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절정이었을 당시 내국인 관광객은 제주 방문을 꺼리는 경향이 있었다"며 "이번 조치로 중국인 관광객 수는 감소할 수 있지만 오히려 내국인이나 다른 나라 관광객을 유치할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서귀포시 A 특급호텔 관계자는 "카지노가 없는 호텔의 경우 특급호텔이라도 외국인 고객 비중은 2% 수준"이라며 "게다가 중국인 단체 관광객의 경우 중국인이 운영하는 호텔에 묵고 중국인이 운영하는 식당에서 식사하고 돌아가는 편이라 이번 조치에 대해 크게 신경쓰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69 권성동 또 색깔론 “마은혁은 법복 입은 좌파 활동가” 랭크뉴스 2025.03.31
46668 “한국 인구 4% 수준으로 준다”… 머스크 인류 최대 위기로 저출산 언급 랭크뉴스 2025.03.31
46667 이재명 "한덕수∙최상목 용서 안돼… 중대 헌법 위반 책임 물어야" 랭크뉴스 2025.03.31
46666 ‘삼쩜삼’은 수수료 있어요···국세청 ‘원클릭’은 무료로 종합소득세 환급 랭크뉴스 2025.03.31
46665 '꼼꼼하고 신중하게' 외치더니... 권영세 "헌재, 이제 조속히 결단해야" 랭크뉴스 2025.03.31
46664 이재명 “尹 복귀는 제2계엄 의미…韓·崔, 마은혁 미임명 책임 물어야” 랭크뉴스 2025.03.31
46663 [1보]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 랭크뉴스 2025.03.31
46662 이재명, ‘대장동 재판’ 증인 4번째 불출석… 法 “구인·감치 고민” 랭크뉴스 2025.03.31
46661 [단독] 게임업체 S사 男 직원, 승강기서 女 동료 신체 찍어 입건… “불법 촬영물 다수 발견” 랭크뉴스 2025.03.31
46660 알테오젠 ‘월 1회 비만치료제 플랫폼 개발’ 소식에 강세 [Why 바이오] 랭크뉴스 2025.03.31
46659 여당서도 "마은혁 임명해야"‥'원칙 왜 안 지키나' 일침 랭크뉴스 2025.03.31
46658 [단독]명태균, 의령군 예산 쥐락펴락?···640억 규모 사업 개입 정황 랭크뉴스 2025.03.31
46657 '11억원이면 아이비리그' 대입 컨설팅…또 '미국판 스카이캐슬' 랭크뉴스 2025.03.31
46656 이재명, 대장동 재판 4연속 불출석…재판부 "강제조치 고민중" 랭크뉴스 2025.03.31
46655 "장제원 잠든 사이 호텔방 찍었다"…고소인 측, 성폭행 증거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654 코웨이 정기주총서 집중투표제 부결…얼라인 “46.6% 주주 지지 확인” [시그널] 랭크뉴스 2025.03.31
46653 '성폭행 혐의' 장제원 전 의원 고소인측, 동영상 등 증거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652 이준석 "657만 원 내고 1억 1800만 원 받아…폰지사기와 다를 바 없어" 다시 국민연금 '저격' 랭크뉴스 2025.03.31
46651 민주 "'美국채 매수' 최상목, 환율 급등 베팅…경제 내란" 랭크뉴스 2025.03.31
46650 기약없는 탄핵심판에…시민단체, 헌법재판관 ‘직무유기’ 고발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