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치열해지는 로보택시 경쟁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테슬라 차량이 FSD를 통해 자율 주행되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경제]

※하단에 있는 ‘김기혁의 테슬라월드’를 구독하시면 테슬라와 일론 머스크가 추진하는 전기차·로봇·자율주행·에너지 산업의 미래를 쉽게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많은 구독 부탁드립니다.


‘웨이모(86.5점) VS 테슬라(30.6점)’

해외 컨설팀 업체 가이드하우스가 이달 발간한 ‘2024 자율주행 기술 순위(2024 Automated Driving Leaderboard)’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 리더인 구글 웨이모와 테슬라의 자율주행 기술 격차가 크게 났습니다. 웨이모가 조사 대상 20개 업체 중 1위를, 테슬라는 20위로 꼴찌를 기록했습니다. 특정 시장조사기관의 리포트라는 점에서 조사의 객관성을 담보하긴 어렵지만 극명한 격차가 있다고 하는 이유에 대해선 짚어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연내 테슬라 로보택시 출시되도 자율주행 조건 제한적 가능성”



우선 보고서에서 테슬라의 경우 충돌 데이터가 많다는 점을 지적합니다. 2024년 9월 기준 테슬라는 미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1492건의 충돌 사고를 보고했습니다. 이후 NHTSA는 테슬라 자율주행(오토파일럿·FSD) 기술을 구현하는 비전 시스템이 안전한지 여부를 조사하기 위한 조사를 시작했습니다. 야간 또는 안개가 낀 날씨 등 열악한 주행 조건에서 안전할 수 있는지 등을 알아보는 것이죠.

물론 미 교통당국의 조사를 받는다고 해서 기술력 문제가 있다고 단정할 수 없다는 반론도 만만치 않습니다. 테슬라 차량이 워낙 많이 미 전역에서 돌아다니고 있기 때문에 사고 사례도 많을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가이드하우스 보고서는 테슬라의 완전자율주행(FSD)이 데이터 축적을 통해 버전 업그레이드 되는 과정에서 시스템의 일관성이 부족하다고도 지적했습니다. 다시 말해 자율주행 소프트웨어 구동에 필요한 반도체 등 하드웨어가 제대로 호환이 되지 않는다는 얘기인데요. 실제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지난해 10월 자율주행 컴퓨터 ‘하드웨어3(HW3)’ 칩셋 보드가 FSD를 지원하지 않을 수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에 머스크는 HW3 차량에서 FSD 기능이 완전히 구현되지 않을 경우 성능을 개선한 HW4로 무료 업그레이드를 제공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 연합뉴스


테슬라가 올해 시작할 로보택시 서비스에 대해서도 보고서는 비관적으로 내다봤습니다. 앞서 머스크는 지난해 10월 실적 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우버와 비슷한 영업을 하기 위해 차량 호출 앱을 개발 중이며 2025년 중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에서 호출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라고 공식화했습니다. 오는 6월 테슬라 본사가 있는 텍사스주 오스틴에서 첫 서비스가 개시될 계획입니다. 이에 대해 보고서는 “테슬라가 안전한 무인 로보택시 서비스를 출시할 가능성은 낮다”면서 "머스크 계획대로 2025년 말 테슬라가 로보택시를 본격적으로 출시하더라도 자율주행이 가능한 조건(ODD)이 안전 문제로 인해 제한적일 것”이라고 짚었습니다.



웨이모, 우버 연합으로 테슬라에 견제구



반면 웨이모는 우버와의 파트너십으로 자율주행 시장에서 주도권을 지킬 수 있다는 게 긍정적 요인이라고 보고서는 분석했습니다. 이미 웨이모는 로보택시로서 독보적인 입지를 차지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제너럴모터스(GM)가 지난해 로보택시 서비스를 중단하는 등 다른 경쟁 업체들이 부진하는 가운데 웨이모는 지난해에만 400만 건 이상의 유료 자율주행 탑승을 기록했죠.

웨이모와 우버의 협력에 따라 오스틴에서 우버 앱을 이용하는 승객은 이달 초부터 웨이모 로보택시를 탑승하게 됐습니다. 양사 간 파트너십은 애틀란타로도 확장될 예정입니다. 이에 대해 업계에서는 오스틴에서 첫 서비스를 준비하는 테슬라에 대한 견제 성격이 짙다는 분석입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웨이모 로보택시가 자율주행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웨이모가 우버와의 연합을 통해 얻는 이점은 이 뿐 아닙니다. 자율주행 거점 확대에 드는 초기 인프라 비용을 아낄 수 있습니다. 가이드하우스 보고서에 따르면 우버가 오스틴과 애틀란타에 차고지를 설립하고 차량 유지 보수를 맡기로 했습니다.

구글은 자율주행 패권을 거머쥐기 위해 아낌없이 투자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해 7월 구글 모회사 알파벳은 웨이모에 수년간 50억달러(약 7조3300억 원)를 추가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올 하반기부터 본격화할 웨이모와 테슬라 간 로보택시 경쟁이 어떻게 펼쳐질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900 김수현 측 “김새론 유족과 가세연에 ‘120억 손배소’ 제기” 랭크뉴스 2025.03.31
46899 김어준, 초선들 불러 “국무위원 다 날리면”… 與 “김씨가 상왕” 랭크뉴스 2025.03.31
46898 “여기 있음 죽어” 산불에 목줄 풀어줬는데…돌아온 ‘대추’ 랭크뉴스 2025.03.31
46897 그냥 이대로 살까? 순방은? [그림판] 랭크뉴스 2025.03.31
46896 이재명 "자본시장 불신 들끓는데…韓, 기어이 상법 거부할건가" 랭크뉴스 2025.03.31
46895 이재명 “자본시장, 불신과 좌절 들끓어... 상법 거부할건가” 랭크뉴스 2025.03.31
46894 12·3 그날밤…"서울청 간부들 '의원 출입 막는 건 문제' 우려 있었다" 랭크뉴스 2025.03.31
46893 이재명, 마은혁 임명 논의 회동 제안…한덕수쪽 “민생 현안 우선” 거부 랭크뉴스 2025.03.31
46892 “여기요, 도와주세요” 어둠 속 간절한 외침…골든타임 종료 랭크뉴스 2025.03.31
46891 머스크, 또 한국 저출산 지적…"인류 미래 걱정" 랭크뉴스 2025.03.31
46890 이재명, 한화 경영승계 거론 "韓대행, 기어이 상법 거부할 건가" 랭크뉴스 2025.03.31
46889 "국민은 힘들다‥헌법재판소, 더 이상 침묵하면 안 돼" 랭크뉴스 2025.03.31
46888 '데드라인' 당일 의대생 등록 러시…일부 대학은 휴학계 다시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887 두산퓨얼셀, 4000억 계약 해지 후 애프터마켓서 12% 급락 랭크뉴스 2025.03.31
46886 김승연, ㈜한화 지분 일부 증여…“경영승계 완료, 유상증자는 방산 투자 목적” 랭크뉴스 2025.03.31
46885 [르포] 초고압 변압기 증설 LS일렉… “파워솔루션과 美 공략” 랭크뉴스 2025.03.31
46884 [단독] 10명 중 4명 붙잡는데…솜방망이 처벌에 실형 1%↓ 랭크뉴스 2025.03.31
46883 서울대 교수, 사제, 국민까지…“윤석열 파면, 이 판단이 어려운 일인가” 랭크뉴스 2025.03.31
46882 김수현 “미성년자 교제 아니었다”···고 김새론 유족·가세연에 120억 손배소 랭크뉴스 2025.03.31
46881 野 '한덕수 재탄핵' 경고…與, 문형배·이미선 후임 카드 꺼냈다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