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중·러·이란, 전쟁 계기 '4각 결속' 강화하며 美 위협
휴전협상 타결되면 원심력 작용 관측…결렬시 더 뭉칠듯


북·중·러·이란 정상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조선중앙통신, EPA, TASS,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등 4개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위협할 새로운 '악의 축' 후보로 지목돼 왔다.

외교가에서 머리글자를 따 'CRINK'라고 불리기도 하는 4개국의 우호 관계가 더 깊은 외교적 연대로 발전할 수 있느냐는 향후 다극 체제 국제질서의 지형을 가늠할 중요한 질문 중 하나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재하는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 결과에 따라 이들 네 나라의 관계도 갈림길에 설 수 있다고 28일(현지시간) 전망했다.

권위주의 사회라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지리적·문화적 간극이 큰 네 나라는 오랫동안 각자 동떨어진 외교관계로만 연결돼 있었다.

이들이 한층 복잡한 4각 상호작용으로 결속하기 시작한 계기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발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이었다.

서방의 제재 속에서 전쟁에 드는 막대한 군수품을 조달해야 하는 러시아는 세 나라에 대한 의존도를 높였다.

북한이 1만2천여명에 달하는 병사를 파병하고 막대한 탄약을 제공한 덕분에 러시아는 쿠르스크에서 빼앗겼던 영토의 상당 부분을 되찾았다.

이란은 현대전의 핵심으로 떠오른 드론 기술을 러시아에 전수했다.

중국 제조업의 왕성한 생산력은 '전시 경제'를 운영하는 러시아에 군수물자부터 생필품까지 다양한 소비재를 제공했다.

푸틴과 김정은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세계 제2의 경제 대국인 중국은 4각 공조의 경제적 기반이다.

러시아와 이란이 서방 제재를 피해 원유 등 에너지 자원을 수출하는 주요 시장이 중국이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는 점차 미국 달러 대신 자국 통화를 사용한 거래를 늘리고 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달러화의 영향력을 줄이겠다는 두 나라의 목표와도 부합한다.

북한은 여전히 경제적으로 중국에 압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다만 수천 명의 노동자가 러시아에서 외화벌이에 나섰고, 러시아의 원유와 위성 기술 등이 북한으로 유입되고 있다.

WSJ은 이제 북한이 오랜 후원국인 중국보다 러시아와 더 활발히 외교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란은 2021년 중국과 향후 25년 동안 안정적 원유공급과 대규모 투자를 교환하는 '전면 협력 협정'을 맺었고, 올해 1월에는 러시아와도 포괄적·전략적 동반자 조약에 서명했다.

미국 정보기관은 "이들 4개국이 무역, 금융, 안보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과 경쟁할 대안적 체제를 추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난다면 이런 파트너십은 약화할 수 있다는 것이 WSJ의 분석이다.

우선 러시아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유럽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할 수 있다.

중국 역시 다른 3개국에 비해 세계무역 질서에 긴밀히 연결된 만큼 굳이 서방과의 관계 악화를 감수할 이유가 없어진다는 것이다.

반면 휴전 협상이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이들 4개국과 서방의 긴장은 더욱 팽팽해지고, 그만큼 내부 결속은 더 강해질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휴전 협상 불발 시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와 관세 부과를 경고한 상태이고, 이란을 향해서는 이미 '최대 압박'의 고삐를 죄고 있다. 관세 전쟁을 시작한 중국과의 관계는 말할 것도 없다.

미국 싱크탱크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 선임 연구원인 크리스토퍼 시프비스는 "핵무기를 보유한 러시아·북한과 핵무기 생산을 목전에 둔 이란의 관계 강화는 서방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42 조국혁신당, ‘민주당·김어준 내란죄 고발’ 국민의힘 주진우 무고죄로 맞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741 “이 판단이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향해 일갈 랭크뉴스 2025.03.31
46740 [속보] 원·달러 환율 주간 종가 1472.9원…금융위기 후 최고 랭크뉴스 2025.03.31
46739 권성동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韓 대행이 임명할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3.31
46738 [맞수다] "헌재 기류 이상?"‥"尹 복귀 시나리오 의심" 랭크뉴스 2025.03.31
46737 “무너진 학교·유치원 접근도 못 해”…미얀마 강진 사망 최소 3천명 랭크뉴스 2025.03.31
46736 美 제재로 中 선박 주문 취소 현실화… 韓 조선엔 호재 랭크뉴스 2025.03.31
46735 [속보] 국회 운영위,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임명촉구 결의안 가결 랭크뉴스 2025.03.31
46734 빌 게이츠가 예상하는 10년 후 AI 때문에 사라질 직업은? 랭크뉴스 2025.03.31
46733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 사고, 20대 여성 관중 결국 사망 랭크뉴스 2025.03.31
46732 '오세훈 아내 강의실 침입 혐의' 강진구 전 더탐사 대표 무죄 확정 랭크뉴스 2025.03.31
46731 "국민 불안 커져"‥국회 측, 尹탄핵심판에 각계 시국선언문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730 윤봉길 의사 "테러실행범" 지칭한 산케이... 추모관 설립에 우익 반대 시위 격화 랭크뉴스 2025.03.31
46729 "을사8적·반역자 될 건가"... 전현희, 헌재에 '윤석열 파면' 압박 랭크뉴스 2025.03.31
46728 "기업회생은 아니라더니" 발란, 결국 '법정관리' 행 랭크뉴스 2025.03.31
46727 [속보]국회 운영위, ‘마은혁 임명 촉구 결의안’ 野 주도로 통과 랭크뉴스 2025.03.31
46726 김혜경 항소심, 이재명 전 수행직원 증인 채택…"4월 14일 종결" 랭크뉴스 2025.03.31
46725 문재인 소환 통보…민주당 “국면 전환 위한 정치 탄압” 랭크뉴스 2025.03.31
46724 [속보] 권성동 "野, 韓탄핵 돌입시 대통령몫 재판관 추천 정부와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23 장제원 고소인 측 “호텔방 촬영 영상·국과수 감정지 제출”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