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시그널 게이트' 터뜨린 골드버그 "트럼프가 보도 내용 '거짓'으로 몰아가"
"당초 전문 공개 안하려다 마음 바꿔"…'세기의 특종' '저널리즘적 쿠데타' 평가도


제프리 골드버그 애틀랜틱 편집장
[AP=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임지우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후 최대 논란으로 확산하고 있는 '시그널 게이트'의 보도 기자가 최초 보도 후 이어진 트럼프 행정부의 거짓 해명으로 인해 군사기밀 유출 정황이 담긴 채팅 전문을 전부 공개하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

자칫 민감할 수 있는 사안을 신중하면서도 객관적으로 보도해 트럼프 행정부의 허를 찌른 이번 보도를 두고 일각에서는 역사에 남을 특종이자 '저널리즘 쿠데타'라는 평가도 나온다.

이 내용을 보도한 잡지사 애틀랜틱의 제프리 골드버그 편집장은 28일(현지시간) 공개된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와 인터뷰에서 '시그널 게이트'의 최초 보도 후 이틀 뒤 안보 당국자들의 채팅방 대화 내용 전체를 공개하게 된 경위를 밝혔다.

앞서 골드버그 편집장은 트럼프 행정부 안보 수뇌부가 이달 중순 예멘의 후티 반군 공습을 진행하면서 민간 메신저인 '시그널'에서 작전을 논의하고 그 과정에서 외부인인 자신을 초대해 내용을 유출했다는 내용을 지난 24일 처음 보도했다.

안보 당국자들이 정부 보안 채널이 아닌 민간 메신저로 부주의하게 군사 작전을 논의했다는 사실 만으로도 해당 보도는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골드버그 편집장은 처음 보도를 하면서 채팅방에서 실제로 언급된 무기의 종류나 군 출동 시간 등 구체적인 대화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그러한 내용을 공개하지 않더라도 사안이 충분히 충격적이며 보도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이후 쏟아진 트럼프 행정부의 거짓 해명과 자신을 향한 인신공격을 지켜보며 바뀌게 됐다고 골드버그 편집장은 말했다.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해당 채팅방에서 직접 예멘 후티 반군 공습 계획을 밝힌 피트 헤그세스 국방부 장관은 채팅방에서 "아무도 전쟁 계획을 말하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며, 털시 개버드 국가정보국(DNI) 국장은 채팅방에서 특정 무기가 거론된 기억은 없다고 밝혔다.

마이크 왈츠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골드버그 편집장을 "평판이 끔찍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그가 "우리나라에 해로운 사람"이라고도 했다.

결국 최초 보도로부터 이틀이 지난 26일 골드버그 편집장은 채팅방 대화 전문을 공개했고, 거기에는 미군의 공습에 사용된 무기와 전투기의 종류, 구체적인 공습 시간 등이 적나라하게 담겼다.

골드버그 편집장은 "채팅 내용 전체를 공개하도록 자극한 것은 트럼프 행정부가 우리가 해당 채팅과 그 채팅의 성격, 그 자체에 대해 거짓말을 하고 있다고 말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나는 이 내용까지는 보도할 생각이 없었기 때문에 내게 이는 일종의 딜레마 상황을 제시했다. 그러나 만약 대통령과 그의 사람들이 우리가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고, 이것이 나와 내가 몸담은 매체의 성격과 연관을 띠게 됐다면 여기에 대응해야만 한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골드버그 편집장의 추가 보도 이후 미국 언론은 이번 일을 아예 '시그널 게이트'로 명명하고 책임자들에 대한 사퇴 요구도 나오는 등 사태는 더욱 커지는 모양새다.

WP는 이번 '시그널 게이트' 보도는 최근 각종 저널리즘상을 휩쓸며 주목받고 있는 애틀랜틱이 거둔 또 하나의 승리이자 '세기의 특종'이라고 평가했다.

한발 늦게 결정적인 증거를 들이밀어 결과적으로 거짓 해명으로 사안을 축소하려 한 트럼프 행정부의 허를 찌른 골드버그 편집장의 보도 판단이 현명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전직 백악관 연설비서관이자 작가인 제임스 팰로우즈는 WP에 이번 보도가 "인상적인 '저널리즘적 쿠데타'"라면서 골드버그 편집장이 "처음에는 민감할 수 있는 내용을 밝히지 않는 것에 있어서 매우 신중했다. 그리고 정부 당국자들의 거짓말이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그는 실제 원문을 가져와 이를 증명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8001 [속보] 한덕수 대행 “자동차 등 관세 대상 업종에 대한 긴급 지원책 마련” 랭크뉴스 2025.04.03
48000 신호 무시하고 사진 찍는 '민폐 커플' 랭크뉴스 2025.04.03
47999 [르포] 폐부를 찌르는 '죽음의 냄새'… 미얀마 지진 '골든 타임'은 끝났다 랭크뉴스 2025.04.03
47998 [단독] 요양원서 심혈관 약 처방 누락…80대 노인, 3개월 만에 사망 랭크뉴스 2025.04.03
47997 금융당국의 유상증자 오락가락···한화에어로는 제동, 삼성SDI는 승인? 랭크뉴스 2025.04.03
47996 탄핵선고 D-1…'진공상태' 헌재 인근 도로통제로 출근길 정체 랭크뉴스 2025.04.03
47995 [속보] 한덕수, 긴급 경제안보전략 TF… 트럼프 관세 대응책 논의 랭크뉴스 2025.04.03
47994 철강·자동차·반도체는 상호관세 예외… “기존 관세 품목엔 미적용” 랭크뉴스 2025.04.03
47993 흑석산에 뜬 헬기…경찰관이 맨몸으로 산 오른 이유 [잇슈 키워드] 랭크뉴스 2025.04.03
47992 “설마 저희 아기일 줄은” 태어난 지 9일 된 신생아에 간호사가 저지른 일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4.03
47991 트럼프, 모든 국가에 10~49% 상호관세… 한국 25% 랭크뉴스 2025.04.03
47990 야권, 기초단체 4곳 석권‥부산교육감도 진보 랭크뉴스 2025.04.03
47989 [단독] "사즉생" 이재용, 시진핑 이어 이시바 만난다…전장 세일즈 랭크뉴스 2025.04.03
47988 韓 상호관세 25%, 日, EU보다 높다, 車 합산은 안 해[이태규의 워싱턴 플레이북] 랭크뉴스 2025.04.03
47987 트럼프 “한국에 상호관세 25%” 중국 34%·일본 24%·EU 20% 부과 랭크뉴스 2025.04.03
47986 [인턴이간다] 화마와 싸우는 소방관들…'정원치유'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랭크뉴스 2025.04.03
47985 부산교육감 재선거, '진보진영' 김석준 당선…득표율 51.13% 랭크뉴스 2025.04.03
47984 박근혜 때처럼…헌재, 윤 탄핵 결정문에 사회 통합 ‘보충의견’ 내놓나 랭크뉴스 2025.04.03
47983 트럼프, 한국에 25% 상호관세…中 34% 日 24% EU 20% 부과 랭크뉴스 2025.04.03
47982 韓대행, 美 상호관세 발표에 긴급경제안보전략TF 주재 랭크뉴스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