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4일 서울 시내 한 의과대학에 학생들이 오가고 있다. 정효진 기자


서울대 의대에 이어 울산대 의대생들도 전원이 올해 1학기 복학 신청을 하기로 했다. 연세대 의대는 1명을 제외한 전원이 복학 신청을 했고, 가톨릭대 의대는 ‘등록 후 수업 거부’로 선회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학에선 1학기 등록 마감을 앞두고 막판까지 면담, 공청회 등을 통해 학생 설득에 나서면서도 “기한을 넘기면 제적”이라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대학 총장들은 “학생들이 돌아와 정상 수업을 하면 의대 정원을 원점으로 되돌린다”는 기존 입장을 강조했다.

울산대 의대 관계자는 28일 “오늘 오전 학생들 내부 논의를 거쳐 의대생 전원이 복학 신청해 복귀하는 것으로 의결했다”고 말했다. 울산대는 이날 올해 1학기 등록을 하지 않은 의대생 중 제적 대상자에게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내려 했지만 학생 전원 복귀 소식을 듣고 제적 예정 통보서 발송을 취소했다.

울산대 의대는 지난 27일 올해 1학기 등록을 마감했다. 당초 울산대 의대생 80~90%가량이 ‘미복귀 휴학’을 유지하는 데 동조하는 분위기였다고 한다. 울산대 의대 교수들이 “제적은 없다”는 입장을 최근까지 유지하면서 의대생들 사이에서도 ‘제적까진 가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공유됐다. 다만 한 울산대 의대생은 “동료들에게 낙인찍히는 게 두려워 수업 복귀를 못 하는 학생들도 적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이날 등록 마감이었던 가톨릭대 의대는 등록 마감일을 30일로 미뤘다. 가톨릭대 의대는 내부적으로 ‘등록 후 수업거부’로 의견을 모으고 상당수 학생들이 복학 신청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울산대와 가톨릭대 의대생들의 수업 등록 결정에는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의 수업 복귀 움직임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서울대는 전날 수업 등록을 마감했는데, 군 휴학 등 휴학자를 제외하면 사실상 재학생 전원이 복학 신청을 했다. 연세대는 이날까지 1명을 제외한 재학생 전원이 복귀 신청을 마쳤다. 고려대는 의대생들의 80~90%가량이 수업 등록을 하거나 수업 복귀 의사를 밝힌 상황이다.

주요 의대에선 수업 등록을 하지 않았지만 추가 복학 의사를 밝힌 학생들과 면담을 진행 중이다. 고려대는 당초 이날까지 등록금 납부 마감을 하려 했지만, 의대생들과 교수진의 면담을 당분간 이어가기로 했다. 고려대 의대 관계자는 “상담 신청이 200명 가까이 들어왔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면담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달 31일까지 의대생과 교수진의 상담을 조금 더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원광대 의대 학장단이 28일 작성해 홈페이지에 공개한 서한문. 홈페이지 갈무리


이날 건국대, 경희대, 고신대, 성균관대, 전남대, 전북대 등 20개 가까운 대학은 1학기 등록 마감을 앞두고 막판까지 수업 복귀 설득에 나섰다. 일부 대학은 학칙 개정을 통해 제적 기준을 완화하면서 학생 복귀를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원광대 의대는 이날 홈페이지에 교육부의 학습권 보호 안내 공문, 복학 원서 e메일 제출 방법, 학장단 서한문을 동시에 올렸다. 원광대 의대 학장단은 서한문에 “31일 이후에는 의과대학 학장단 통제를 벗어나 ‘학생 보호’라는 의대의 원칙과 의지와 전혀 상관없이 다른 심각한 상황을 맞이하게 될까 두렵다”며 “31일 자정까지 복학원 제출을 해주시길 간곡히 바란다”고 썼다.

다수 대학은 의대생 복귀 설득과는 별개로 ‘미등록시 학칙 적용’이라는 당초 원칙은 그대로 적용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인하대는 이날 자정까지 수강신청하지 않는 학생은 학칙에 따라 제적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조선대도 이날 자정까지 복학 신청을 받은 뒤 제적 대상자에게는 오는 31일 제적 예정 통보서를 발송하기로 했다.

의과대학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은 이날 합의문을 내고 수업 복귀 후 정상 수업이 진행되면 정원을 2024년 수준으로 되돌리겠다는 정부 방침을 재차 강조했다. 의총협은 “학생들이 돌아와 정상 수업을 할 경우 지난 의총협에서 결의한 바와 같이 2026학년도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조정한다는 점을 재확인한다”고 했다.

의총협은 또 대한의사협회가 나서서 의대생을 설득해줄 것을 요청했다. 의총협은 “대한의사협회에서도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가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내어 줄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691 '장제원 성폭력 의혹' 피해자 측, 경찰에 동영상 등 증거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690 ‘성폭력 의혹’ 장제원 전 의원 고소인 측 “동영상 등 증거 경찰에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689 경찰 “김성훈 구속영장 기각, 윤 대통령 구속 취소 고려된 듯” 랭크뉴스 2025.03.31
46688 [단독] 野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법사위 전문위원은 '위헌' 지적 랭크뉴스 2025.03.31
46687 [단독]토지거래구역 재지정 여파···부르는 게 값인 ‘연립아파트’를 찾아라? 랭크뉴스 2025.03.31
46686 “제품 무상·생필품도 보내겠다” 산불 지역 고객 감동 시킨 쇼핑몰 [아살세] 랭크뉴스 2025.03.31
46685 이재명 ‘대장동 재판’ 증인 네 번째 불출석…법원 “강제조치 고민 중” 랭크뉴스 2025.03.31
46684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인수합병 추진” 랭크뉴스 2025.03.31
46683 ‘정산 지연’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 랭크뉴스 2025.03.31
46682 기약 없는 탄핵심판…시민단체, 헌법재판관 ‘직무유기’ 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681 2월 전국 '악성 미분양' 2만3722가구…전월 比 3.7%↑ 랭크뉴스 2025.03.31
46680 이재명 "尹 복귀시 5·18과 비교할 수 없는 혼란과 유혈사태" 랭크뉴스 2025.03.31
46679 北, 소년단지도원 대강습 첫 개최…북한판 'MZ' 길들이기 관측 랭크뉴스 2025.03.31
46678 [단독] 최여진, '돌싱' 예비신랑과 6월 1일 결혼 랭크뉴스 2025.03.31
46677 "尹 지키는 게 자유대한민국 수호"... '용현이형 응원떡' 돌린 김용현 랭크뉴스 2025.03.31
46676 명품 플랫폼 발란, 기업회생절차 신청 랭크뉴스 2025.03.31
46675 박찬대 "윤석열" 권성동 "윤석열? 우리도 이재명이라고 할까" 랭크뉴스 2025.03.31
46674 이재명 "尹 복귀는 제2의 계엄 의미…韓·崔 책임 물어야" 랭크뉴스 2025.03.31
46673 영국 명문 '위컴 애비' 분교, 인천 미단시티에 들어선다…우선협상자 선정 랭크뉴스 2025.03.31
46672 이재명 "尹 복귀 시 광주 5·18과 비교할 수 없는 혼란과 유혈사태"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