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오픈AI "서버 부하로 사용 일시 제한"
지브리와 저작권 계약 명확하지 않아
일부 지브리 팬들은 오픈AI 고소도
샘 올트먼(왼쪽 사진) 오픈AI 최고경영자와 그가 챗GPT의 최신 이미지 생성 모델을 이용해 '스튜디오 지브리 스타일'로 만든 자신의 엑스(X) 프로필 사진. EPA 연합뉴스, X 캡처


미국 인공지능(AI) 업체 오픈AI가 이번 주 출시한 이미지 생성 모델이 서버가 과부하에 시달릴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특히 자신의 사진을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인 스튜디오 지브리(지브리)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변환하는 기능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선 '저작권 침해’라는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

28일(현지시간) 미국 CNBC방송에 따르면 샘 올트먼 오픈 AI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의 폭발적인 이용으로 서버에 부하가 걸리고 있다"고 말했다. 올트먼은 이날 자신의 엑스(X)에 "사람들이 이미지를 좋아하는 걸 보면 정말 재밌지만, GPU가 녹고 있다"며 "해당 기능의 사용을 일시적으로 제한할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지난 25일 출시된 챗GPT-4o 이미지 생성 모델은 사용자가 사진을 업로드하면 이를 심슨, 스머프, 레고 등 유명 애니메이션 화풍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특히 일본 애니메이션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설립한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하는 기능이 가장 큰 인기다. 올트먼 CEO 역시 자신의 X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꾸기도 했다.

지브리 스튜디오를 설립한 일본 애니메이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2009년 7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벼랑 위의 포뇨' 특별 시사회에 참석하고 있다. 오픈AI는 25일 신규 이미지 생성 모델을 출시했는데, 사용자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하는 기능이 인기를 끌고 있다. 로스앤젤레스=AP 연합뉴스 지브리 스튜디오를 설립한 일본 애니메이션 거장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이 2009년 7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벼랑 위의 포뇨' 특별 시사회에 참석하고 있다. 오픈AI는 25일 신규 이미지 생성 모델을 출시했는데, 사용자의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변환하는 기능이 인기를 끌고 있다. 로스앤젤레스=AP 연합뉴스


문제는 저작권 침해 우려다. 오픈AI는 이미지 변환과 관련해 지브리와 사용 계약을 체결했는지 밝히지 않고 있다. 일본 NHK 방송은 "오픈AI가 이미지 생성 도구를 훈련시키기 위해 저작권이 있는 저작물을 무단으로 사용했을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보도했다. 뉴욕 소재 로펌 프라이어 캐시맨에서 근무하는 조시 와이겐스버그 변호사는 "지브리의 동의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면 오픈AI가 법률적 문제에 휩싸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부 지브리 팬들은 오픈AI를 비롯한 이미지 생성 앱을 저작권 침해로 신고하고 있다. 칼라 오르티즈는 "이번 사건은 오픈AI가 예술가들의 작품과 생계를 전혀 신경 쓰지 않는다는 또 다른 사례"라고 비판했다.

설사 법적 문제는 없다 하더라도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미야자키 감독과 지브리의 애니메이터들이 건강을 해칠 정도로 장인 정신을 발휘해 만든 작품 양식을 순식간에 모방하는 기능 자체가 '예술에 대한 모욕'이란 지적도 나온다. AI에 부정적이었던 미야자키 감독의 발언도 다시 조명받고 있다. 2016년 그는 AI 이미지 생성에 대해 "삶 자체에 대한 모욕이라고 강하게 느낀다"며 "이 기술을 내 작업에 절대 사용하고 싶지 않다"고 말했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294 정부 '10조 필수추경' 추진…崔 "산불, 통상·AI, 민생 집중"(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293 조국당 "헌재, 다음달 4일까지 尹선고 안 하면 '화병 위자료' 소송" 랭크뉴스 2025.03.30
46292 푸틴 암살 시도?..."모스크바서 5억짜리 리무진 폭발" 랭크뉴스 2025.03.30
46291 경찰, ‘경북산불’ 일으킨 혐의 50대 남성 입건 랭크뉴스 2025.03.30
46290 [속보] 최상목 "산불로 역대 최대 피해‥10조 필수추경 추진" 랭크뉴스 2025.03.30
46289 정부, 10兆 규모 ‘필수 추경’ 추진… “산불 등 재해, 통상·AI, 민생에 투입” 랭크뉴스 2025.03.30
46288 [속보] 崔대행, 10조원 필수 추경 발표…"산불로 역대 최대 피해" 랭크뉴스 2025.03.30
46287 "잘 만든 플랫폼 하나, 신약 10개 안부럽네"…알테오젠은 어떻게 코스닥 대장주가 됐나 [김정곤의 바이오 테크트리] 랭크뉴스 2025.03.30
46286 산청산불 10일째·213시간만에 주불 진화…축구장 2천602개 피해(종합) 랭크뉴스 2025.03.30
46285 이재명 "헌법재판관 고뇌 막중할 것…현명한 결정 신속히 요청" 랭크뉴스 2025.03.30
46284 韓대행, '모레까지 마은혁 임명' 野 고강도 압박에 '침묵' 랭크뉴스 2025.03.30
46283 [2보] 최상목 "산불로 역대 최대 피해…10조 필수추경 추진" 랭크뉴스 2025.03.30
46282 정부, 10조 규모 '필수추경' 추진… "산불 피해 신속 지원" 랭크뉴스 2025.03.30
46281 [단독] 여인형 방첩사, 비상계엄 5개월 전 ‘군 유일 견제기구’ 감찰실장직 편제서 삭제 랭크뉴스 2025.03.30
46280 [속보] 최상목 “여야 동의시 10조원 규모 ‘필수 추경’ 조속히 편성” 랭크뉴스 2025.03.30
46279 ‘울며 겨자 먹기’ 건설사 부채, 주식으로 떠안는 기업들…2000원대 주식 16만원에 인수 랭크뉴스 2025.03.30
46278 이재명 “헌재, 노고 얼마나 큰가…국민 불신 목소리도 커져” 랭크뉴스 2025.03.30
46277 김수현 영화 '리얼' 노출신·오디션 논란... 前 감독이 밝힌 입장 랭크뉴스 2025.03.30
46276 ‘최장기간 산불’ 경신 10분전 “산청산불 진화 완료” 선언한 산림청 랭크뉴스 2025.03.30
46275 박찬대 “한덕수, 1일까지 마은혁 임명 안 하면 중대결심”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