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 지정이 미뤄지는 가운데 온라인 등에선 12·3 비상계엄 관련 인물에 대한 팬덤까지 등장했다. 탄핵을 둘러싼 정치 양극화가 심해지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선 사건 관련자에 대한 일방적인 옹호와 지지가 분열을 더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최근 헌법재판소와 광화문 등에서 열리는 탄핵 찬성 집회장에는 홍장원 전 국정원 제1차장을 응원하는 만두차가 등장해 화제가 됐다. 홍 전 차장은 계엄 당일인 지난해 12월 3일, 윤 대통령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우원식 국회의장, 한동훈 국민의힘 당시 대표 등을 “이번 기회에 싹 다 잡아들이라고 지시했다”고 폭로해 화제가 된 인물이다.

지난 3월 22일 안국역 부근에서 열린 탄핵 찬성 집회에 등장한 만두차. 트럭에는 홍 전 차장을 응원하는 메모가 여럿 적혀 있었다. 김창용 기자

홍 전 차장 팬카페 ‘하늘 무서운 줄 아는 사람들’ 운영자 송하현(58) 씨는 “국회 청문회에서 홍 전 차장이 말하는 것을 보고 감명 깊었다”며 “만두차를 준비한 건 팬들 사이에서 ‘홍 전 차장 귀가 만두귀이니 만두를 보내자’는 아이디어가 나와서였다”고 말했다. 홍 전 차장 팬카페 회원 수는 지난 27일 기준 9289명이다.

지난 2월에는 ‘곽종근 사령관’이라는 카페도 등장했다. 곽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은 계엄 직후 야당 의원 유튜브에 출연해 “윤 대통령이 국회를 봉쇄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 해 논란의 중심에 서기도 했다. 카페에는 곽 전 사령관을 응원하는 글부터 ‘잘못을 했으면 벌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곽 전 사령관의 아내에 대한 칭찬 글도 꾸준히 올라왔다. 탄핵 찬성 집회를 주도하는 ‘촛불행동’이 추진하는 곽 전 사령관 정상 참작 탄원 운동에는 27일 기준 7만6000여 명이 서명했다.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헌법재판소에 증인으로 출석해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탄핵 반대 측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포착된다. 디시인사이드 등 일부 온라인 커뮤니티엔 김용현 전 국방부장관, 김성훈 경호처 차장 등을 옹호하는 글이 다수 올라왔다. 김 전 장관과 관련해 “영웅이다” “윤 대통령과 김 전 장관을 배출한 충암고는 명문”이라고 언급했다. 김 차장에 대해서는 “남자가 봐도 멋있다” “목소리도 젊다” 같은 글이 다수 게재됐다.

윤석열 대통령 체포 방해 혐의를 받는 대통령경호처 김성훈 차장이 21일 구속영장이 기각된 뒤 서울 남대문경찰서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일종의 팬덤 정치가 확산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정치적 성향을 배제하고는 이들에 대한 지지세를 이해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워낙 깊은 정치 팬덤 문화에서 파생된 현상”이라며 “정치적 성격을 띤 사건과 관련된 인물에 대한 지지인 만큼 이 사람들 자체에 대한 팬덤이라기보다는 자신들이 좋아하는 정치인이나 자신들이 속해 있는 진영에 대한 지지가 연장되었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현상이 계엄 관련 사법처리 결과와 괴리되는 등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전오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원칙적으로 사법부는 여론으로부터 독립돼 법리와 양심에 따라 재판하는 게 맞다”면서도 “재판 등 결과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어떤 결과가 나오든 시스템을 불신하고 믿지 않을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68 경찰 “헌재 반경 100m 진공상태로”… 당일 ‘갑호비상’ 발령 랭크뉴스 2025.04.01
47367 전국 의대생 복귀율 96.9%…'미복귀' 인제대는 370명 제적 예정 랭크뉴스 2025.04.01
47366 운명의 날, 윤 대통령 직접 나올까? 랭크뉴스 2025.04.01
47365 마침내 고지된 윤석열 ‘운명의 날’···선고 당일 절차는 어떻게? 랭크뉴스 2025.04.01
47364 "올리브영·다이소에 다 뺏겼다"…현대면세점 동대문점 결국 폐점 랭크뉴스 2025.04.01
47363 [크랩] ‘급신호’올 때 사실 배 아프면 안 되는 거라고? 랭크뉴스 2025.04.01
47362 미국, 감자 등 무역장벽 지적…정부 "미국 협상 요청 없어"(종합) 랭크뉴스 2025.04.01
47361 최태원 SK 회장 "사회문제 해결 위해 기업들 협력·연대해야" 랭크뉴스 2025.04.01
47360 작전명도 없앴다, 중국의 대만 포위작전…"밥먹듯 반복될 것" 랭크뉴스 2025.04.01
47359 "부산시장 출마 준비했었다"…'원조 윤핵관' 불리던 그의 죽음 랭크뉴스 2025.04.01
47358 산불 피해 할머니 업고 구한 인도네시아 선원···법무부 “‘장기거주’ 자격 추진” 랭크뉴스 2025.04.01
47357 "산불 中연관 땐 데프콘 뜬다"…SNS설 본 주한미군, 깜짝 답글 랭크뉴스 2025.04.01
47356 최장 기간 숙고한 헌재… 법 위반 중대성 여부에 尹 파면 가른다 랭크뉴스 2025.04.01
47355 선고일 처음 알린 정청래, ‘만장일치’ 주장한 박찬대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1
47354 野 "헌재 5대3 尹 기각·각하시 불복하자"…與 "유혈사태 선동" 랭크뉴스 2025.04.01
47353 미얀마 강진 사망자 2천719명으로 늘어…군정 "3천명 넘을 것"(종합) 랭크뉴스 2025.04.01
47352 권영세 “당연히 기각 희망…야당도 결론에 승복해야”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1
47351 사원에서 회장까지… 이영관 도레이첨단소재 회장 퇴임 랭크뉴스 2025.04.01
47350 中대사관, 尹선고 앞두고 “중국인들, 집회 참여 말라” 랭크뉴스 2025.04.01
47349 방콕 지진에 아내와 딸 구하러…끊어진 52층 다리 건너뛴 한국인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