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글로벌 CEO 다 부른 시진핑···"中, 이상적 투자처"
캐나다는 "美와 관계 끝"··· EU, 빅테크 타격 준비
트럼프는 美자동차 사장들에게 "가격 올리지 말라"
미얀마 규모 7.7 강진···방콕선 고층빌딩도 붕괴
[서울경제]

※[글로벌 모닝 브리핑]은 서울경제가 전하는 글로벌 소식을 요약해 드립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28일 중국 방문을 마치고 서울 강서구 김포공항을 통해 귀국하고 있다. 서울경제DB



이재용 만난 시진핑…"中, 이상적 투자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28일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들과의 회동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다른 사람의 길을 막는 것은 결국 자신의 길만 막을 뿐”이라고 직격했습니다. 시 주석은 이날 중국이 트럼프 대통령의 ‘미국 우선주의’와 다른 길을 가고 있다는 점을 부각하는 데 많은 말을 쏟았는데요.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이 확대되는 가운데 중국의 대외 개방 의지를 강조하며 ‘우군’을 확보하려는 행보로 읽힙니다. 특히 이날은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이날 시 주석을 만나 눈길을 끌었는데요. 이 회장이 시 주석을 만난 건 2015년 3월 중국 보아오포럼 기업인 간담회 이후 10년 만입니다. 딥시크, 비야디(BYD) 등 중국의 첨단 기술이 세계의 각광을 받는 상황에서 이 회장이 시 주석과 어떤 대화를 나눴는지 관심이 쏠리는데요. 이 회장은 지난 23일 중국발전포럼(CDF)부터 일주일이나 중국에만 머물면서 샤오미, BYD 등 다수의 잠재 고객을 만나기도 했습니다.




카니 “미국과 오랜 관계 끝났다”… EU는 美 빅테크 ‘타격’ 준비


우군을 늘리려는 시 주석과 달리 트럼프 대통령에게는 동맹들이 하나둘 등을 돌리고 있는데요. 25% 자동차 관세 직격탄을 맞은 캐나다는 미국과의 관계 단절까지 불사하며 강력한 보복 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유럽연합(EU)도 역내에서 미국 거대 기술기업(빅테크)의 지식재산권을 제한하는 조치까지 검토하는 것으로 알려졌고요. 다만 관세 부과 조치로 상당한 피해를 입을 것으로 관측되는 일본과 멕시코는 일단 협상으로 대처하겠다는 입장을 보였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 시간) 워싱턴DC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수입 자동차와 핵심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문서를 들어 보이고 있다. EPA 연합뉴스



트럼프, 美자동차 사장들에게 가격 인상 경고…"中만 이득" 비판도


자동차 관세 부과로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패닉에 빠진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은 주요 완성차 기업 수장들에게 가격을 올리지 말라고 엄포를 놓았는데요. 관세 정책이 미국인의 생활비 부담을 키울 것이라는 우려가 잇따르자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가격 인상 움직임을 차단하려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27일(현지 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초 주요 자동차 회사 최고경영자(CEO)들과 전화 통화를 갖고 ‘관세 때문에 자동차 가격을 인상해서는 안 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들에게 가격 인상을 곱지 않게 볼 것이라고 경고했고 CEO들은 크게 당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자동차 관세 조치가 판매 가격을 최대 1만 달러 높일 수 있다고 전망했고 웨드부시는 자동차 평균 가격이 5000~1만 달러가량 인상될 수 있다고 봤습니다.

28일(현지 시간) 태국 방콕에서 건설 중이던 한 고층 빌딩이 미얀마 중부에서 발생한 강진으로 무너진 모습. 로이터 연합뉴스



미얀마 내륙서 규모 7.7 강진…태국 방콕 고층빌딩도 붕괴


한편 내전 중인 미얀마에서는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해 큰 피해를 입었는데요. 진앙 지점은 인구 120만 명인 미얀마 제2 도시 만달레이와 수도 네피도에서 각각 서남서쪽으로 33㎞, 북북서쪽으로 248㎞ 떨어진 곳이라고 합니다. 독일지구과학연구센터(GFZ)는 진원의 깊이를 10㎞로 관측했습니다. 이번 지진으로 네피도의 도로가 휘고 아바와 사가잉을 잇는 다리가 무너지기도 했습니다. 특히 진앙지에서 1000㎞ 이상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의 중심 업무 지구에서는 강한 진동으로 짓고 있던 한 고층 빌딩이 붕괴하는 일도 일어났는데요. 진동은 미얀마와 국경을 접한 중국 남서부 윈난성에도 미쳤습니다. 태국과 미얀마는 ‘비상사태’까지 선포했습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99 러 "미국과 희토류 개발 논의 시작"…우크라 점령지 광물 제공하나 랭크뉴스 2025.03.31
46598 [특징주] 트럼프 러시아 석유 관세 발언에… 석유株 동반 강세 랭크뉴스 2025.03.31
46597 김수현, 故 김새론 관련 의혹 기자회견 연다 랭크뉴스 2025.03.31
46596 "의사선생님 오늘 마지막‥" 공보의 없어 '의료난' 랭크뉴스 2025.03.31
46595 코스피 공매도 재개에 두달만에 2,500선 내줘…코스닥 2.6%↓(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594 지연되는 탄핵 정국, 갈피 못잡는 한국 경제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④] 랭크뉴스 2025.03.31
46593 이재명 49.5% 김문수 16.3%…李, 양자대결도 모두 앞서 [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92 조경태 "한덕수, 헌재 판단에 따라 마은혁 임명해야" 랭크뉴스 2025.03.31
46591 [단독] '헌재 5:3설'에 野텔레방 난리났다…뚜렷한 근거는 없어 랭크뉴스 2025.03.31
46590 김수현, 오늘 기자회견…쟁점은 미성년 교제 여부 랭크뉴스 2025.03.31
46589 찰스 3세 英국왕, 韓산불 피해 위로… “어머니 환대 받았던 곳” 랭크뉴스 2025.03.31
46588 공매도 수요 폭발했나… 코스피, 2500 붕괴 랭크뉴스 2025.03.31
46587 [속보] 코스피, 2400대까지 추락…지난달 10일 이후 49일만 랭크뉴스 2025.03.31
46586 “바보야 문제는 경제였잖아”…MAGA는 어디에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①] 랭크뉴스 2025.03.31
46585 국민 인내심 한계 달해‥"이번 주는 선고해야" 랭크뉴스 2025.03.31
46584 국토부, GTX-A 손실보전금 164억 원 지급…삼성역 개통 지연 탓 랭크뉴스 2025.03.31
46583 국민의힘 36.1% 민주당 47.3%, 격차 더 벌어졌다[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82 시민들 "이제 尹 얘기하기도 싫어" 집회 참석자들마저 "지친다" 랭크뉴스 2025.03.31
46581 국힘 36.1%, 민주 47.3%…오차범위 밖 벌어져[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80 "그 돈이면 줄 서서 '가성비' 성심당 먹죠"…케이크 4만원 시대 '눈앞'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