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태국서 공사 중이던 30층 건물 무너지기도
미얀마·태국 양국 정부 ‘비상사태’ 선포
진도 7.7의 지진이 발생한 미얀마 네피도. 신화통신연합뉴스

미얀마 중부에서 진도 7.7의 강진이 발생해 144명이 사망했다. 미얀마 인근의 태국에 여파가 미쳐 건물이 무너지며 5명이 숨졌다. 양국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사태 수습에 나섰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와 미국지질조사국(USGS) 등에 따르면 28일 오후 12시50분쯤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진앙은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떨어진 지점으로 추정된다. 진원 깊이는 10㎞로 파악됐다.

최초 지진 발생 12분 후 규모 6.4의 여진이 같은 지역에서 발생했다. 연이은 지진으로 미얀마 곳곳의 다리, 건물 등이 붕괴됐다.

진도 7.7의 지진이 발생한 미얀마 네피도. AFP연합뉴스

중국 CCTV에 따르면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이날 TV 연설을 통해 “지진으로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SNS에는 만달레이와 인접 사가잉시를 잇는 90년 된 다리가 무너진 사진 등이 올라왔다. 미얀마 중부 아웅반의 3~4층 건물로 추정되는 호텔이 붕괴된 모습도 공유됐다.

네피도와 만달레이 공항은 폐쇄됐다. 미얀마 국영 항공사 ‘미얀마국제항공’은 이날 SNS를 통해 지진으로 추후 별도 공지가 있을 때까지 네피도, 만달레이 공항을 오가는 항공편이 취소됐다고 밝혔다.

만달레이와 네피도를 잇는 고속도로 또한 끊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왕궁과 건물들이 부서지며 거리 곳곳에 잔해와 파편이 널려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AFP통신은 1000개의 병상을 갖춘 네피도의 대형 종합병원 응급실이 부상자로 가득 찼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환자들은 응급실 밖에서도 누워서 치료를 받고 있다.

한 만달레이 주민은 “눈앞에서 5층짜리 건물이 무너지는 것을 목격했다”고 로이터 통신에 전했다. 이 주민은 “모든 것이 흔들리기 시작하자 우리 모두가 집에서 뛰쳐 나왔다”며 “우리 마을 사람들은 모두 길에 나와 있고 아무도 건물 안으로 들어가려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의 여파로 태국 방콕에서 건설 중이던 건물이 무너지는 모습. AFP연합뉴스

지진 발생 지역과 1000㎞ 이상 떨어진 태국의 수도 방콕에도 지진의 여파가 미쳤다. 방콕의 관광 명소인 짜뚜짝 시장 근처에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빌딩이 붕괴됐다. 이 사고로 건설 노동자 117명이 매몰되고 5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SNS에는 건설 중이던 고층 건물이 먼지 폭풍을 일으키며 붕괴하는 모습이 공유됐다.

방콕 곳곳의 빌딩, 아파트, 쇼핑몰 등이 심하게 흔들리며 주민들 또한 대피했다. 영국인 관광객 프레이저 모턴은 AP통신에 “쇼핑몰에 있다가 갑자기 건물이 흔들리기 시작했고 고층 건물에서 멀리 떨어진 공원으로 대피했다”며 “밖에 나와 거물을 올려다보니 먼지와 잔해가 떨어지고 있었다”고 긴박한 상황을 전했다.

규모 7.7의 강진 발생으로 무너진 건물 앞에 서있는 미얀마 만델레이 시민들. AFP연합뉴스

양국은 일단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미얀마 군사정권은 이번 지진으로 피해가 발생한 6개 지역에 대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에 인도주의 지원을 요청했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도 긴급회의를 소집해 방콕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태국 정부는 여진에 대비해 전철 운행을 중단하고 고층 빌딩 등 위험 지역 출입을 통제했다. 태국 증권거래소도 모든 거래를 중단했다.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 거주 중인 이정호 재미얀마 한인회보 편집장은 “만달레이에 지인이 있어서 안부가 걱정돼 전화를 걸었지만 현재 연결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며 “양곤에서는 아직 건물 붕괴 등의 큰 피해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고 연합뉴스에 전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743 권성동 "野, 韓탄핵안 발의시 문형배·이미선 후임 지명 협의" 랭크뉴스 2025.03.31
46742 조국혁신당, ‘민주당·김어준 내란죄 고발’ 국민의힘 주진우 무고죄로 맞고발 랭크뉴스 2025.03.31
46741 “이 판단이 그렇게 어려운 일인가”…서울대 교수·연구자 702명 헌재 향해 일갈 랭크뉴스 2025.03.31
46740 [속보] 원·달러 환율 주간 종가 1472.9원…금융위기 후 최고 랭크뉴스 2025.03.31
46739 권성동 “대통령 몫 헌법재판관, 韓 대행이 임명할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3.31
46738 [맞수다] "헌재 기류 이상?"‥"尹 복귀 시나리오 의심" 랭크뉴스 2025.03.31
46737 “무너진 학교·유치원 접근도 못 해”…미얀마 강진 사망 최소 3천명 랭크뉴스 2025.03.31
46736 美 제재로 中 선박 주문 취소 현실화… 韓 조선엔 호재 랭크뉴스 2025.03.31
46735 [속보] 국회 운영위, 헌법재판소 마은혁 재판관 임명촉구 결의안 가결 랭크뉴스 2025.03.31
46734 빌 게이츠가 예상하는 10년 후 AI 때문에 사라질 직업은? 랭크뉴스 2025.03.31
46733 창원 NC파크 구조물 추락 사고, 20대 여성 관중 결국 사망 랭크뉴스 2025.03.31
46732 '오세훈 아내 강의실 침입 혐의' 강진구 전 더탐사 대표 무죄 확정 랭크뉴스 2025.03.31
46731 "국민 불안 커져"‥국회 측, 尹탄핵심판에 각계 시국선언문 제출 랭크뉴스 2025.03.31
46730 윤봉길 의사 "테러실행범" 지칭한 산케이... 추모관 설립에 우익 반대 시위 격화 랭크뉴스 2025.03.31
46729 "을사8적·반역자 될 건가"... 전현희, 헌재에 '윤석열 파면' 압박 랭크뉴스 2025.03.31
46728 "기업회생은 아니라더니" 발란, 결국 '법정관리' 행 랭크뉴스 2025.03.31
46727 [속보]국회 운영위, ‘마은혁 임명 촉구 결의안’ 野 주도로 통과 랭크뉴스 2025.03.31
46726 김혜경 항소심, 이재명 전 수행직원 증인 채택…"4월 14일 종결" 랭크뉴스 2025.03.31
46725 문재인 소환 통보…민주당 “국면 전환 위한 정치 탄압” 랭크뉴스 2025.03.31
46724 [속보] 권성동 "野, 韓탄핵 돌입시 대통령몫 재판관 추천 정부와 협의"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