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그린란드 향해선 "독립하고 대화하자"…반발 의식한 듯 '협력' 방점
트럼프는 또 '편입' 주장…"세계 평화에 필요, 덴마크도 이해할 것"


그린란드 미군기지서 연설하는 미 부통령
[AP 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브뤼셀=연합뉴스) 정빛나 특파원 = JD 밴스 미국 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덴마크가 자치령인 그린란드 및 북극 안보를 위한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고 맹폭했다.

밴스 부통령은 이날 그린란드 최북단에 있는 피투피크 미 공군 우주기지를 방문한 자리에서 덴마크 지도부를 지목하며 "이토록 놀랍고 아름다운 대지와 훌륭한 사람들로 가득한 곳(그린란드)의 안보 구조에 투자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그는 "그것은 바뀌어야 한다. (그간) 바뀌지 않았기 때문에 그린란드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이 지금과 같은 것"이라고도 말했다.

밴스 부통령은 "덴마크가 그린란드인들을 안전하게 하기 위해 제 할 일을 하지 않았다는 명백한 사실을 말한 것을 두고 덴마크 측에서 많은 비판이 있었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를 비판하는 언론을 향해서는 "대안이 무엇인가. 북극을 중국, 러시아 및 다른 체제에 넘기를 소리인가"라며 "우리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언급했다.

밴스 부통령은 그린란드를 향해서는 유화적 메시지를 적극 발신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그린란드 '매입', '병합' 발언에 대한 그린란드의 강한 반발을 의식한 듯 '협력'에 방점을 뒀다.

그는 "나는 궁극적으로 그들(그린란드)이 미국과 협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우리는 그들을 훨씬 더 안전하게 할 수 있고, 더 많이 보호할 수 있다. 경제적으로도 훨씬 더 좋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우리는 지구상에서 그들의 주권과 안보를 존중해줄 유일한 나라"라고 말하기도 했다.

밴스 부통령은 "덴마크보다 미국의 안보우산 아래에 있는 것이 더 낫다"며 "덴마크의 안보우산은 사실상 모든 것을 우리의 용감한 미군들에게 떠넘겼으며 그 비용을 우리가 대기를 바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린란드 확보를 위한 무력 사용에 관한 계획 초안이 있나'라는 질문에는 "우리는 그린란드인들이 자치권을 통해 덴마크에서 독립하고, 그런 다음 그린란드인들과 대화할 것이라고 예상한다"고 말했다.

이어 "무력 사용이 결코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린란드인들이 합리적이며 좋은 사람들이고, 트럼프 대통령의 스타일대로 이 영토뿐 아니라 미국의 안보를 보장하기 위한 협정을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그린란드 내 미군 증원과 관련해서는 "당장의 즉각적인 계획은 없다"면서도 "우리가 달성하고자 하는 일반적인 목표가 있으며, 이를 위해선 분명 더 많은 자원을 투입하고 쇄빙선과 해군 함정에 더 투자가 요구될 것"이라고 여지를 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그린란드 내 미군 증원 계획을 묻는 말에 "우리는 그린란드가 국제 안보를 위해 필요하다"고 재차 주장했다.

이어 "우리는 세계 평화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나는 덴마크와 유럽연합(EU)이 그것을 이해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우리는 선택의 여지가 없다"고 밝혔다.

밴스 부통령은 이날 당일치기로 그린란드를 찾아 피투피크 기지를 방문한 뒤 떠날 예정이다.

당초 부인인 우샤 밴스 여사가 사흘간 머물며 현지 개 썰매 대회 등을 참관할 예정이었으나 덴마크와 그린란드 모두 강력히 반발하면서 하루 일정으로 축소했다.

이날은 그린란드에 새 연립정부가 출범한 날이다.

33세 옌스-프레데리크 니엘센 신임 총리는 장기적 독립을 지지하면서도 경제적 자립을 할 때까지는 덴마크와 건설적 협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미국 편입은 단호히 거부한다는 입장도 여러 차례 밝혔다.

의회 75%를 장악하는 거대 연정을 이끌게 된 그는 이날도 "현재 우리는 압박받고 있다"며 "단합해야 한다. 함께해야 우리는 가장 강력할 수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524 애니팡 따라 창업했다가 폐업… “비싸고 맛없는 와인, 꼭 나 같았죠”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23 회계 부실 처리에 허위 서명까지…국립문화유산연구원 감사 적발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22 폭싹 속았수다? “이제 시작” 아흔넷 할머니가 들려주는 ‘그림책 도전기’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21 트럼프, 내일 ‘상호 관세’ 연설…“발표 즉시 발효”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20 "마지막 기회"…압구정 신현대 92억·현대 1차 92억 줄줄이 신고가 [집슐랭]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19 하루 10원도 벌면 좋다… 고물가 시대 ‘앱테크족’ 모십니다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18 '20석' 방청석에 8만 명 몰려‥"생중계도 허용"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17 [르포] 강원 고성산불 피해지 복원 30년…생태 안정까지 70년 더 걸린다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16 도수치료 실손 못 받는다…보험료 50% 낮춘 5세대 실손 보험 예고 [S머니-플러스]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15 돌아온 의대생 수업 거부 계속되나··· “수업 거부하고 단체 유급 택할 수도”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14 오늘 4·2재보궐 선거, 당락은 오후 9시 넘어야···낮은 투표율이 관건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13 트럼프, 상호관세 내일 발표‥"즉시 효력"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12 4일 오전 11시 尹탄핵 선고… 권성동 "판결에 승복"·박찬대 "만장일치 인용"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11 성낙인 "尹대통령과 여야, 헌재 선고 전 승복 선언 나서야"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10 따봉 이후, 53명이 죽었다 [기자메모]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09 토허제 유예 5일간 ‘막차’ 신고가 속출… 재지정 후 ‘규제 사각지대’ 경매 쏠림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08 美백악관 '상호관세, 한국시간 3일 오전 5시부터' 확인... "트럼프 발표 즉시 발효"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07 '국회 침탈' 122일 만에‥'심판의 날' 잡혔다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06 [팩트체크] 우리나라는 대규모 지진에 안전하다? new 랭크뉴스 2025.04.02
47505 상장 마구 시키더니 결국 일 터졌다… 제값보다 비싸게 팔린 ETF new 랭크뉴스 2025.0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