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문재인 전 대통령이 2019년 4월 25일 오후 청와대에서 문형배·이미선 신임 헌법재판소 재판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환담장으로 향하고 있다. 왼쪽부터 유남석 당시 헌법재판소장, 문 전 대통령, 이미선·문형배 재판관. [청와대사진기자단]

여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4월 18일까지 나오지 않을 것이란 주장이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헌법재판관 8인 가운데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과 이미선 재판관은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9년 4월 19일 대통령 추천 몫으로 헌재에 들어왔다. 이들 임기는 4월 18일 종료되는데, 국민의힘 내에선 최근 “대통령 탄핵심판이 두 재판관 퇴임 이후로 밀릴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신동욱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27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두 재판관 임기 만료 전에 선고일이 안 잡힐) 그럴 가능성이 있다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실제 등장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당초 당내에선 “늦어도 3말4초에는 탄핵심판 결과가 나올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헌재 선고일 지정이 늦어지는 배경을 놓고도 “3월 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공직선거법 항소심 판결을 보고 결론을 내기 위해 헌재가 전략적으로 판결을 미룬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대표가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은 뒤에도 나온 헌재가 선고일 지정을 하지 않으면서 여권에서 이른바 ‘4·18 이후설’이 힘을 받기 시작했다. 탄핵심판이 인용되려면 8명 가운데 최소 6명의 재판관이 인용 의견을 내야 하는데, “진보 성향의 문형배 대행이 기각 또는 각하 의견의 재판관들을 설득하지 못해서 선고기일을 못 잡는다”(국민의힘 관계자)는 분석이 퍼지고 있기 때문이다. 한 여당 중진 의원은 “헌재 내부에서 ‘인용 대 기각·각하’가 5 대 3 또는 4 대 4 정도로 팽팽한 것 아니겠느냐”며 “조율이 도저히 안 되면 문 대행이 임기 내에 선고기일을 안 잡고 그냥 미뤄버릴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조정훈 국민의힘 전략기획부총장도 27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8대0(인용 결과)을 만들자고 하면 4월 18일이 훅 넘어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선(左), 문형배(右)

여당은 표면적으론 “그건 너무 무책임한 일이고, 역사에 큰 죄를 짓는 것”(신동욱 대변인)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당 일각에선 “조기 대선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게 나을 수도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한 재선 의원은 “만약 대통령 탄핵심판이 인용이 날 가능성이 있다면 차라리 임기를 넘겨 버리는 게 나쁠 게 없다”고 말했다. 특히 이 대표가 선거법 항소심 무죄 판결을 받은 후 친윤·비윤을 막론하고 “(조기 대선이 열리면) 현 시점에서 면죄부를 받은 이재명을 이길 수 없다”(26일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는 조기 대선 회의론이 비등하다. 곧바로 조기 대선을 해서 정권을 내주느니 차라리 탄핵심판이 지연되는 게 ‘이재명 대통령 방지책’으론 더 효과적이란 것이다.

두 재판관 임기 만료까지 윤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가 나지 않으면 선고는 무기한 미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재판관 추천권이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있느냐 없느냐를 놓고 갑론을박이 벌어지면서 시간이 갈 수 있다”고 말했다. 대구·경북 지역구 의원은 “만약 두 명을 임명해야 한다고 해도 추천권이 우리(대통령) 몫이지 않느냐. (야당에서 임명을 요구 중인) 마은혁 재판관 후보자까지 함께 임명해도 숫자 상 불리할 게 없다”고 했다.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움직여 온 찬탄파(탄핵 찬성파)는 선고일 지정이 늦어지며 복잡한 심경을 내비치고 있다. 국민의힘 내부에서 탄핵 반대 여론이 커지면서 차기 주자들도 탄핵심판 전망에 대해선 ”헌재가 판단할 일“이라며 말을 아끼고 있다. 한 찬탄파 의원은 “4월 18일 전까지 선고를 안 하는 건 비상식적인 일이다. 설마 그렇게까지 가겠느냐”며 “초조하게 선고일을 지켜보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44 공짜 와인이 태안 해변에 깔렸다…캘리포니아의 로드트립 유혹 랭크뉴스 2025.03.31
46543 최상목에게 국민을 위한 나라는 있는가[정동칼럼] 랭크뉴스 2025.03.31
46542 오늘 의대생 복귀시한 '디데이'…집단휴학 사태 종지부 주목(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541 현대차 한국 공장 품질 초월한 미국 공장 가보니…로봇 수 백 대 '행렬' 랭크뉴스 2025.03.31
46540 [단독]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월1회 주사 맞는 장기제형 플랫폼 개발…비만 치료제에 우선 적용할 것" 랭크뉴스 2025.03.31
46539 법은 실수도 응징했다...봄철 산불에 유독 엄한 이유 있었다 랭크뉴스 2025.03.31
46538 미국인들이 신차 뽑으려고 줄 선 이유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
46537 '챗GPT 지브리풍 그림' 유행 올라탄 백악관... "부적절" 논란, 왜? 랭크뉴스 2025.03.31
46536 찰스 3세, 한국 산불피해 위로…여왕 안동 방문도 언급 랭크뉴스 2025.03.31
46535 野 "마은혁 임명" 압박에…與 "그럼 문형배·이미선 후임도 뽑자" 랭크뉴스 2025.03.31
46534 대학 강의실에 부장님이?… 신용보증기금이 금융교육 나선 이유 랭크뉴스 2025.03.31
46533 “다 오릅니다” 라면·우유·버거 줄인상… 정국 불안 노렸나 랭크뉴스 2025.03.31
46532 [단독] ‘21년째 비정규직’ 노인 일자리사업 담당자를 아시나요···노조 첫 출범 랭크뉴스 2025.03.31
46531 [단독] 국내 위스키 1·2·3위 모두 매물로 나와 랭크뉴스 2025.03.31
46530 경남 산청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1
46529 트럼프 "휴전합의 안 하면 원유 25% 관세" 랭크뉴스 2025.03.31
46528 공매도 전면 재개…“개미들은 떨고 있다?”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
46527 공매도 재개… 고평가·대차 잔고 비중 큰 종목 주의 랭크뉴스 2025.03.31
46526 트럼프 “3선 가능, 농담 아니다”…민주당 “독재자가 하는 짓” 랭크뉴스 2025.03.31
46525 날계란 맞고 뺑소니로 전치 4주 부상에도 집회장 지키는 이유…“아무도 다치지 않길 바라서”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