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3년 8월 3일(현지시간) 뉴질랜드 오클랜드의 스카이라인 해질녘. 로이터=연합뉴스
공기질 6위. 행복지수 10위. 삶의 만족도 11위…. 지상 최후의 낙원이자 '이민자의 천국'으로 불리던 뉴질랜드에서 정작 자국민들이 대거 떠나는 기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뉴질랜드인을 뜻하는 애칭인 '키위'에 빗댄 '키위 엑소더스'라는 말까지 나올 정도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순출국자는 4만7002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반면 외국인 유입은 줄어 연간 순이민(전입자-전출자) 규모가 약 2만7098명에 그쳤다. 이는 최고치를 기록했던 2023년 10월(13만5600명)과 비교하면 5분의 1로 급감한 수준이다. 떠난 이들은 주로 젊은 층인데, 이들 중 56%가 가까운 호주로 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대체 왜 떠나는 걸까.



경기 침체, 33년 만의 최악 수준
뉴질랜드는 1년 넘게 경기 침체에 빠졌다.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 2분기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7%이다. 이후 꾸준히 감소세를 이어가다 지난해 2분기에는 –1.1%로 역대 최저치로 주저앉았다. 지난해 4분기엔 0.7%로 마이너스 추세를 면했지만, 여전히 같은 기간 연간 성장률은 -0.5%를 기록했다.

키위뱅크의 매리 조 버가라 경제전문가는 현지 공영라디오 RNZ에 “1991년 이후 최악의 14개월”이라며 경제 위기를 경고했다. 실업률도 지난달 5.1%(시장조사기관 스타티스타 기준)로 정점을 찍으며 2023년 8월 이후 급등세다.

뉴질랜드 달러 지폐. 로이터=연합뉴스
이코노미스트가 발표한 ‘2024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제 성적’에서도 뉴질랜드는 37개국 중 33위로 후순위였다. 반면 호주(0.3%), 미국(0.7%), 영국(0.1%) 등 주요국들은 모두 플러스 성장을 기록했다. 2028년까지의 정부 적자 전망, 일본의 7배에 달하는 높은 성범죄율 등 경제 외적인 악재도 겹친 상황이다.

지난 2022년 8월 31일(현지시간) 호주 시드니의 한 카페. 로이터=연합뉴스
이런 뉴질랜드의 현실에 비하면 호주는 매력적인 국가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호주의 주당 평균 소득은 1888호주달러(약 171만원)로, 뉴질랜드의 1586뉴질랜드달러(약 132만원)보다 30% 높았다.

호주 정부는 뉴질랜드 청년층의 채용 규모뿐 아니라 이민자들의 시민권 취득과 복지 혜택도 늘리고 있다. 호주 은행 웨스트팩의 마이클 고든 수석 경제전문가는 “뉴질랜드 경제가 냉각되면서 상대적으로 경제가 더 강한 호주 고용 시장으로 향하는 뉴질랜드인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RNZ에 말했다.

호주에선 60세 이후 퇴직연금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것도 매력 요소다. 반면 선택적 퇴직연금제를 도입하고 있는 뉴질랜드에선 충분한 노후자금을 마련하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인구 유출 막겠다지만…정책 효과 미미
뉴질랜드 정부는 인구 유출 현상을 막기 위해 고심 중이다.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는 세금 감면, 주거 지원, 임금 인상 등의 대책을 제시하며 “장기적인 비전을 구축하겠다”고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현지 반응은 차갑다. 이코노미스트는 "'2025년까지 호주와 경제적으로 동등해지겠다'던 존 키 전 총리의 목표도 아직 달성하지 못했다"며 "현지에선 '2050년까지 (1인당 GDP가 뉴질랜드의 약 13% 수준인) 피지를 능가하는 것이 더 현실적인 목표'라는 자조적인 농담까지 나온다"고 전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48 “갈치구이가 10만원”…제주지사가 작심 발언 쏟아낸 이유 랭크뉴스 2025.03.31
46847 초유의 야구장 관중 사망 사고…KBO리그 4월 1일 모든 경기 취소 랭크뉴스 2025.03.31
46846 "갈치구이 1인당 '10만원', 제주 비싸다는 대표적 사례"…지사까지 나섰다 랭크뉴스 2025.03.31
46845 [속보] 총리실 “야당 면담요청, 통상 등 현안부터 대응 후 검토” 랭크뉴스 2025.03.31
46844 K배터리 '닭 쫓던 개' 될 판… 中과 점유율 격차 더 벌어진다 랭크뉴스 2025.03.31
46843 탄핵 각오했나…돌연 이천 간 한덕수, 상법 거부권도 서두른다 랭크뉴스 2025.03.31
46842 “이곳저곳 전전, 몸도 지치고 너무 불안합니더” 랭크뉴스 2025.03.31
46841 경찰, '故 김새론 명예훼손' 유튜버 수사…유족에 접근금지도 랭크뉴스 2025.03.31
46840 한덕수, 이재명 면담 요청에 “국가 경제·민생 현안에 우선 대응한 뒤 검토” 랭크뉴스 2025.03.31
46839 국민의힘,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 법안에 “헌재 사유화법·명백한 위헌” 반발 랭크뉴스 2025.03.31
46838 주한미군 개념 바뀌나…중국견제·방위비·전작권 복잡성 증대 랭크뉴스 2025.03.31
46837 일단 수업 정상화부터…온라인 강의로 '첫발' 뗀 의대 랭크뉴스 2025.03.31
46836 野 주도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 법안, 법사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3.31
46835 끝났어, 1500원 아메리카노…메가커피도 가격 인상 랭크뉴스 2025.03.31
46834 여야 원내대표 회동 빈손 종료…풀리지 않는 얼어붙은 정국 랭크뉴스 2025.03.31
46833 자동차·철강 25%에 무차별 관세 20% 추가? 한국산 최대 45% 부담 랭크뉴스 2025.03.31
46832 공수처, 최상목 수사 착수…마은혁 재판관 임명 보류 혐의 랭크뉴스 2025.03.31
46831 ‘김건희 명품백 사건’ 처리 뒤 숨진 권익위 전 간부, 순직 인정 랭크뉴스 2025.03.31
46830 공수처, 최상목 경제부총리 수사 착수…'마은혁 임명 보류' 고발 건 랭크뉴스 2025.03.31
46829 공수처, 마은혁 임명 보류 최상목 사건 자료 확보‥국회사무처 임의제출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