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태국서 공사 중이던 30층 건물 무너지기도
미얀마·태국 양국 정부 ‘비상사태’ 선포
진도 7.7의 지진이 발생한 미얀마 네피도. 신화통신연합뉴스

미얀마 중부에서 진도 7.7의 강진이 발생해 144명이 사망했다. 미얀마 인근의 태국에 여파가 미쳐 건물이 무너지며 5명이 숨졌다. 양국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사태 수습에 나섰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와 미국지질조사국(USGS) 등에 따르면 28일 오후 12시50분쯤 미얀마 중부 내륙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진앙은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떨어진 지점으로 추정된다. 진원 깊이는 10㎞로 파악됐다.

최초 지진 발생 12분 후 규모 6.4의 여진이 같은 지역에서 발생했다. 연이은 지진으로 미얀마 곳곳의 다리, 건물 등이 붕괴됐다.

진도 7.7의 지진이 발생한 미얀마 네피도. AFP연합뉴스

중국 CCTV에 따르면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이날 TV 연설을 통해 “지진으로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SNS에는 만달레이와 인접 사가잉시를 잇는 90년 된 다리가 무너진 사진 등이 올라왔다. 미얀마 중부 아웅반의 3~4층 건물로 추정되는 호텔이 붕괴된 모습도 공유됐다.

네피도와 만달레이 공항은 폐쇄됐다. 미얀마 국영 항공사 ‘미얀마국제항공’은 이날 SNS를 통해 지진으로 추후 별도 공지가 있을 때까지 네피도, 만달레이 공항을 오가는 항공편이 취소됐다고 밝혔다.

만달레이와 네피도를 잇는 고속도로 또한 끊어진 것으로 알려졌다. 왕궁과 건물들이 부서지며 거리 곳곳에 잔해와 파편이 널려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AFP통신은 1000개의 병상을 갖춘 네피도의 대형 종합병원 응급실이 부상자로 가득 찼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환자들은 응급실 밖에서도 누워서 치료를 받고 있다.

한 만달레이 주민은 “눈앞에서 5층짜리 건물이 무너지는 것을 목격했다”고 로이터 통신에 전했다. 이 주민은 “모든 것이 흔들리기 시작하자 우리 모두가 집에서 뛰쳐 나왔다”며 “우리 마을 사람들은 모두 길에 나와 있고 아무도 건물 안으로 들어가려 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의 여파로 태국 방콕에서 건설 중이던 건물이 무너지는 모습. AFP연합뉴스

지진 발생 지역과 1000㎞ 이상 떨어진 태국의 수도 방콕에도 지진의 여파가 미쳤다. 방콕의 관광 명소인 짜뚜짝 시장 근처에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빌딩이 붕괴됐다. 이 사고로 건설 노동자 117명이 매몰되고 5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SNS에는 건설 중이던 고층 건물이 먼지 폭풍을 일으키며 붕괴하는 모습이 공유됐다.

방콕 곳곳의 빌딩, 아파트, 쇼핑몰 등이 심하게 흔들리며 주민들 또한 대피했다. 영국인 관광객 프레이저 모턴은 AP통신에 “쇼핑몰에 있다가 갑자기 건물이 흔들리기 시작했고 고층 건물에서 멀리 떨어진 공원으로 대피했다”며 “밖에 나와 거물을 올려다보니 먼지와 잔해가 떨어지고 있었다”고 긴박한 상황을 전했다.

규모 7.7의 강진 발생으로 무너진 건물 앞에 서있는 미얀마 만델레이 시민들. AFP연합뉴스

양국은 일단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미얀마 군사정권은 이번 지진으로 피해가 발생한 6개 지역에 대해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에 인도주의 지원을 요청했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도 긴급회의를 소집해 방콕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태국 정부는 여진에 대비해 전철 운행을 중단하고 고층 빌딩 등 위험 지역 출입을 통제했다. 태국 증권거래소도 모든 거래를 중단했다.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 거주 중인 이정호 재미얀마 한인회보 편집장은 “만달레이에 지인이 있어서 안부가 걱정돼 전화를 걸었지만 현재 연결이 되지 않는 상황”이라며 “양곤에서는 아직 건물 붕괴 등의 큰 피해는 전해지지 않고 있다”고 연합뉴스에 전했다.

국민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68 미중 대결 속 위기의 차이나타운... 이소룡 동상이 혐오 멈출까 랭크뉴스 2025.03.31
46567 국토부, GTX-A 손실보전금 164억원 지급…삼성역 개통 지연 탓 랭크뉴스 2025.03.31
46566 강아지를 '쥐불놀이'하듯 돌린 학대자···"사육금지제 2년 뒤? 너무 늦다" 랭크뉴스 2025.03.31
46565 앞 유리에 쾅…달리는 차에 ‘맨홀 뚜껑’ 날벼락 [잇슈 SNS] 랭크뉴스 2025.03.31
46564 오늘 의대생 복귀 시한…‘2026년 모집인원’ 이르면 이번 주 결정 랭크뉴스 2025.03.31
46563 낙엽 아래 불씨가 '복병'‥최초 발화자 입건 랭크뉴스 2025.03.31
46562 WHO, 미얀마 강진 '3급 비상사태' 선포…117억 자금 요청 랭크뉴스 2025.03.31
46561 2월 산업생산 0.6% 증가…소비 1.5%↑·투자 18.7%↑ 랭크뉴스 2025.03.31
46560 오늘부터 공매도 전면 재개…외국인 돌아오나[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3.31
46559 케이크 가격 4만원 육박…조각은 거의 1만원 랭크뉴스 2025.03.31
46558 전문분야 찾아간 오너?... ‘캉골’ 키운 에스제이그룹, 투자사업에 점점 더 집중 랭크뉴스 2025.03.31
46557 “마은혁 임명 거부는 윤 복귀 음모”…민주, 내일 시한 최후통첩 랭크뉴스 2025.03.31
46556 민간 기업이 무기체계 제안한다… 방사청, 도입형태 변경 랭크뉴스 2025.03.31
46555 국민의힘 36.1%·민주 47.3%…정권 교체 57.1%·연장 37.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54 [속보] 2월 산업생산·소비·투자 모두 증가… 1월 부진 기저효과 영향 랭크뉴스 2025.03.31
46553 [마켓뷰] "기댈 곳이 없네" 관세·경기우려에 공매도까지 사면초가 코스피 랭크뉴스 2025.03.31
46552 제2의 티메프 되나… 정산금 밀린 발란, 결국 결제까지 중단 랭크뉴스 2025.03.31
46551 이 회사 없으면 삼성도 TSMC도 없다… "AI산업, 창소년기 접어들어"[김현예의 톡톡일본] 랭크뉴스 2025.03.31
46550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새 6배 넘게 증가" 랭크뉴스 2025.03.31
46549 "미국 해방일" 온다…협상 없는 관세 전쟁 드라이브[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③]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