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그널 게이트' 터뜨린 골드버그 "트럼프가 보도 내용 '거짓'으로 몰아가"
"당초 전문 공개 안하려다 마음 바꿔"…'세기의 특종' '저널리즘적 쿠데타' 평가도


제프리 골드버그 애틀랜틱 편집장
[AP=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임지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최대 논란으로 확산하고 있는 '시그널 게이트'의 보도 기자가 최초 보도 후 이어진 트럼프 행정부의 거짓 해명으로 인해 군사기밀 유출 정황이 담긴 채팅 전문을 전부 공개하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

자칫 민감할 수 있는 사안을 신중하면서도 객관적으로 보도해 트럼프 행정부의 허를 찌른 이번 보도를 두고 일각에서는 역사에 남을 특종이자 '저널리즘 쿠데타'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 내용을 보도한 잡지사 애틀랜틱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은 28일(현지시간) 공개된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와 인터뷰에서 '시그널 게이트'의 최초 보도 후 이틀 뒤 안보 당국자들의 채팅방 대화 내용 전체를 공개하게 된 경위를 밝혔다.

앞서 골드버그 편집장은 트럼프 행정부 안보 수뇌부가 이달 중순 예멘의 후티 반군 공습을 진행하면서 민간 메신저인 '시그널'에서 작전을 논의하고 그 과정에서 외부인인 자신을 초대해 내용을 유출했다는 내용을 지난 24일 처음 보도했다.

안보 당국자들이 정부 보안 채널이 아닌 민간 메신저로 부주의하게 군사 작전을 논의했다는 사실 만으로도 해당 보도는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골드버그 편집장은 처음 보도를 하면서 채팅방에서 실제로 언급된 무기의 종류나 군 출동 시간 등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그러한 내용을 공개하지 않더라도 사안이 충분히 충격적이며 보도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이후 쏟아진 트럼프 행정부의 거짓 해명과 자신을 향한 인신공격을 지켜보며 바뀌게 됐다고 골드버그 편집장은 말했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해당 채팅방에서 직접 예멘 후티 반군 공습 계획을 밝힌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은 채팅방에서 "아무도 전쟁 계획을 말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며,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채팅방에서 특정 무기가 거론된 기억은 없다고 밝혔다.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골드버그 편집장을 "평판이 끔찍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그가 "우리나라에 해로운 사람"이라고도 했다.

결국 최초 보도로부터 이틀이 지난 26일 골드버그 편집장은 채팅방 대화 전문을 공개했고, 거기에는 미군의 공습에 사용된 무기와 전투기의 종류, 구체적인 공습 시간 등이 적나라하게 담겼다.

골드버그 편집장은 "채팅 내용 전체를 공개하도록 자극한 것은 트럼프 행정부가 우리가 해당 채팅과 그 채팅의 성격, 그 자체에 대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말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나는 이 내용까지는 보도할 생각이 없었기 때문에 내게 이는 일종의 딜레마 상황을 제시했다. 그러나 만약 대통령과 그의 사람들이 우리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고, 이것이 나와 내가 몸담은 매체의 성격과 연관을 띠게 됐다면 여기에 대응해야만 한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골드버그 편집장의 추가 보도 이후 미국 언론은 이번 일을 아예 '시그널 게이트'로 명명하고 책임자들에 대한 사퇴 요구도 나오는 등 사태는 더욱 커지는 모양새다.

WP는 이번 '시그널 게이트' 보도는 최근 각종 저널리즘상을 휩쓸며 주목받고 있는 애틀랜틱이 거둔 또 하나의 승리이자 '세기의 특종'이라고 평가했다.

한발 늦게 결정적인 증거를 들이밀어 결과적으로 거짓 해명으로 사안을 축소하려 한 트럼프 행정부의 허를 찌른 골드버그 편집장의 보도 판단이 현명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전직 백악관 연설비서관이자 작가인 제임스 팰로우즈는 WP에 이번 보도가 "인상적인 '저널리즘적 쿠데타'"라면서 골드버그 편집장이 "처음에는 민감할 수 있는 내용을 밝히지 않는 것에 있어서 매우 신중했다. 그리고 정부 당국자들의 거짓말이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그는 실제 원문을 가져와 이를 증명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807 “진짜 왕이 되려 하나"... 트럼프, “3선 도전은 농담 아냐, 방법 있다” 랭크뉴스 2025.03.31
46806 ‘美 경기침체+공매도 재개’ 악재에 휘청인 증시, 2480선으로 밀려 랭크뉴스 2025.03.31
46805 서울청 경비부장 "김봉식이 '조 청장 지시'라며 국회 통제 지시" 랭크뉴스 2025.03.31
46804 3월 마지막날 외국인 ‘매도 폭탄’… 8개월 연속 순매도 행렬 랭크뉴스 2025.03.31
46803 李, 한덕수에 회동 제안했지만… “연락받지 않아” 랭크뉴스 2025.03.31
46802 [속보] 野 주도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 법사소위 통과 랭크뉴스 2025.03.31
46801 4·18 이후 대비하는 여야…국힘 “문형배·이미선 후임 임명”, 민주 “임기 연장” 랭크뉴스 2025.03.31
46800 [단독] 美 보조금 리스크에…SK온 '폐배터리 합작공장' 중단 랭크뉴스 2025.03.31
46799 민주 "韓대행, 이재명 회동 제안에 일절 답없어…옳은 처신인가" 랭크뉴스 2025.03.31
46798 故 김새론 둘러싸고 '진흙탕 싸움'…경찰, 이진호 수사 착수, 김수현은 '오열' 랭크뉴스 2025.03.31
46797 미국 꿀벌 떼죽음에 식량안보 위기까지...원인은? 랭크뉴스 2025.03.31
46796 김문수 “한 총리가 문형배·이미선 재판관 후임 지명해야” 랭크뉴스 2025.03.31
46795 야권, ‘마은혁 임명 최종시한’ 앞두고 총력전···임명 촉구 결의안 단독 의결 랭크뉴스 2025.03.31
46794 [속보] 국회 법사위 소위, 헌법재판소법 개정안 야당 주도로 의결 랭크뉴스 2025.03.31
46793 [단독] 이삿날에 대출 안나와 '발 동동'… HUG 전산오류 벌써 몇번째? 랭크뉴스 2025.03.31
46792 의대 절반 '전원 등록'…'집단휴학 종료' 의대 정상화 기대감 랭크뉴스 2025.03.31
46791 [단독] '신규 페이' 만들어 100억대 투자 사기… 청담동 교회 목사, 검찰 송치 랭크뉴스 2025.03.31
46790 “어!어! 제발!”…태국 방콕 수영장에서 우는 아이 달래며 피신한 한국인 가족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3.31
46789 ‘공매도 재개 첫날’ 거래 90%는 外人… 총거래액 1.7조원 넘겨 랭크뉴스 2025.03.31
46788 권성동 "한덕수 탄핵안 발의하면 문형배·이미선 후임 지명 협의"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