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월말 캐나다 선거 직후 만나 정치·비즈니스·양국 도움 될 사안 논의"
캐나다 총리실 "매우 건설적 대화…4월 2일 후 대미 보복관세 방침 전달"


캐나다 카니 총리(왼쪽)와 트럼프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뉴욕=연합뉴스) 박성민 이지헌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자신이 벌이고 있는 글로벌 관세전쟁의 최대 표적 중 하나인 캐나다의 신임 총리와 통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 소유의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방금 캐나다의 마크 카니 총리와 통화를 마쳤다"고 적었다.

이어 "매우 생산적인(extremely productive) 통화였으며, 많은 부분에 대해 의견을 같이했다"면서 "다가오는 캐나다 선거(총선) 직후 만나 정치, 비즈니스, 그리고 모든 다른 요소들을 논의할 것이며, 이는 양국 모두에 도움이 되는 쪽으로 마무리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백악관에서 진행한 뉴저지주 검찰총장 임명식에서 "오전 10시에 카니 총리가 전화를 걸어왔다"며 "아주 좋은 대화를 나눴고, 캐나다와 미국 간의 일들이 잘 풀릴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통화 사실을 재확인했다.

캐나다 총리실도 이날 발표문을 내고 "오늘 카니 총리와 트럼프 대통령이 양국 관계에 관해 매우 건설적인 대화를 나눴다"라고 확인했다.

캐나다 총리실은 "두 정상은 (캐나다) 선거 직후 새로운 경제 및 안보 관계에 대한 포괄적인 협상을 시작하기로 합의했다"며 그전까지 당면 우려 사항에 대처하기 위해 도미니크 르블랑 캐나다 국제통상부 장관과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부 장관이 대화를 강화하기로 두 정상이 동의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카니 총리는 이날 통화에서 미국이 오는 4월 2일 추가적인 무역 조치를 발표한 이후 캐나다 정부가 자국 노동자와 경제를 보호하기 위해 보복 관세를 시행할 계획임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알렸다고 총리실은 전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 행사에서 '캐나다가 보복 조치를 시행하면 더 큰 규모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는데 이 약속을 지킬 것이냐'고 묻자 "분명히 그렇다"(absolutely)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어 4월 2일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예고한 상호관세를 언급, "캐나다를 언급하는 게 아니라 많은 나라들이 우리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우리는 결국 캐나다를 비롯한 많은 나라와 좋은 관계를 맺게 될 것이다. 일부는 그렇지 않을 수 있겠고 그다지 즐겁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상호관세에) 동의하는 나라가 대부분일 것이다. 실제로 많은 나라가 사과했다. 그들은 '우리는 이득을 취했다'고 말했다"면서 이 문제를 풀지 못한 자신의 전임 대통령들을 비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5일 취임한 카니 총리와 통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북미 대륙을 남북으로 구성하고 있는 미국과 캐나다는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2기 행정부를 출범시킨 뒤 관계가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전부터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편입하겠다는 '야욕'을 숨기지 않으면서 쥐스탱 트뤼도 전 총리를 '주지사'로 칭하기도 해 캐나다에서 반미 감정이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캐나다의 대미 수출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철강과 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오는 4월 3일에는 자동차에까지 25%의 관세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내달 2일엔 상호관세를 발표하겠다고 예고했다.

카니 총리는 전날 내각 특별위원회 회의를 마친 뒤 회견에서 양국 간에 경제·안보 밀착 관계가 "이제 끝났다"고 선언하면서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해 "미국에 최대한의 영향을 미치고 캐나다에는 최소한의 영향을 주는 보복 조치"를 공언하기도 했다.

다만, 두 정상이 이날 처음 통화를 한 데다 트럼프 대통령이 통화 내용을 "매우 생산적"이라고 평가하면서 양국이 향후 정상간 협상을 통해 관계 회복의 계기를 찾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캐나다 총선은 오는 4월 28일 치러진다.

트뤼도 전 총리가 이끈 집권 자유당은 물가 상승과 이민자 문제 등으로 지지도가 하락해 정권 교체가 확실시 돼 왔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합병 및 관세 위협에 이어 카니 총리가 취임하면서 지지도가 급상승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연합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65 '꼼꼼하고 신중하게' 외치더니... 권영세 "헌재, 이제 조속히 결단해야" 랭크뉴스 2025.03.31
46664 이재명 “尹 복귀는 제2계엄 의미…韓·崔, 마은혁 미임명 책임 물어야” 랭크뉴스 2025.03.31
46663 [1보]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 랭크뉴스 2025.03.31
46662 이재명, ‘대장동 재판’ 증인 4번째 불출석… 法 “구인·감치 고민” 랭크뉴스 2025.03.31
46661 [단독] 게임업체 S사 男 직원, 승강기서 女 동료 신체 찍어 입건… “불법 촬영물 다수 발견” 랭크뉴스 2025.03.31
46660 알테오젠 ‘월 1회 비만치료제 플랫폼 개발’ 소식에 강세 [Why 바이오] 랭크뉴스 2025.03.31
46659 여당서도 "마은혁 임명해야"‥'원칙 왜 안 지키나' 일침 랭크뉴스 2025.03.31
46658 [단독]명태균, 의령군 예산 쥐락펴락?···640억 규모 사업 개입 정황 랭크뉴스 2025.03.31
46657 '11억원이면 아이비리그' 대입 컨설팅…또 '미국판 스카이캐슬' 랭크뉴스 2025.03.31
46656 이재명, 대장동 재판 4연속 불출석…재판부 "강제조치 고민중" 랭크뉴스 2025.03.31
46655 "장제원 잠든 사이 호텔방 찍었다"…고소인 측, 성폭행 증거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654 코웨이 정기주총서 집중투표제 부결…얼라인 “46.6% 주주 지지 확인” [시그널] 랭크뉴스 2025.03.31
46653 '성폭행 혐의' 장제원 전 의원 고소인측, 동영상 등 증거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652 이준석 "657만 원 내고 1억 1800만 원 받아…폰지사기와 다를 바 없어" 다시 국민연금 '저격' 랭크뉴스 2025.03.31
46651 민주 "'美국채 매수' 최상목, 환율 급등 베팅…경제 내란" 랭크뉴스 2025.03.31
46650 기약없는 탄핵심판에…시민단체, 헌법재판관 ‘직무유기’ 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649 ‘사법 리스크’ 덜어낸 이재명, 50% 지지율 육박…김문수는 16.3% 랭크뉴스 2025.03.31
46648 윤하 남편 정체는 '과학쿠키'…카이스트 출신 44만 유튜버 랭크뉴스 2025.03.31
46647 "장제원 잠든 새 호텔방 찍었다"…고소인 측, 성폭행 증거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646 부산 해운대 아파트서 아버지 살해한 30대 남성 구속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