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북·중·러·이란, 전쟁 계기 '4각 결속' 강화하며 美 위협
휴전협상 타결되면 원심력 작용 관측…결렬시 더 뭉칠듯


북·중·러·이란 정상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마수드 페제시키안 이란 대통령,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조선중앙통신, EPA, TASS, AFP=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중국, 러시아, 이란 북한 등 4개국은 미국이 주도하는 자유주의 국제질서를 위협할 새로운 '악의 축' 후보로 지목돼 왔다.

외교가에서 머리글자를 따 'CRINK'라고 불리기도 하는 4개국의 우호 관계가 더 깊은 외교적 연대로 발전할 수 있느냐는 향후 다극 체제 국제질서의 지형을 가늠할 중요한 질문 중 하나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재하는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 결과에 따라 이들 네 나라의 관계도 갈림길에 설 수 있다고 28일(현지시간) 전망했다.

권위주의 사회라는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지리적·문화적 간극이 큰 네 나라는 오랫동안 각자 동떨어진 외교관계로만 연결돼 있었다.

이들이 한층 복잡한 4각 상호작용으로 결속하기 시작한 계기는 2022년 2월 러시아의 침공으로 발발한 우크라이나 전쟁이었다.

서방의 제재 속에서 전쟁에 드는 막대한 군수품을 조달해야 하는 러시아는 세 나라에 대한 의존도를 높였다.

북한이 1만2천여명에 달하는 병사를 파병하고 막대한 탄약을 제공한 덕분에 러시아는 쿠르스크에서 빼앗겼던 영토의 상당 부분을 되찾았다.

이란은 현대전의 핵심으로 떠오른 드론 기술을 러시아에 전수했다.

중국 제조업의 왕성한 생산력은 '전시 경제'를 운영하는 러시아에 군수물자부터 생필품까지 다양한 소비재를 제공했다.

푸틴과 김정은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세계 제2의 경제 대국인 중국은 4각 공조의 경제적 기반이다.

러시아와 이란이 서방 제재를 피해 원유 등 에너지 자원을 수출하는 주요 시장이 중국이다.

특히 중국과 러시아는 점차 미국 달러 대신 자국 통화를 사용한 거래를 늘리고 있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달러화의 영향력을 줄이겠다는 두 나라의 목표와도 부합한다.

북한은 여전히 경제적으로 중국에 압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다만 수천 명의 노동자가 러시아에서 외화벌이에 나섰고, 러시아의 원유와 위성 기술 등이 북한으로 유입되고 있다.

WSJ은 이제 북한이 오랜 후원국인 중국보다 러시아와 더 활발히 외교 활동을 벌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란은 2021년 중국과 향후 25년 동안 안정적 원유공급과 대규모 투자를 교환하는 '전면 협력 협정'을 맺었고, 올해 1월에는 러시아와도 포괄적·전략적 동반자 조약에 서명했다.

미국 정보기관은 "이들 4개국이 무역, 금융, 안보 분야를 중심으로 미국과 경쟁할 대안적 체제를 추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AP=연합뉴스 자료사진]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난다면 이런 파트너십은 약화할 수 있다는 것이 WSJ의 분석이다.

우선 러시아는 중국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유럽과의 관계 개선을 추진할 수 있다.

중국 역시 다른 3개국에 비해 세계무역 질서에 긴밀히 연결된 만큼 굳이 서방과의 관계 악화를 감수할 이유가 없어진다는 것이다.

반면 휴전 협상이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경우 이들 4개국과 서방의 긴장은 더욱 팽팽해지고, 그만큼 내부 결속은 더 강해질 수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휴전 협상 불발 시 러시아에 대한 추가 제재와 관세 부과를 경고한 상태이고, 이란을 향해서는 이미 '최대 압박'의 고삐를 죄고 있다. 관세 전쟁을 시작한 중국과의 관계는 말할 것도 없다.

미국 싱크탱크 카네기국제평화재단의 선임 연구원인 크리스토퍼 시프비스는 "핵무기를 보유한 러시아·북한과 핵무기 생산을 목전에 둔 이란의 관계 강화는 서방에 큰 위협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08 미얀마 지진 사망자, 2056명…부상 3900 넘고 270명 실종 랭크뉴스 2025.03.31
46907 ‘김건희 명품백’ 담당 권익위 전 간부, 순직 인정 랭크뉴스 2025.03.31
46906 김수현 “미성년 시절 교제 안 해”…120억 원대 소송 제기 랭크뉴스 2025.03.31
46905 탄핵찬성 단체들 저녁 도심 행진…탄핵반대 단체들은 철야집회(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904 여야 압박에 헌재 “신중하고 최대한 빨리”…‘임기연장 법안’ 공방 랭크뉴스 2025.03.31
46903 [단독] 계엄 당일 통화 녹음 33개‥"대통령님이 문 부숴서라도 끄집어내오래" 랭크뉴스 2025.03.31
46902 장제원 고소인측, 경찰에 동영상 등 증거제출…내일 기자회견(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31
46901 김수현 “미성년자 교제 아니었다”··· 김새론 유족·가세연에 120억 손배소 랭크뉴스 2025.03.31
46900 김수현 측 “김새론 유족과 가세연에 ‘120억 손배소’ 제기” 랭크뉴스 2025.03.31
46899 김어준, 초선들 불러 “국무위원 다 날리면”… 與 “김씨가 상왕” 랭크뉴스 2025.03.31
46898 “여기 있음 죽어” 산불에 목줄 풀어줬는데…돌아온 ‘대추’ 랭크뉴스 2025.03.31
46897 그냥 이대로 살까? 순방은? [그림판] 랭크뉴스 2025.03.31
46896 이재명 "자본시장 불신 들끓는데…韓, 기어이 상법 거부할건가" 랭크뉴스 2025.03.31
46895 이재명 “자본시장, 불신과 좌절 들끓어... 상법 거부할건가” 랭크뉴스 2025.03.31
46894 12·3 그날밤…"서울청 간부들 '의원 출입 막는 건 문제' 우려 있었다" 랭크뉴스 2025.03.31
46893 이재명, 마은혁 임명 논의 회동 제안…한덕수쪽 “민생 현안 우선” 거부 랭크뉴스 2025.03.31
46892 “여기요, 도와주세요” 어둠 속 간절한 외침…골든타임 종료 랭크뉴스 2025.03.31
46891 머스크, 또 한국 저출산 지적…"인류 미래 걱정" 랭크뉴스 2025.03.31
46890 이재명, 한화 경영승계 거론 "韓대행, 기어이 상법 거부할 건가" 랭크뉴스 2025.03.31
46889 "국민은 힘들다‥헌법재판소, 더 이상 침묵하면 안 돼"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