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24년 12월 19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2025학년도 정시 대학입학정보박람회에서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상담을 받기 위해 줄을 서고 있다. 사진=한국경제신문 이솔 기자


1980년대 이후 태어난 세대 여성의 대학 졸업 비율이 남성을 앞질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첫 취업 시기는 남녀 모두 점차 늦어지고 있는데, 특히 여성이 심했다.

28일 통계청에 따르면 국가통계연구원은 이달 ‘생애과정 이행에 대한 코호트별 비교 연구: 교육·취업'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는 1970~1994년까지 태어난 세대를 5년 단위 코호트(cohort·공통된 특성을 가진 인구 집단)로 나누고 교육 수준, 고용, 자립 시기 등을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1970년대생은 남성의 대학 이상 졸업자 비율이 여성보다 높았지만, 1980년생부터는 여성이 앞서기 시작했다.

늦게 태어난 세대일수록 성별에 따른 대학 졸업 이상 학력자 비중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다. 1980~1984년생의 대학 졸업 이상 비율은 69.4%, 여성에서 72.1%로 나타났다. 1985~1989년생의 경우 각각 남성은 72.2%, 여성은 77.3%였다. 특히 1990~1994년생의 경우 여성의 대학 졸업 비율이 78.5%로, 남성(65.3%)보다 13%포인트 이상 높았다.

또한 대학 졸업자 중 대학원 진학 비율에서도 1980년대생부터 여성이 남성을 앞서는 경향을 보였다.

첫 취업 시점은 지연되는 추세다. 첫 취업 연령을 코호트별 추정한 결과에 따르면 25∼29세인 시점을 기준으로 1975∼1979년생은 22.12세, 1980∼1984년생은 22.72세였으나 1985∼1989년생은 23.4세로 높아졌다. 1990∼1994년생 역시 비슷한 23.36세로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학력은 높아졌지만 취업은 더 어려워진 모습이다. 25~29세의 남자와 여자의 첫 일자리 취업 연령을 비교해본 결과 남자의 세대별 취업연령은 23.56세(80~84년생)에서 23.71세(90~94년생)로 0.15세 늦어졌다. 반면 여성의 첫 취업연령은 21.96세(80~84년생) 23.01세(90~94년생)로 1.05세나 늦어졌다. 통상 군대 등의 문제로 여성의 취업이 남성보다 빠른데, 같은 세대 남자와의 격차가 0.7년으로 크게 줄어드는 양상을 보인 것이다.

연구진은 “최근 들어 여자가 첫 취업에서 과거보다 더 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밝혔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76 이복현 사의 표명…“윤 대통령은 상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않았을 것”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75 그날의 '충격' 영상‥'케이블 타이' 포박 시도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74 韓, 尹선고 이틀 앞두고 여야에 "사회통합 책임 보여달라"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73 전국 의대생 복귀율 96.9%…'미복귀' 인제대, 370명 제적 예정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72 美상원의원 '무박 2일' 트럼프 비판 발언…68년 만에 신기록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71 한 총리 "어떠한 결정도 받아들여야‥이제 '국민의 시간'"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70 “라이터로 불질러”…방화로 아파트 화재, 주민 대피 소동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9 "뒤돌아 XX 하는건가" 안영미 생방 중 욕설…사과했지만 결국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8 [속보] 상법 개정안 거부권 '직 걸고' 반대했던 이복현, 결국 사의 표명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7 마은혁 불임명 ‘위헌’ 판단한 헌재…‘8대 0’ 외 다른 길 있나?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6 美 경기둔화 우려, 글로벌 자금도 유럽·중국으로 이동[글로벌 현장]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5 쓰레기통서 발견된 찢긴 수표 1억2700만원, 알고보니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4 '개인빚 역대 최고' 1인당 가계대출 9,600만원···40대 평균 대출잔액 1억 넘어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3 "직 걸겠다"던 이복현 "사의 표명했지만 금융위원장이 만류"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2 [속보] 韓대행 "헌재 어떤 결정도 받아들여야…폭력엔 무관용"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1 [속보] 한 대행 “헌재 결정, 법치주의 원칙 따라 차분히 받아들여야”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60 EU, 폐차 담합 제조사 15곳 7천억대 과징금…현대차·기아도 190억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9 이복현 "최근 금융위원장에 사의 표시…상법 거부권 행사는 존중"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8 3월 물가 2.1%↑…석달째 2%대에 가공식품·공공서비스 '들썩'(종합)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57 “상법 개정안에 직 걸겠다”던 이복현, 한덕수 거부권에 사의 표명 new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