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MBC 아나운서 출신 방송인 김경화가 자녀의 학교 급식에 불만을 제기했다가 비판 여론이 일자 사과했다. 사진 인스타그램 캡처
MBC 아나운서 출신 방송인 김경화가 싱크홀(땅 꺼짐) 사고 여파로 자녀가 다니는 고등학교에서 대체 급식이 제공됐다는 불만을 토로했다가 비판 여론이 일자 결국 사과했다.

김경화는 29일 인스타그램을 통해 "더 성숙해져야 하는데 많이 모자라다"며 "신중하지 못했던 저의 행동을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고개 숙였다. 그는 "제 생각이 짧았다. 제 입장에 묻혀 다른 상황들을 제대로 바라보지 못했다"며 "제 글로 상처나 피해를 입은 분들 그리고 여러모로 해결을 위해 애써주시고 계신 학교에도 죄송한 마음을 전한다"고 말했다.

앞서 김경화는 같은 공간에 자녀가 재학 중인 고등학교에서 지난 27일 중식으로 고구마케이크, 치즈머핀, 초코우유 등이 제공됐다는 글과 함께 급식 사진을 게시했다. 그는 "저희 둘째가 학교에서 먹은 급식이다. 간식도 아니고 점심시간에 나온 급식"이라며 "학교 앞에서 얼마 전 큰 사고가 있어 대형시설인 학교에는 안전이 확보될 때까지 가스 공급이 안 된다고 한다"고 적었다.

이어 "이런 이유로 사고 이후 아이들의 점심과 저녁 급식이 중단되고 대신 이런 비조리 급식이 제공되고 있다"며 "가스가 안 되는 것도 이해하고 단체 급식의 규정과 어려움도 모두 이해하지만 부모로서 마음이 영 편하지 않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선생님들은 배달 음식으로 따뜻한 식사를 하신다고 한다"며 "저도 아이에게 따뜻한 밥을 먹이고 싶은 부모"라고 토로했다.

그는 "방울토마토 몇 알이 힘들었을까. 사과 주스 하나가 비싼 걸까"라며 "단체주문이 안 되는 룰이 있다면 삼삼오오 주문해서라도 따뜻한 밥을 먹을 수 있게 해주셔야 하지 않느냐"고 말했다.

해당 내용을 두고 비판 여론이 제기됐다. 소셜미디어(SNS)에는 "사고로 가족을 잃은 분도 있는데 급식 몇끼로 이럴 일이냐", "유난이다. 직접 도시락 챙겨주면 될 일", "배달 음식 허용하면 그걸로 또 문제를 제기할 사람" 등 의견이 잇따랐다.

김경화는 2000년 MBC 공채 아나운서로 입사해 2015년 퇴사한 뒤 연기로 영역을 넓혀 활동 중이다. '김경화의 대치동 유랑기'라는 유튜브 채널을 운영 중인 그는 "뜻하지 않게 교육 특구 대치동에 흘러들어와 살고 있다"며 "첫째는 연세대에 보냈고 둘째는 서울의 한 외고에 다니고 있다"고 소개하며 관련 영상들을 올리고 있다.

한편 지난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 한 사거리에서 지름 20m, 깊이 20m가량의 대형 싱크홀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30대 오토바이 운전자가 매몰돼 숨졌고, 함몰 직전 현장을 통과한 자동차 운전자 1명은 부상을 입는 피해가 났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18 이재명, 풍자 그림 올리며 “조작인가, 아닌가”…국힘 비판 반박 랭크뉴스 2025.03.30
46417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7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416 “유효 기간? 영구적”…‘관세 펀치’ 더 세게 날리는 트럼프 랭크뉴스 2025.03.30
46415 "尹 기각될라"…한덕수 재탄핵에, 재판관 임기연장까지 꺼낸 野 랭크뉴스 2025.03.30
46414 실적 부담에 관세 불확실성… 목표가 낮아진 전력株 랭크뉴스 2025.03.30
46413 1분기 회사채 순발행 16.2조 최대…'IPO 대어 효과' 공모액 작년의 3배 [시그널] 랭크뉴스 2025.03.30
46412 “내 폰 찾아줘” 삼성 냉장고에 말했더니…세탁실에서 벨소리 울려 랭크뉴스 2025.03.30
46411 정전된 대피소서 음식 나누고 부둥켜안고... 이재민들 온기로 두려움 달랬다 랭크뉴스 2025.03.30
46410 트럼프 최측근 머스크에 찍힐라…기업들 엑스에 광고 재개 랭크뉴스 2025.03.30
46409 “유효 기간? 영구적”…트럼프, 관세 드라이브 ‘더 크게’ 건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8 文 "계엄 내란 광기 원형 찾을 수 있어"…제주 4·3 관련 책 추천 랭크뉴스 2025.03.30
46407 천주교 시국선언 "군경으로 국회 장악, 단죄 식별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0
46406 하루종일 ‘진화율 99%’…힘겨웠던 주불 진화 선언 랭크뉴스 2025.03.30
46405 “민주당 해산” “내각 줄탄핵” 헌재 바라보다 격해진 여야 랭크뉴스 2025.03.30
46404 부산대 의대생 600명 전원 복귀 결정…전산망 열어 신청 접수 랭크뉴스 2025.03.30
46403 기후변화에 '괴물 산불' 예상해 대책 세웠지만...속절없이 당했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2 이재용은 시진핑·정의선은 트럼프… 국가 대신 뛰는 총수들 랭크뉴스 2025.03.30
46401 꿀벌이 美과일 75% 맺어주는데…올겨울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 랭크뉴스 2025.03.30
46400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랭크뉴스 2025.03.30
46399 산불 대응에 ‘10조 추경’ 물꼬 튼 정부…“4월 중 통과 요청”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