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경북 지역 산불의 주불이 발생한 지 149시간인 일주일 만에 잡혔지만 산불 재발화에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대피소에는 3천7백여 명이 넘는 이재민들이 머물고 있는데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김지홍 기자, 현재 상황은 어떤가요?
[리포트]
네, 저는 지금 산불대피소가 마련된 안동 체육관에 나와있습니다.
이곳에는 하루 아침에 집을 잃은 이재민 2백여 명이 머물고 있는데요.
경북 지역에는 이번 의성 산불로 3천 7백여 명이 넘는 주민들이 대피소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28일 주불은 진화됐지만, 산림 당국은 산불 재발화에 대한 긴장감을 늦추지 않고 있습니다.
청송군에는 파천면 신흥리에서 산불이 재발화해 오늘 새벽 3시 반쯤 부남면 감연리와 대천리 주민에게 대피 명령을 내렸습니다.
산림 당국은 밤새 진화 인력 3천백여 명을 배치해 뒷불 감시 작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산불 피해 지역에 건조주의보가 내려져 있는 데다, 곳곳에서 강한 바람도 불고 있어 아직 안심하긴 이른 단계입니다.
이에 따라, 산불 피해 지역인 청송 주왕산 등 전국 7개 국립공원의 탐방로 90곳이 다음 달까지 통제됩니다.
교통 통제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서산영덕고속도로 북의성 나들목에서 청송 나들목까지 양방향 통행이 차단됐습니다.
한편, 경찰은 어제, 경북 산불 최초 발화 추정 지점인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 야산에서 2시간가량 현장 조사를 하는 등 본격적인 수사에 나섰습니다.
경찰은 다음 주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과 합동 감식을 진행해 정확한 화재 원인을 밝힐 계획입니다.
지금까지 안동 산불대피소에서 KBS 뉴스 김지홍입니다.
촬영기자:김석현/영상편집:김무주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