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8일 규모 7.7의 지진이 강타한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마하 미야트 무니 불교 사찰의 불탑이 지진으로 인해 붕괴돼 있다. EPA=연합뉴스
지난 28일 미얀마를 강타한 113년만의 강진(규모 7.7)으로 속출하는 매몰자와 실종자를 구하기 위한 사투가 현지에서 벌어지고 있다. CNN 등에 따르면 현재까지 미얀마 군사정권이 밝힌 인명피해 규모는 사망 144명, 부상 732명이다. 태국 방콕에서도 10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이번 지진으로 인한 총사망자 수는 154명으로 늘었다.

하지만 붕괴한 건물 잔해에 깔린 사람들이 많아 피해 규모는 급속도로 늘어날 확률이 높다. 지진 진앙지와 가장 가까워 큰 피해를 본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 주변에 사는 한 자원봉사 구조대원은 “무너진 건물 잔해를 치우기 위한 기계가 없어 구조가 역부족인 상황”이라고 BBC에 호소했다. 그는 “우리는 맨손으로 (잔해를) 파내면서 사람들을 끄집어내고 있다. 시신들을 수습하고 잔해 아래에 갇힌 사람들을 구해내려면 이걸로는 부족하다”며 “사람들이 ‘도와줘요, 도와줘요’하고 울부짖는다. 정말 희망이 없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김주원 기자
만달레이에서 구조작업을 하는 또 다른 대원은 “건물 대부분이 붕괴했다”며 “(사람들이) 거리에서 달리면서 비명을 지르고 울부짖고 있었다”고 했다. 이 대원에 따르면 만달레이 종합병원은 지진 피해자들로 거의 꽉 찬 상태다. 병원 건물 역시 지진으로 손상된 상태다. 그는 “밤이 돼도 사람들이 집에 들어가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었고 잠을 이루지 못해 길바닥에 앉아 있는 이들도 있었다”며 “눈앞에서 가족, 친구, 친인척이 사라지는 것을 보고 사람들이 공포에 떨고 있다”고 말했다.

미얀마 수도 네피도 지역에서 구조작업에 참여 중인 한 대원도 무너진 건물 잔해 아래 사람들이 갇혀서 도움을 요청하는데도 구조할 방법이 없었다고 말했다.

영국 일간 가디언은 강진이 발생한 사가잉 단층선에 가까운 지점에 있는 미얀마 바간 불교유적이 파괴됐을 확률이 있다고 전했다. 11세기에 지어진 불탑들과 사찰 등 2200여개의 불교 유적들이 밀집된 곳이다. 2019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됐다.



태국 임신부, 지진 피해 길거리 출산
29일 태국 방콕 짜뚜짝에서 30층 높이 고층건물 건설 붕괴 현장에서 매몰자 가족들이 구조 상황을 기다리고 있다. AP=연합뉴스
지진 피해는 인접국인 태국에서도 속출하고 있다. 태국 방콕의 한 병원에서 환자들을 대피시키는 작업에 참여한 목격자 믹 오셰이는 BBC에 “처음에는 사람들이 환자들을 휠체어나 들 것에 싣고 나왔으나, 휠체어와 들 것이 바닥났는지 (환자들의) 팔과 다리를 붙잡고 등에 지고 나오더라”고 말했다.

병원에 입원 중이던 임산부가 들것에 실려 건물 밖으로 대피한 후 들것에 누운 상태로 의료진에 둘러싸여 거리에서 출산하는 장면이 목격되기도 했다. BBC는 방콕 짜뚜짝에서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고층건물 붕괴 현장에서 잔해가 계속 떨어지고 있어 구조대원과 매몰자들이 위험하다고 전했다.



군부 “해외 도움 요청”…트럼프 “도울 것”
지난 28일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구조대원들이 지진으로 인해 무너진 건물에서 구조작업을 벌이고 있다. AP=연합뉴스
미얀마 군정은 국제 사회에 도움을 요청했다. 민 아웅 흘라잉 미얀마 군정 최고사령관은 28일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와 부상자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며 “모든 국가와 모든 조직의 도움과 기부를 받겠다”고 밝혔다. 2021년 쿠데타로 집권한 뒤 국제사회와 단절하고 지냈던 군정이 해외 원조를 촉구한 건 이례적이다.

쿠데타 이후 제재에 나서는 등 미얀마 군사정권과 선을 그어온 미국과 유럽연합(EU)도 인도적 차원의 도움을 약속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백악관 집무실에서 미얀마 군정의 도움 요청에 응할 것인지에 대한 질문에 “(지진은) 끔찍한 일”이라며 “우리는 도울 것이며, 이미 그 나라와 이야기를 나눴다”고 말했다.

지난 28일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지진으로 인해 붕괴된 건물의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이날 X(옛 트위터)에 “(미얀마에) 더 많은 지원을 할 준비가 됐다”며 “EU의 기후변화 감시용 코페르니쿠스 위성을 통해 긴급 구조대에 관측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전했다.

유엔은 500만 달러(약 73억원) 규모의 초기 긴급 지원을 약속했다. 미얀마 군정과 우호적 관계를 이어온 중국과 러시아도 구조대와 의료진을 태운 항공기를 미얀마로 급파했다. 이 밖에도 미얀마는 이미 인도와 ‘아세안 재난관리 인도적 지원 조정센터’(AHA 센터)의 지원 제안을 수락한 상태다.



“군부 저항세력엔 물품 안 줄 것”
지난 28일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부상자들이 야외에서 긴급 치료를 받고 있다. AP=연합뉴스
하지만 국제사회의 구조 지원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국제 원조의 가장 큰 역할을 하는 미국이 트럼프 대통령 집권 이후 국제개발처(USAID) 폐지를 추진하고 외국 원조 사업 대부분을 중단시켰기 때문이다. 미 싱크탱크 글로벌개발센터(CGD)에 따르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USAID 운영자금 중단으로 미국의 대(對)미얀마 원조액은 5200만 달러(약 760억 원) 삭감됐다. 국제앰네스티의 미얀마 담당 연구원 조 프리먼은 “이번 지진은 미얀마 입장에서는 미국의 원조 삭감에 따른 인도적 지원 공백의 영향이 막 나타나기 시작한 최악의 시점에 일어났다”고 지적했다.

미얀마 군정이 일부 지역엔 국제 사회 지원을 고의로 전달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몬시 페러 국제앰네스티 부국장은 “군정 하에서 수십년간 고통을 받아온 집단들이 있다”며 “저항 전력 집단 활동 지역에 군부가 지원을 거부한 전력이 있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28 남태평양 통가 해역서 규모 7.1 지진…쓰나미 주의보 랭크뉴스 2025.03.30
46427 이범준 박사 "일부 재판관 '시간끌기' 가능성" 랭크뉴스 2025.03.30
46426 “전투식량 좀 대신 구매해달라” 군인 사칭 사기 기승 랭크뉴스 2025.03.30
46425 “민주당 해산” “내각 줄탄핵”···헌재 선고 지연에 극단 치닫는 여야 랭크뉴스 2025.03.30
46424 상호관세 앞두고 뭉치는 한·중·일 경제통상장관 “3국 협력 확대를” 랭크뉴스 2025.03.30
46423 흔적도 없이 사라진 집과 밭…“앞으로가 막막해요” 랭크뉴스 2025.03.30
46422 "살 쭉쭉 빠지길래 '다이어트 부작용'인 줄"…병원 가보니 '위암 말기'였다 랭크뉴스 2025.03.30
46421 경찰, '장제원 성폭력' 고소한 전 비서 추가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420 [단독] 경찰, 성폭력 피해 상황 쓴 3년 전 글 확보‥장제원, 경찰조사서 혐의 전면부인 랭크뉴스 2025.03.30
46419 1월엔 쥐, 이번엔 바퀴벌레 나왔다…日 3대 규동 체인점 발칵 랭크뉴스 2025.03.30
46418 이재명, 풍자 그림 올리며 “조작인가, 아닌가”…국힘 비판 반박 랭크뉴스 2025.03.30
46417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7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416 “유효 기간? 영구적”…‘관세 펀치’ 더 세게 날리는 트럼프 랭크뉴스 2025.03.30
46415 "尹 기각될라"…한덕수 재탄핵에, 재판관 임기연장까지 꺼낸 野 랭크뉴스 2025.03.30
46414 실적 부담에 관세 불확실성… 목표가 낮아진 전력株 랭크뉴스 2025.03.30
46413 1분기 회사채 순발행 16.2조 최대…'IPO 대어 효과' 공모액 작년의 3배 [시그널] 랭크뉴스 2025.03.30
46412 “내 폰 찾아줘” 삼성 냉장고에 말했더니…세탁실에서 벨소리 울려 랭크뉴스 2025.03.30
46411 정전된 대피소서 음식 나누고 부둥켜안고... 이재민들 온기로 두려움 달랬다 랭크뉴스 2025.03.30
46410 트럼프 최측근 머스크에 찍힐라…기업들 엑스에 광고 재개 랭크뉴스 2025.03.30
46409 “유효 기간? 영구적”…트럼프, 관세 드라이브 ‘더 크게’ 건다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