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수피 | 운동 칼럼니스트 <헬스의 정석> 시리즈 저자

운동은 ‘대체로’ 건강에 좋지만 과할 때는 독이 되기도 한다. 과도한 운동, 그중에도 무거운 중량으로 운동할 때 무릎이나 허리 같은 근골격계에 부담이 된다는 사실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그런데 그도 아니면서 무거운 무게를 다룰 때 주의가 필요한 질환도 있다. 우리 몸은 큰 힘을 낼 때 복강의 압력을 높여 강도를 올리는데, 국도변 풍선 간판에 공기를 채워 세우는 것과 같다. 문제는 압력이 과하면 안에 있는 혈액이나 장기 등의 압력도 높아진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고혈압 혹은 안압을 신경 써야 하는 녹내장 환자 등은 무거운 중량을 다룰 때 주의해야 한다.

그런데 이것 말고도 남성에게 유독 문제가 되는 두 가지 질환이 있다. 첫 번째는 스포츠 탈장이다. 헬스장에서 아주 무거운 바벨을 기를 쓰고 들거나, 축구공을 힘껏 찰 때처럼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쓸 때 장의 일부가 주로 서혜부(사타구니)로 돌출되며 생기는데, 대개 뻐근한 느낌으로 시작해 점점 통증이 심해지며 나중에는 응급 상황으로 이어질 수 있다.

스포츠 탈장은 특이하게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유독 잦다. 남아의 성장 과정에서 몸 안에 있던 고환이 밖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고환이 지나간 구멍(초상돌기)이 제대로 막히지 않아 여기로 탈장이 빈번히 생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힘을 많이 쓰는 남성 보디빌더나 역도 선수, 파워리프터(바벨 선수)에게서 가장 자주 나타나고, 축구나 럭비, 미식축구 등 격한 종목 선수들에게서도 흔하다. 2년 전 손흥민 선수도 탈장으로 수술을 받았고, 보디빌더 중에는 7번이나 미스터 올림피아를 기록한 필 히스, ‘빅 라미’로 잘 알려진 2020·2021 미스터 올림피아 맘두 엘스비아이도 스포츠 탈장을 겪었다. 무거운 것을 많이 다루는 남성들에게서 비교적 흔히 발병하니 유사한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을 찾는 게 좋다.

스포츠 탈장이 남성에게서 ‘더 빈번한’ 정도라면 오직 남성만, 특히 무거운 무게로 운동하는 남성이 유독 빈번하게 겪는 질환도 있는데, ‘정계정맥류’다. 여기서 ‘정맥류’는 잘 알려진 ‘하지정맥류’를 생각하면 되는데, 정맥이 정상적으로 이어지지 않고 꼬불꼬불해지고 제 기능을 못하는 그 현상이다. 비슷한 현상이 정계, 즉 고환의 정맥에 생기는 것이 정계정맥류다. 다리에서의 하지정맥류처럼 고환 주변에 굵은 핏줄이 엉켜 보이며, 좌측 고환에 많이 발생한다.

정계정맥류 자체는 남성 10명 중 1명이 가지고 있는 흔한 질환이지만 상태가 심해지면 고환의 혈액순환이 제대로 되지 않아 기능을 떨어뜨리고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달갑지 않게도, 무거운 중량을 다루는, 즉 복압을 높이는 운동이 정계정맥류를 악화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다. 앞서 말한 스포츠 탈장과 정계정맥류를 함께 겪는 경우도 많다. 둘 중 하나를 겪었다면 나머지도 주의해서 지켜봐야 한다.

스포츠 탈장이나 정계정맥류가 생겼다면 병원 치료 후 어떻게 운동할지도 문제다. 가벼운 유산소운동은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근력운동이 관건이다. 근력운동에서 복압을 안 쓰기는 어렵기 때문이다. 바벨, 덤벨 같은 무거운 기구를 직접 다루는 운동의 비중은 줄이고 헬스장 내 머신을 활용하는 운동의 비중을 높이는 게 좋다. 이런 머신은 대개 몸통을 기댈 수 있어 복압을 덜 쓰기 때문이다. 이때 중량은 낮추는 대신 세트당 15~30회로 많이 드는 편을 권한다. 한편 무거운 기구를 들지 않더라도 복부나 허리에 강하게 힘을 실은 상태로 장시간 버티는 맨몸 운동도 15~30초 안쪽으로 짧게 끊어 실시하는 게 좋다.

수피 | 운동 칼럼니스트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16 배우 김수현 기자회견 "교제는 사실‥미성년 때 아냐" 가세연 등에 120억 원 손배소 랭크뉴스 2025.03.31
46815 '성폭행 혐의' 장제원, 여당서도 공개 비판... "죄 지었으면 처벌받아야" 랭크뉴스 2025.03.31
46814 野, 헌법재판관 임기연장법 법사소위 의결…與 '반헌법' 반발(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813 민주, 내일 '쌍탄핵' 가능성…韓은 '침묵' 속 국무위원 간담회 예고(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812 여야 '추경' 위해 만났지만... '尹 호칭' 두고 입씨름만 벌이다 헤어졌다 랭크뉴스 2025.03.31
46811 별·우주를 노래한 윤하, 과학 유튜버와 결혼 랭크뉴스 2025.03.31
46810 [속보] 국회 법사위 소위, ‘임기연장’ 등 헌재법개정안 야당 주도 의결 랭크뉴스 2025.03.31
46809 김수현 “김새론 20살 때 교제…120억 손배소 유족·가세연에 제기” 랭크뉴스 2025.03.31
46808 ‘입원환자 사망’ 부천W진병원 수사 재개…경기남부경찰청에서 담당 랭크뉴스 2025.03.31
46807 “진짜 왕이 되려 하나"... 트럼프, “3선 도전은 농담 아냐, 방법 있다” 랭크뉴스 2025.03.31
46806 ‘美 경기침체+공매도 재개’ 악재에 휘청인 증시, 2480선으로 밀려 랭크뉴스 2025.03.31
46805 서울청 경비부장 "김봉식이 '조 청장 지시'라며 국회 통제 지시" 랭크뉴스 2025.03.31
46804 3월 마지막날 외국인 ‘매도 폭탄’… 8개월 연속 순매도 행렬 랭크뉴스 2025.03.31
46803 李, 한덕수에 회동 제안했지만… “연락받지 않아” 랭크뉴스 2025.03.31
46802 [속보] 野 주도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 법사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3.31
46801 4·18 이후 대비하는 여야…국힘 “문형배·이미선 후임 임명”, 민주 “임기 연장” 랭크뉴스 2025.03.31
46800 [단독] 美 보조금 리스크에…SK온 '폐배터리 합작공장' 중단 랭크뉴스 2025.03.31
46799 민주 "韓대행, 이재명 회동 제안에 일절 답없어…옳은 처신인가" 랭크뉴스 2025.03.31
46798 故 김새론 둘러싸고 '진흙탕 싸움'…경찰, 이진호 수사 착수, 김수현은 '오열' 랭크뉴스 2025.03.31
46797 미국 꿀벌 떼죽음에 식량안보 위기까지...원인은?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