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與, 이재명 2심 무죄에 정권 교체 위기감 커지자 "尹 복귀해야" 목소리
野, '연쇄 탄핵' 카드로 馬 임명 압박…헌법재판관 임기 연장 주장까지


윤석열 대통령 탄핵 찬반 집회
(서울=연합뉴스) 윤동진 임화영 기자 = 29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일대에서 윤석열 대통령 찬반 집회가 열리고 있다. 왼쪽은 윤석열 즉각 퇴진 사회대개혁 17차 범시민대행진, 오른쪽은 자유통일당 탄핵 반대 집회. 2025.3.29 [email protected]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최평천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4월로 넘어가면서 여야 모두 강경론이 득세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고,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 탄핵 심판 결론을 30일까지 내리지 못하면서 양측의 불안감이 동시에 증폭된 결과로 풀이된다.

여기에다 다음 달 18일로 예정된 문형배·이미선 헌법재판관의 임기 만료 등이 맞물리면서 여야의 정치적 셈법도 복잡해졌다.

국민의힘에서는 이 대표의 항소심 무죄 선고 이후 윤 대통령 탄핵 기각·각하 목소리가 한층 커지고 있다. 이대로 조기 대선이 치러질 경우 이 대표의 독주를 막기 어렵다는 위기감이 확산한 것이다.

일단 대법원을 향해 이 대표에 대한 항소심을 조속히 파기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지만, 이는 결과를 장담할 수 없는 변수다. 따라서 윤 대통령 탄핵 기각·각하를 통해 조기 대선을 원천 봉쇄해야 한다는 강경파의 주장이 힘을 받는 모습이다.

국민의힘 의원 다수는 윤 대통령 탄핵 기각·각하 촉구 시위 등을 이어가고 있으며, 당초 중도층 민심을 고려해 언급을 자제하던 지도부에서도 '윤 대통령이 돌아와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하는 기류다.

당 핵심 관계자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이 대표 무죄 선고로 당이 어려워진 것이 맞고, 살길을 찾아야 한다"며 "윤 대통령이 복귀하고 개헌 논의가 시작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민주당 역시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최근 민주당 초선 의원들을 중심으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과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 더해 다른 국무위원들까지 연쇄 탄핵하자는 목소리가 커진 것이 방증이다.

헌재가 인용 정족수를 채우지 못해 윤 대통령 탄핵을 기각하는 것은 민주당에 최악의 상황이다. 한 대행·최 부총리 '쌍탄핵'에서 '국무위원 연쇄 총탄핵' 주장까지 나오는 것은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를 조속히 임명함으로써 인용 정족수 6명을 확보하려는 계산으로 분석된다.

민주당에선 문·이 재판관의 임기가 끝나는 다음 달 18일 전까지 윤 대통령 파면 선고가 나오지 않는 시나리오도 가정하고 있다. 이들의 후임이 임명되지 않으면 임기를 연장하도록 헌법재판소법을 개정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헌재가 헌법수호 책임을 다하지 않는 상황이 계속된다면 이제 국회도 비상한 결단을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늘도 헌재 앞에는 두 목소리
(서울=연합뉴스) 서대연 기자 =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앞두고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28일 서울 종로구 헌재 앞에서 여야 의원들이 탄핵 찬반 1인 시위를 벌이고 있다. 2025.3.28 [email protected]


다만 여야 모두에게 중도층 민심은 정치적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중도·무당층에서는 윤 대통령 직무 복귀나 연쇄 탄핵 등 여야 각자의 강경 주장에 비판적 여론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조기 대선이 열리게 되면 중도층 표심이 승패를 좌우할 핵심 변수로 꼽힌다. 이에 여야 내부에선 강경 주장의 수위를 조절해야 한다는 지적도 공존한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여당 의원으로서 '대통령 지키기'에 나서고 싶은 마음이야 있지만, 지도부는 중도층을 포함한 국민을 보고 큰 정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주당 관계자는 "대형 산불로 인한 국가 재난 상황에서 책임 있는 제1당으로서 강경 일변도 전략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15 중학교 교사, 학생 2명 산에 끌고 가 "죽이겠다" 협박…무슨 일 랭크뉴스 2025.03.31
46914 공수처, ‘마은혁 임명 보류’ 최상목 수사 착수 랭크뉴스 2025.03.31
46913 화성 태행산 정상에 폐기름 뿌린 60대 자수... "캠핑족 막으려 했다" 랭크뉴스 2025.03.31
46912 이재명 '한화 승계' 콕 찍어 "韓대행, 기어이 상법 거부할건가" 랭크뉴스 2025.03.31
46911 피해 극심 '산청 산불' 잔불 본격 정리‥화재 원인 랭크뉴스 2025.03.31
46910 “735억 쏟았는데” 발란 투자사, 전액 손실 처리 불가피… CB 투자 실리콘투도 위기 랭크뉴스 2025.03.31
46909 “술은 분내 나는 사람이 따라야”…막가는 용인시체육회장 랭크뉴스 2025.03.31
46908 미얀마 지진 사망자, 2056명…부상 3900 넘고 270명 실종 랭크뉴스 2025.03.31
46907 ‘김건희 명품백’ 담당 권익위 전 간부, 순직 인정 랭크뉴스 2025.03.31
46906 김수현 “미성년 시절 교제 안 해”…120억 원대 소송 제기 랭크뉴스 2025.03.31
46905 탄핵찬성 단체들 저녁 도심 행진…탄핵반대 단체들은 철야집회(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904 여야 압박에 헌재 “신중하고 최대한 빨리”…‘임기연장 법안’ 공방 랭크뉴스 2025.03.31
46903 [단독] 계엄 당일 통화 녹음 33개‥"대통령님이 문 부숴서라도 끄집어내오래" 랭크뉴스 2025.03.31
46902 장제원 고소인측, 경찰에 동영상 등 증거제출…내일 기자회견(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31
46901 김수현 “미성년자 교제 아니었다”··· 김새론 유족·가세연에 120억 손배소 랭크뉴스 2025.03.31
46900 김수현 측 “김새론 유족과 가세연에 ‘120억 손배소’ 제기” 랭크뉴스 2025.03.31
46899 김어준, 초선들 불러 “국무위원 다 날리면”… 與 “김씨가 상왕” 랭크뉴스 2025.03.31
46898 “여기 있음 죽어” 산불에 목줄 풀어줬는데…돌아온 ‘대추’ 랭크뉴스 2025.03.31
46897 그냥 이대로 살까? 순방은? [그림판] 랭크뉴스 2025.03.31
46896 이재명 "자본시장 불신 들끓는데…韓, 기어이 상법 거부할건가"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