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자녀만 돼도 ‘다둥이’ 상품 가입 가능
3% 적금금리도 받기 힘든데 5%대 금리도 多
관련 상품 공시 사이트 운영 이후 상품개발 봇물

광주 광산구에서 2년 만에 태어난 세쌍둥이의 이건민‧배아연씨 가족의 모습. /뉴스1

은행이 자녀 수에 따라 우대금리 혜택을 강화하는 등 저출생 극복을 위한 상품을 잇따라 내놓고 있다. 최대 10%까지 높은 금리를 받을 수도 있고 대출금리도 우대금리가 적용되는 등 다양한 상품을 확대하는 중이다. 올해부터는 결혼·출산과 관련된 금융 상품을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가 문을 열어 상품을 한눈에 볼 수도 있다.

은행연합회는 소비자들이 자신의 상황에 맞는 은행권의 저출생 극복 상품을 비교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저출생 극복 상품 공시 사이트’를 1월부터 운영 중이다. 현재 공시 사이트에는 총 27개의 상품이 등록돼 있다. 은행연합회는 지난 1월 개설 이후 참여 은행 및 상품을 지속해서 확대 중이다.

임산부들이 가장 관심 있게 보는 상품은 수신 관련 상품으로, 예·적금이 가장 인기다. 가장 최근 신한은행은 연 최고 8% 금리를 제공하는 ‘신한 다둥이 상생 적금’을 출시했다. 상품은 가입 기간 중 결혼, 임신(난임), 출산을 한 고객 및 다자녀(2자녀 이상) 고객 등 저출생 극복에 이바지한 고객들에게 우대금리를 적용한다. 가입기간은 12개월이며 월 최대 30만원까지 입금할 수 있다. 금리는 기본금리 연 2.5%에 우대금리는 최대 연 5.5%포인트까지 가능하다.

최고 10%의 금리를 받을 수 있는 상품도 있다. KB국민은행의 ‘KB아이사랑적금’은 임신확인서를 제출하면 연 1%포인트의 우대금리를 제공한다. KB스타클럽 등록 가족 중 만 18세 이하 자녀 수에 따라 최고 연 4%포인트를 추가로 지급하고 국민은행 입출금 통장으로 아동수당 수령 등 요건을 충족하면 최고 연 10.0%가 제공된다.

IBK기업은행의 ‘IBK부모급여우대적금’도 연 6.5%의 금리를 받을 수 있다. 계약 기간은 1년이며 납입 한도는 월 50만원 이내다. 우대금리를 받으려면 부모급여 또는 아동수당을 6개월 이상 입금받아야 한다. 토스뱅크가 내놓은 ‘아이적금’은 토스뱅크 아이통장을 보유한 고객에게 최고 연 5.5% 금리를 제공한다. NH농협은행의 ‘NH아동수당우대적금’도 아동수당 수령, 형제자매 가입 등 조건을 충족하면 최고 연 6.4%의 금리를 제공하고 있다.

대부분 최고금리가 연 5% 이상으로, 최근 연 3%대 예·적금 금리 상품들도 자취를 감추는 상황에서 찾아보기 힘든 금리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4대 시중은행(KB·신한·하나·우리)의 정기예금 상품 금리는 2.4~2.9% 수준이다.

그래픽=정서희

대출 금리로도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다. 특히 앞으로는 2자녀 이상 가구도 다자녀로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게 되면서 관련 상품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주택금융공사(HF)는 저출생 문제 대응을 위해 오는 4월 1일부터 2자녀 이상 가구도 보금자리론을 이용할 때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우선 기존 3자녀 가구부터 주던 우대금리(0.7%포인트)를, 2자녀부터도 최대 0.5%포인트를 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기존에는 2자녀 가구에 대한 우대금리는 없었다. 1·2자녀 가구에 대한 보금자리론 소득요건을 1000만원씩 완화하기로 했다.

시중은행 여신 상품들도 다양하다. 신한은행은 연소득이 일정 수준 이하인 서민 고객이 받을 수 있는 ‘새희망홀씨’ 대출상품에 대해 다자녀 가구 조건 충족 시 우대금리를 지원한다. 만 19세 미만 자녀가 3명이면 금리를 연 0.2%포인트 더 낮게 적용받을 수 있다. NH농협은행도 ‘NH새희망홀씨Ⅱ’ 대출상품에 대해 3인 이상 다자녀 대상으로 0.2%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고, 하나은행은 ‘다둥이전세론’ 상품에 대해 미성년 자녀 2명 이상 부양중인 세대주를 대상으로 전세자금대출의 금리 0.15%포인트를 추가로 감면받을 수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다자녀 기준이 3자녀에서 2자녀로 완화되는 등 기준이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은행도 그에 맞춘 상품을 내놓고 있는 것”이라며 “올해부터 관련 상품을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도 생긴 만큼 은행들이 상품 개발에 열심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조선비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726 태극기 두르고 “우리에겐 트럼프가”…윤석열 파면에 지지자들 곡소리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25 ‘국민께 죄송합니다’…국민의힘 전국 현수막 교체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24 尹 파면으로 내란죄 재판 속도낼 듯… 유죄 인정되면 사형·무기징역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23 과태료 맞고도 버틴 '尹파면' 현수막…그 자리 걸린 새 현수막 보니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22 조국 "개소리 더는 안 듣게 돼…尹, 전두환처럼 심판 받아야"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21 주택시장 조기 대선까지 다시 숨고르기…“시장 관망세 이어질 것”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20 '죽비처럼' 파면한 헌재 결정문‥22분 내내 '尹 질타' [현장영상]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19 [속보] 헌재 주변 지하철 안국역 폐쇄 종료‥우회 버스도 정상운영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18 尹 "기대에 부응하지 못해 죄송···국민 위해 늘 기도할 것"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17 “이제 여기로 몰려오나”…‘파면’ 윤석열 사저 아크로비스타 주민들 ‘한숨’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16 '경고성 계엄' 주장 자충수…"질서유지 목적 아닌 것 알수있어"(종합)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15 [속보] 헌재 인근 안국역, 24시간 만에 지하철 운행 재개… 車도 다시 통행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14 [속보] 경찰, 18시부터 '갑호비상' 해제‥지하철 안국역 정상운행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13 [단독] 김기현 "우린 폐족", 나경원 "尹 지키러 나간 것 아냐"... 친윤 중진들 태세전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12 1000만 투자자 살린다더니… 자본시장에 상처 내고 떠나게 된 尹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11 홍장원 “조선 때도 나라 지킨 건 의병들…이런 나라, 자부심 가질 만”[인터뷰]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10 “아주 지긋지긋했는데…좀 나아질까” 최악 자영업계 기대감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09 파면 尹, 이번 주말 관저 나갈 듯…월1500만원 연금 못받아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08 헌재, 국회·야당도 꾸짖었다…"8인 전원일치 타협 결과인 듯" new 랭크뉴스 2025.04.04
48707 尹 파면에 갈라진 보수단체…“조기대선 준비” vs “불복종 투쟁” new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