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8일 서울의 한 의과대학 앞으로 시민들이 오가고 있다. 뉴스1
정부가 제시한 의대생 복귀 데드라인(31일)을 앞두고 대학들의 막판 설득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대·고려대·연세대에 이어 울산대·성균관대 학생들도 올 1학기에 등록하기로 했다. 다만 인하대 등 일부 학교 의대생들은 미등록 휴학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결정을 내린 것으로 확인됐다.

28일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대는 총 698명이 전날(27일) 등록을 마쳤다. 군 휴학자들을 제외한 전원이 복귀했다. 이날 서울대 의대 전공과목들 상당수는 수강 신청한 학생들로 수업 정원(TO)을 많이 채웠다. 연세대도 1명을 제외하고 모든 학생이 등록한 것으로 확인됐다. 최재영 의대 학장은 이날 교수들에게 보낸 글에서 “오후 5시 등록 마감 결과 1명을 제외한 모든 학생이 복학 신청과 등록을 완료했다”며 “오늘 우리 대학에선 1명의 제적 학생이 발생했다”고 밝혔다.

성균관대 의대생들도 이날 자체 투표를 거쳐 과반수가 복귀 의견을 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등록 신청 마감 시한인 이날 자정까지 전원 복학 신청을 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성대는 학생들의 복학 문의가 급증함에 따라 오후 5시였던 마감 시간을 자정까지로 연장했다. 학교 관계자는 "오후 10시 기준 등록률이 92%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울산대 의대생들도 전원 복귀하기로 했다. 이날 울산대 관계자는 “복학하지 않은 의대생에게 제적 예정 통보서를 보내기로 했으나, 학생 전원이 복학할 의사를 밝혀 통보서 발송을 보류했다”고 밝혔다.

앞서 제적 대상자에게 예정 통보서를 발송했던 고려대는 추가 등록 문의가 쇄도하자 이날 예정했던 제적 통보를 미루고 31일까지 등록을 연장했다. 고려대 관계자는 "복학하려는 학생들의 면담 신청이 추가 접수됐다"고 말했다.

가톨릭대 등도 예상보다 많은 학생이 등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 사직 전공의는 "특히 24학번의 등록률이 높은 편인데, 다른 학번과 달리 이번에 제적되면 재입학이 불가능하다는 점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다만 여전히 '미등록 투쟁' 입장을 고수하는 의대도 적지 않다. 이날 등록 절차가 마감되는 인하대는 학생 220명 투표 결과, 미등록에 표를 던진 이가 97%를 넘긴 것으로 확인됐다. 나머지도 등록 후 휴학에 손을 들었다. 이에 따라 학생 대표가 미등록을 이어간다는 방침을 전체 학생들에 공지했다.

이미 마감일이 지난 의대들은 가급적 복학 신청을 받겠단 입장이다. 수도권의 한 의대 관계자는 "상당수 의대가 '31일까지 돌아오겠다는 학생들은 받아주자'는 생각일 것"이라고 전했다. 상대적으로 등록률이 낮은 비수도권 의대는 온라인 학생 공청회 등을 열며 학생 설득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날 마감하는 조선대는 전날 의대 학장 주재로 학생 간담회를 개최했으며, 원광대도 이날 오후 학년별 온라인 간담회를 열었다.
김성근 대한의사협회 대변인이 28일 서울 용산구 의협회관에서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의대생의 복귀 움직임을 겨냥해 이날 박단 대한의사협회 부회장(대한전공의협의회 비대위원장)은 페이스북을 통해 "아직 주저앉을 때가 아니다"고 주장했다. 그는 "상대의 칼끝은 내 목을 겨누고 있는데, 팔 한 짝 내놓을 각오도 없이 뭘 하겠다고. 등록 후 수업 거부를 하면 제적에서 자유로운 건 맞나"라며 미등록 휴학을 유지하자고 호소했다.

전국 의대 총장들의 모임인 '의과대학 선진화를 위한 총장협의회'(의총협)는 이날 간담회를 열고 "의협에서도 학생들이 학교로 돌아가라는 강력한 메시지를 내줄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의협은 정례 브리핑에서 "학생들이 독립적 판단을 내리는 주체로서 결정할 것으로 믿는다. 그들이 내린 결정은 어떤 결정이든 존중돼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만 반복했다.

교육부는 31일까지의 학생 복귀 비율을 집계해 2026학년도 의대 선발 인원을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교육계 관계자는 "70% 이상 학생들이 복귀한다면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한 수준으로 보고 있다"고 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56 가좌역 선로에 물 고여 경의중앙선 DMC∼공덕 5시간째 운행중지(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755 국회 운영위,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임명촉구 결의안 가결…여당 불참 랭크뉴스 2025.03.31
46754 헌법재판소 “마은혁 미임명은 위헌…헌법절차 작동돼야” 랭크뉴스 2025.03.31
46753 [속보] 권성동 "野, 韓탄핵 돌입시 정부와 문형배·이미선 후임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52 헌재 사무처장 "尹사건 신중 검토…재판관 임기연장 입장 없다" 랭크뉴스 2025.03.31
46751 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내란=위헌 판단이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1
46750 "금융위기 이후 최고치"…공매도 여파에 상호관세 경계감이 키운 환율 [김혜란의 FX] 랭크뉴스 2025.03.31
46749 벌써 딥시크 '짝퉁' 논란…쏟아지는 유사상표에 '화들짝' 랭크뉴스 2025.03.31
46748 [속보] 김승연 한화 회장, ㈜한화 지분 11.32% 세아들에 증여 랭크뉴스 2025.03.31
46747 "尹 사건 젤 먼저 한댔잖아요!" 묻자 헌재 관계자가‥ [현장영상] 랭크뉴스 2025.03.31
46746 윤건영 “검찰, 윤석열 구속취소 전후 문재인 전 대통령에 2차례 소환 요구” 랭크뉴스 2025.03.31
46745 첫 위헌 심판대 오른 ‘중대재해법’…노동계 “노동자 안전 외면” 랭크뉴스 2025.03.31
46744 창원NC파크 구조물 추락사고 피해 여성 끝내 숨져 랭크뉴스 2025.03.31
46743 권성동 "野, 韓탄핵안 발의시 문형배·이미선 후임 지명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42 조국혁신당, ‘민주당·김어준 내란죄 고발’ 국민의힘 주진우 무고죄로 맞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741 “이 판단이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향해 일갈 랭크뉴스 2025.03.31
46740 [속보] 원·달러 환율 주간 종가 1472.9원…금융위기 후 최고 랭크뉴스 2025.03.31
46739 권성동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韓 대행이 임명할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3.31
46738 [맞수다] "헌재 기류 이상?"‥"尹 복귀 시나리오 의심" 랭크뉴스 2025.03.31
46737 “무너진 학교·유치원 접근도 못 해”…미얀마 강진 사망 최소 3천명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