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8일 규모 7.7의 지진이 강타한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마하 미야트 무니 불교 사찰의 불탑이 지진으로 인해 붕괴돼 있다. EPA=연합뉴스
지난 28일 미얀마를 강타한 113년만의 강진(규모 7.7)후 속출하는 매몰자와 실종자를 구하기 위한 사투가 현지에서 벌어지고 있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29일 미얀마 군사정권이 밝힌 인명피해 규모는 사망 1002명, 부상 2376명이다. 전날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밝힌 144명에서 하루만에 7배 가량 늘었다. 태국 방콕에서도 6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붕괴한 건물 잔해에 깔린 사람들이 많아 피해 규모는 더 급증할 확률이 높다. 지진 진앙지와 가장 가까워 큰 피해를 본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 주변에 사는 한 자원봉사 구조대원은 “무너진 건물 잔해를 치우기 위한 기계가 없어 구조가 역부족인 상황”이라고 BBC에 호소했다. 그는 “우리는 맨손으로 (잔해를) 파내면서 사람들을 끄집어내고 있다. 시신들을 수습하고 잔해 아래에 갇힌 사람들을 구해내려면 이걸로는 부족하다”며 “사람들이 ‘도와줘요, 도와줘요’하고 울부짖는다. 정말 희망이 없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김주원 기자
만달레이에서 구조작업을 하는 또 다른 대원은 “건물 대부분이 붕괴했다”며 “(사람들이) 거리에서 달리면서 비명을 지르고 울부짖고 있었다”고 했다. 이 대원에 따르면 만달레이 종합병원은 지진 피해자들로 거의 꽉 찬 상태다. 병원 건물 역시 지진으로 손상된 상태다. 그는 “밤이 돼도 사람들이 집에 들어가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었고 잠을 이루지 못해 길바닥에 앉아 있는 이들도 있었다”며 “눈앞에서 가족, 친구, 친인척이 사라지는 것을 보고 사람들이 공포에 떨고 있다”고 말했다.

미얀마 수도 네피도 지역에서 구조작업에 참여 중인 한 대원도 무너진 건물 잔해 아래 사람들이 갇혀서 도움을 요청하는데도 구조할 방법이 없었다고 말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강진이 발생한 사가잉 단층선에 가까운 지점에 있는 미얀마 바간 불교유적이 파괴됐을 확률이 있다고 전했다. 11세기에 지어진 불탑들과 사찰 등 2200여개의 불교 유적들이 밀집된 곳이다.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태국 임신부, 지진 피해 길거리 출산
29일 태국 방콕 짜뚜짝에서 30층 높이 고층건물 건설 붕괴 현장에서 매몰자 가족들이 구조 상황을 기다리고 있다. AP=연합뉴스
지진 피해는 인접국인 태국에서도 속출하고 있다. 태국 방콕의 한 병원에서 환자들을 대피시키는 작업에 참여한 목격자 믹 오셰이는 BBC에 “처음에는 사람들이 환자들을 휠체어나 들 것에 싣고 나왔으나, 휠체어와 들 것이 바닥났는지 (환자들의) 팔과 다리를 붙잡고 등에 지고 나오더라”고 말했다.

병원에 입원 중이던 임신부가 들것에 실려 건물 밖으로 대피한 후 들것에 누운 상태로 의료진에 둘러싸여 거리에서 출산하는 장면이 목격되기도 했다. BBC는 방콕 짜뚜짝에서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고층건물 붕괴 현장에서 잔해가 계속 떨어지고 있어 구조대원과 매몰자들이 위험하다고 전했다.



군부 “해외 도움 요청”…트럼프 “도울 것”

지난 28일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구조대원들이 지진으로 인해 무너진 건물에서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AP=연합뉴스
미얀마 군정은 국제 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흘라잉 사령관은 28일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와 부상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며 “모든 국가와 모든 조직의 도움과 기부를 받겠다”고 밝혔다. 2021년 쿠데타로 집권한 뒤 국제사회와 단절하고 지냈던 군정이 해외 원조를 촉구한 건 이례적이다.

쿠데타 이후 제재에 나서는 등 미얀마 군사정권과 선을 그어온 미국과 유럽연합(EU)도 인도적 차원의 도움을 약속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미얀마 군정의 도움 요청에 응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지진은) 끔찍한 일”이라며 “우리는 도울 것이며, 이미 그 나라와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지난 28일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지진으로 인해 붕괴된 건물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X(옛 트위터)에 “(미얀마에) 더 많은 지원을 할 준비가 됐다”며 “EU의 기후변화 감시용 코페르니쿠스 위성을 통해 긴급 구조대에 관측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엔은 500만 달러(약 73억원) 규모의 초기 긴급 지원을 약속했다. 미얀마 군정과 우호적 관계를 이어온 중국과 러시아도 구조대와 의료진을 태운 항공기를 미얀마로 급파했다. 이 밖에도 미얀마는 이미 인도와 ‘아세안 재난관리 인도적 지원 조정센터’(AHA 센터)의 지원 제안을 수락한 상태다.



“군부 저항세력엔 물품 안 줄 것”
지난 28일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부상자들이 야외에서 긴급 치료를 받고 있다. AP=연합뉴스
하지만 국제사회의 구조 지원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국제 원조에서 가장 큰 역할을 해오던 미국이 트럼프 대통령 집권 후 국제개발처(USAID) 폐지를 추진하고 원조 사업 대부분을 중단시켰기 때문이다. 미 싱크탱크 글로벌개발센터(CGD)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USAID 운영자금 중단으로 미국의 대(對)미얀마 원조액은 5200만 달러(약 760억 원) 삭감됐다. 국제앰네스티의 미얀마 담당 연구원 조 프리먼은 “이번 지진은 미얀마 입장에서는 미국의 원조 삭감에 따른 인도적 지원 공백의 영향이 막 나타나기 시작한 최악의 시점에 일어났다”고 지적했다.

미얀마 군정이 일부 지역엔 국제 사회 지원을 고의로 전달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몬시 페러 국제앰네스티 부국장은 “군정 하에서 수십년간 고통을 받아온 집단들이 있다”며 “저항 세력 집단 활동 지역에 군부가 지원을 거부한 전력이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59 케이크 가격 4만원 육박…조각은 거의 1만원 랭크뉴스 2025.03.31
46558 전문분야 찾아간 오너?... ‘캉골’ 키운 에스제이그룹, 투자사업에 점점 더 집중 랭크뉴스 2025.03.31
46557 “마은혁 임명 거부는 윤 복귀 음모”…민주, 내일 시한 최후통첩 랭크뉴스 2025.03.31
46556 민간 기업이 무기체계 제안한다… 방사청, 도입형태 변경 랭크뉴스 2025.03.31
46555 국민의힘 36.1%·민주 47.3%…정권 교체 57.1%·연장 37.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54 [속보] 2월 산업생산·소비·투자 모두 증가… 1월 부진 기저효과 영향 랭크뉴스 2025.03.31
46553 [마켓뷰] "기댈 곳이 없네" 관세·경기우려에 공매도까지 사면초가 코스피 랭크뉴스 2025.03.31
46552 제2의 티메프 되나… 정산금 밀린 발란, 결국 결제까지 중단 랭크뉴스 2025.03.31
46551 이 회사 없으면 삼성도 TSMC도 없다… "AI산업, 창소년기 접어들어"[김현예의 톡톡일본] 랭크뉴스 2025.03.31
46550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새 6배 넘게 증가" 랭크뉴스 2025.03.31
46549 "미국 해방일" 온다…협상 없는 관세 전쟁 드라이브[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③] 랭크뉴스 2025.03.31
46548 “반트럼프, 반USA”…트럼프가 불지핀 분열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②] 랭크뉴스 2025.03.31
46547 '자사고 희망' 초1 사교육비 월 59만 원...5년 새 두 배 늘어난 까닭은 랭크뉴스 2025.03.31
46546 “이렇게 될 줄이야”..논란의 ‘백설공주’, 처참한 성적 랭크뉴스 2025.03.31
46545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랭크뉴스 2025.03.31
46544 공짜 와인이 태안 해변에 깔렸다…캘리포니아의 로드트립 유혹 랭크뉴스 2025.03.31
46543 최상목에게 국민을 위한 나라는 있는가[정동칼럼] 랭크뉴스 2025.03.31
46542 오늘 의대생 복귀시한 '디데이'…집단휴학 사태 종지부 주목(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541 현대차 한국 공장 품질 초월한 미국 공장 가보니…로봇 수 백 대 '행렬' 랭크뉴스 2025.03.31
46540 [단독]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월1회 주사 맞는 장기제형 플랫폼 개발…비만 치료제에 우선 적용할 것"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