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앵커]

멀쩡한 건물이 땅으로 빨려 들어갈 듯 무너진 곳 여기는 미얀마입니다.

사망자 수가 만 명을 넘을 수 있단 관측이 나옵니다.

통곡의 땅으로 변한 지진 현장부터 보시겠습니다.

정윤섭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승려들이 겨우 대피한 사이 사원 건물이 힘없이 무너져 내리고, 화려함을 뽐내던 불탑도 한순간에 사라집니다.

건물 대부분이 무너진 도심, 시민들은 실종된 가족과 친구를 찾아 맨손으로 잔해를 파헤치고 있습니다.

인구 120만 명이 사는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는 초토화됐습니다.

[미얀마 만달레이 교민 : "담벼락 같은 게 굉장히 많이 무너져 있고(도로가) 막히는 상태에서 앰뷸런스가 제대로 이동도 못 하는 (상황이었습니다)."]

미얀마 군정은 지금까지 지진 사망자가 1,000명을 넘겼고, 부상자는 2천 3백여 명에 이른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민 아웅 흘라잉/미얀마 군부 최고사령관 : "건물이 무너진 곳에서는 구조 작업이 이어지고 있지만 사망자 수는 증가할 것입니다."]

하지만 내전으로 사회기반시설이 무너진 데다, 강력한 여진까지 이어지면서 본격 구조는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미국 지질조사국은 지진 규모와 주변 환경, 건축물 내진 설계 등을 고려할 때 사망자가 만 명 이상일 확률이 71%에 달한다고 분석했습니다.

[미얀마 만달레이 교민 : "장비라든지 기술이라든지 인력 이런 게 부족하다 보니까 다친 사람만 케어하기에도 좀 부족한 것 같습니다."]

군사정권과 가까운 중국과 러시아가 의료진을 급파하고, 미국도 지원을 약속하는 등 국제사회 지원도 잇따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로와 통신이 파괴된 데다 군사 정권이 반군의 영향력이 미치는 지역에는 구호를 외면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얼핏 미얀마 지진 현장처럼 보이지만, 이 곳은 그 옆 나라 태국 방콕입니다.

진앙지에서 천 km나 떨어진 곳까지 지진의 충격이 전해졌단 얘깁니다.

방콕 정윤섭 특파원을 바로 연결하겠습니다.

정 특파원! 그 곳 피해는 어느 정돕니까?

[기자]

네 제 뒤로 보이는 곳이 신축 중이던 건물의 붕괴 현장입니다.

날이 어두워졌지만 조명을 켜고 구조 작업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8명이 숨진 채 발견됐는데 아직 잔해 속에 있을 70여 명의 생사를 알 수 없는 상황입니다.

33층짜리 건물이 무너지다 보니 산처럼 쌓인 전해 더미 때문에 구조에 속도가 나질 않는 겁니다.

이곳 말고도 방콕의 공사 현장 여러 곳에서 붕괴 사고가 있었고, 모두 100여 명이 실종 상태입니다.

[앵커]

방콕엔 우리 교민들도 많이 사시는데, 다들 안전하신가요?

[기자]

네, 미얀마에는 교민이 2천 명 정도 있고, 태국에는 교민 약 2만 명 외에도 관광객이 많은데요.

우리 외교부는 교민과 관광객들 인명피해는 없는 걸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다만, 이곳 방콕의 경우 건물에 균열이 가거나 가구 등이 파손된 사례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불안한 나머지 어젯밤 저층 건물로 된 호텔에서 자거나, 아예 공원 등에서 밤을 보낸 이들도 적지 않았는데요.

미얀마의 경우 KBS 취재진과 통화한 만달레이의 교민에 따르면 추가 붕괴나 여진에 대한 우려 때문에 대부분 도시 외곽으로 대피한 상태라고 합니다.

지금까지 방콕에서 KBS 뉴스 정윤섭입니다.

영상편집:서삼현/자료조사:이수아/촬영:KEMIN/통역:NICHMON/화면출처:태국 ONE 31

■ 제보하기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email protected]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네이버,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KB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42 조국혁신당, ‘민주당·김어준 내란죄 고발’ 국민의힘 주진우 무고죄로 맞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741 “이 판단이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향해 일갈 랭크뉴스 2025.03.31
46740 [속보] 원·달러 환율 주간 종가 1472.9원…금융위기 후 최고 랭크뉴스 2025.03.31
46739 권성동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韓 대행이 임명할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3.31
46738 [맞수다] "헌재 기류 이상?"‥"尹 복귀 시나리오 의심" 랭크뉴스 2025.03.31
46737 “무너진 학교·유치원 접근도 못 해”…미얀마 강진 사망 최소 3천명 랭크뉴스 2025.03.31
46736 美 제재로 中 선박 주문 취소 현실화… 韓 조선엔 호재 랭크뉴스 2025.03.31
46735 [속보] 국회 운영위,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임명촉구 결의안 가결 랭크뉴스 2025.03.31
46734 빌 게이츠가 예상하는 10년 후 AI 때문에 사라질 직업은? 랭크뉴스 2025.03.31
46733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 사고, 20대 여성 관중 결국 사망 랭크뉴스 2025.03.31
46732 '오세훈 아내 강의실 침입 혐의' 강진구 전 더탐사 대표 무죄 확정 랭크뉴스 2025.03.31
46731 "국민 불안 커져"‥국회 측, 尹탄핵심판에 각계 시국선언문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730 윤봉길 의사 "테러실행범" 지칭한 산케이... 추모관 설립에 우익 반대 시위 격화 랭크뉴스 2025.03.31
46729 "을사8적·반역자 될 건가"... 전현희, 헌재에 '윤석열 파면' 압박 랭크뉴스 2025.03.31
46728 "기업회생은 아니라더니" 발란, 결국 '법정관리' 행 랭크뉴스 2025.03.31
46727 [속보]국회 운영위, ‘마은혁 임명 촉구 결의안’ 野 주도로 통과 랭크뉴스 2025.03.31
46726 김혜경 항소심, 이재명 전 수행직원 증인 채택…"4월 14일 종결" 랭크뉴스 2025.03.31
46725 문재인 소환 통보…민주당 “국면 전환 위한 정치 탄압” 랭크뉴스 2025.03.31
46724 [속보] 권성동 "野, 韓탄핵 돌입시 대통령몫 재판관 추천 정부와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23 장제원 고소인 측 “호텔방 촬영 영상·국과수 감정지 제출”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