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8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뉴스1
정부가 제시한 의대생 복귀 데드라인(31일)을 앞두고 대학들의 막판 설득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대·고려대·연세대에 이어 울산대·성균관대 학생들도 올 1학기에 등록하기로 했다. 다만 인하대 등 일부 학교 의대생들은 미등록 휴학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는 총 698명이 전날(27일) 등록을 마쳤다. 군 휴학자들을 제외한 전원이 복귀했다. 이날 서울대 의대 전공과목들 상당수는 수강 신청한 학생들로 수업 정원(TO)을 많이 채웠다. 연세대도 1명을 제외하고 모든 학생이 등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재영 의대 학장은 이날 교수들에게 보낸 글에서 “오후 5시 등록 마감 결과 1명을 제외한 모든 학생이 복학 신청과 등록을 완료했다”며 “오늘 우리 대학에선 1명의 제적 학생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성균관대 의대생들도 이날 자체 투표를 거쳐 과반수가 복귀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등록 신청 마감 시한인 이날 자정까지 전원 복학 신청을 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성대는 학생들의 복학 문의가 급증함에 따라 오후 5시였던 마감 시간을 자정까지로 연장했다. 학교 관계자는 "오후 10시 기준 등록률이 92%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울산대 의대생들도 전원 복귀하기로 했다. 이날 울산대 관계자는 “복학하지 않은 의대생에게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내기로 했으나, 학생 전원이 복학할 의사를 밝혀 통보서 발송을 보류했다”고 밝혔다.

앞서 제적 대상자에게 예정 통보서를 발송했던 고려대는 추가 등록 문의가 쇄도하자 이날 예정했던 제적 통보를 미루고 31일까지 등록을 연장했다. 고려대 관계자는 "복학하려는 학생들의 면담 신청이 추가 접수됐다"고 말했다.

가톨릭대 등도 예상보다 많은 학생이 등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사직 전공의는 "특히 24학번의 등록률이 높은 편인데, 다른 학번과 달리 이번에 제적되면 재입학이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여전히 '미등록 투쟁' 입장을 고수하는 의대도 적지 않다. 이날 등록 절차가 마감되는 인하대는 학생 220명 투표 결과, 미등록에 표를 던진 이가 97%를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나머지도 등록 후 휴학에 손을 들었다. 이에 따라 학생 대표가 미등록을 이어간다는 방침을 전체 학생들에 공지했다.

이미 마감일이 지난 의대들은 가급적 복학 신청을 받겠단 입장이다. 수도권의 한 의대 관계자는 "상당수 의대가 '31일까지 돌아오겠다는 학생들은 받아주자'는 생각일 것"이라고 전했다. 상대적으로 등록률이 낮은 비수도권 의대는 온라인 학생 공청회 등을 열며 학생 설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날 마감하는 조선대는 전날 의대 학장 주재로 학생 간담회를 개최했으며, 원광대도 이날 오후 학년별 온라인 간담회를 열었다.
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 2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대생의 복귀 움직임을 겨냥해 이날 박단 대한의사협회 부회장(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아직 주저앉을 때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그는 "상대의 칼끝은 내 목을 겨누고 있는데,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 등록 후 수업 거부를 하면 제적에서 자유로운 건 맞나"라며 미등록 휴학을 유지하자고 호소했다.

전국 의대 총장들의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이날 간담회를 열고 "의협에서도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가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내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의협은 정례 브리핑에서 "학생들이 독립적 판단을 내리는 주체로서 결정할 것으로 믿는다. 그들이 내린 결정은 어떤 결정이든 존중돼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만 반복했다.

교육부는 31일까지의 학생 복귀 비율을 집계해 2026학년도 의대 선발 인원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교육계 관계자는 "70% 이상 학생들이 복귀한다면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한 수준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240 임지봉 "8대0 또는 6대2로 인용될 것" [4일 尹탄핵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239 외교부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채용 유보…감사원에 공익감사 청구" 랭크뉴스 2025.04.01
47238 김민전 “우리 대통령 돌려주세요”…국힘, 윤 탄핵 선고 앞두고 막판 기각 호소 랭크뉴스 2025.04.01
47237 내일 4·2 재보궐 선거…서울 구로구청장·부산교육감 등 23곳 랭크뉴스 2025.04.01
47236 외교부 "검찰총장 자녀 채용 공익감사 청구…채용 결정 유보"(종합) 랭크뉴스 2025.04.01
47235 경찰, 내일 전국 지휘부 화상회의…탄핵선고일 경비대책 논의 랭크뉴스 2025.04.01
47234 “헌재 5:3은 아니다”…‘탄핵 아니면 4:4’ 무게추는 파면에 랭크뉴스 2025.04.01
47233 [포커스] 조경태 "비상계엄·국회 찬탈은 잘못‥상식적 결과 나올 것" 랭크뉴스 2025.04.01
47232 경찰, 헌재 인근 100m ‘진공상태’ 착수…“위험 예방 조치” 랭크뉴스 2025.04.01
47231 민주당, 심우정 자녀 특혜 채용 의혹 진상조사단 구성 랭크뉴스 2025.04.01
47230 한덕수 상법개정안 거부에…“개미 염원 걷어차” 거센 반발 랭크뉴스 2025.04.01
47229 탄핵 선고일 헌재·대통령 관저 인근 13개 학교 ‘임시 휴업’ 랭크뉴스 2025.04.01
47228 헌재 尹선고방식…전원일치면 '이유'·나뉘면 '주문' 먼저 관례 랭크뉴스 2025.04.01
47227 한덕수 상법개정 거부에…“개미 염원 걷어차” 거센 반발 랭크뉴스 2025.04.01
47226 "오르기 전에 빨리 사자"…'관세 폭탄'에 美 자동차 시장 연쇄 패닉[르포] 랭크뉴스 2025.04.01
47225 ‘성폭행 혐의’ 장제원 숨진 채 발견…“피해자 안전 도모해야” 랭크뉴스 2025.04.01
47224 현대면세점, 동대문점 폐점·무역센터점은 2개층으로 축소 랭크뉴스 2025.04.01
47223 [속보]외교부, 심우정 검찰총장 자녀 특혜 의혹 공익감사 청구…채용은 보류 랭크뉴스 2025.04.01
47222 “1만30원vs1만 2600원” 택배·배달기사 최저임금 확대적용 될까 랭크뉴스 2025.04.01
47221 '폭싹 속았수다' 리뷰 수익금에 사비 보태 4·3재단에 기부한 유튜버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