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노동연구원 보고서…'저임금 근로자' 비중 男보다 女가 2배 높아
"고령자 소득 감소 줄이려면 정년연장 가장 효과적, 재고용도 효과"


[한국노동연구원 보고서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 55세 이상 고령 임금근로자 10명 중 3명 이상이 최저임금 이하를 버는 '저임금 근로자'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30일 한국노동연구원의 '고령 저소득 노동 실태와 정책 대응' 보고서는 고용노동부의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와 한국노동패널을 토대로 임금 등 고령 저임금 근로자의 실태와 고령자의 저소득 일자리 진입 경로 등을 분석했다.

보고서의 저임금 기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기준(노동소득이 중위임금의 3분의 2 미만)을 적용했는데, 이는 최저임금액이 크게 오른 2018년 이후 최저임금보다도 낮은 수준이다.

먼저 전체 임금근로자 가운데 저임금 근로자의 비중은 과거에는 20%대 중후반이다가 점차 낮아져 2018년 21.9%, 2019년 19.2%, 2023년 20.2%였다.

55세 이상 고령 임금근로자의 저임금 비중으로 좁혀보면 2019년 30.9%, 2021년 30.2%, 2023년 33.0%로 나타나 그 비중이 전체보다 10%포인트 이상 많았다.

임금근로자 전체뿐만 아니라 고령 임금근로자 모두 남자 대비 여자의 저임금 비중이 2배 가까이 높았다.

[한국노동연구원 보고서 캡처. 재판매 및 DB 금지]


산업별로 보면 전 산업 기준 저임금 근로자의 비중은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조금씩 줄고 있지만, 70세 이상의 경우 비중이 80% 이상으로 매우 높게 형성돼 있다.

고령 근로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알려진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분야는 특히 열악했다.

임금 인상률은 보건사회복지 산업에서 일하는 55세 이상의 남자가, 절대액은 보건사회복지 산업에서 일하는 55세 이상의 여자 근로자가 가장 낮았다.

한편 고령자가 57세에서 64세로 연령이 높아지는 과정에서 비취업자와 저소득자 비중은 증가 추세를, 중소득 및 고소득 취업자 비중은 감소 추세를 보였다.

57세 시점엔 저소득 취업자(20.1%)보다 중소득 취업자(25.4%)가 많았지만 64세 시점에는 저소득 취업자(25.5%)가 중소득 취업자(21.7%)보다 많은 역전현상이 나타났다.

고소득자 비중은 15.1%에서 5.2%로 9.9%포인트 감소했다.

60대 저소득 취업자의 51.4%는 50대 후반부터 저소득 일자리 지위를 지속했고, 19.3%는 저소득 일자리를 통해 노동시장에 진입 또는 재진입했다. 이들은 주 40시간 정도의 근로시간에도 월 노동소득이 110만∼120만원 수준에 그쳤다.

22.6%는 중소득에서 저소득 일자리로, 6.7%는 고소득에서 저소득 일자리로 옮겨졌는데 이들은 저소득 일자리에 진입한 뒤에도 월 노동소득 150만 원 이상을 유지했다. 기존 노동소득의 수준이 임금 수준에 영향을 미쳤다는 의미다.

보고서는 "한국의 노후 소득보장제도를 고려하면 고령 근로자가 시기별로 필요한 수준의 노동소득을 확보할 수 있도록 맞춤형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며 "주된 일자리의 고용기간 연장은 노동소득 감소를 완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정년 연장이 가장 효과적이지만 재고용도 재취업에 비해 소득 감소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정년 전부터 저소득 일자리에 종사하는 근로자 규모를 줄이고, 노령연금 수급 연령 이후에도 노동소득을 필요로 하는 고령자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대응도 같이 고려해야 한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직업훈련을 큰 폭으로 확대해 고령자의 생산성을 높이고, 노동시장의 전 분야에서 고령 노동력을 활용하도록 준비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628 ‘파면’된 윤석열 사진, 군부대에서 사라진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27 [속보]헬멧·방독면 쓰고 곤봉으로 경찰버스 유리창 부순 윤석열 지지자 체포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26 [속보] 대통령 관저 주변 6호선 한강진역 무정차 통과·폐쇄 해제‥정상운행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25 파면이 “정치 심판”이라는 윤석열 측···불복해 혼란 키우나[윤석열 파면]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24 尹, 대통령직 파면 ‘8대 0’ …헌재 “중대 위법 국민 배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23 권성동 "국민들께 송구‥헌재 판결 겸허하게 수용"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22 한덕수 대행, 오는 8일 대선일 공고할 듯…‘6월 3일 선거’ 유력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21 [속보] 문재인 "헌법으로 민주공화정 지켜내‥모두 국민 덕분"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20 헌재, 전원일치로 파면…“호소용 계엄? 계엄법이 정한 목적 아냐”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9 국힘 의총서 “탄핵찬성 의원들 조치” “같이 못 앉겠다” 반성 없이 ‘색출’ 혈안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8 윤석열 헌재 전원일치 파면…“주권자 대한국민 신임 중대히 배반”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7 이재명 “위대한 국민이 위대한 민주공화국 대한민국 되찾아”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6 [속보] 대통령 관저 주변 한강진역 무정차 통과 해제‥정상 운행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5 [속보]6호선 한강진역 1시 15분부터 지하철 운행 재개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4 헌법재판관 8명 전원 ‘尹 파면’ 의견 일치... 소수 의견은 절차 관련 내용뿐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3 尹 전 대통령측 "헌재결정 법리적 납득할수 없어…안타깝고 참담"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2 [전문] 헌법재판소 尹 탄핵 선고 요지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1 [尹파면] 대통령 파면한 8인의 재판관…외풍 속 심사숙고해 결단(종합)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10 [속보]권성동 “두달 후면 대선···대한민국을 이재명 세력에 맡길 수 없으니 뭉쳐야” new 랭크뉴스 2025.04.04
48609 재판관 5명이 밝힌 보충의견…‘이것’ 두곤 의견 갈렸다 [지금뉴스] new 랭크뉴스 2025.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