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8일 미얀마 수도 네피도의 한 병원에서 지진에 부상을 입은 시민들이 들 것에 실려가고 있다. 사진 중앙에 있는 인물은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 AFP=연뉴스.
28일(현지시간) 미얀마 내륙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했다. 강진이 직격한 미얀마에 대규모 사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미얀마 군정은 수도 네피도 등 6개 지역에 비상 사태를 선포했다. 태국과 중국 등 이웃국에서도 피해가 나오는 상황이다. 이번 지진은 최대 7.9로 추정되는 1912년 메묘 지진(버마 지진) 이후 113년 만의 최대 지진이다.

미얀마 군정은 이번 강진으로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당했다고 이날 밝혔다. 10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 응급실 밖에서 부상자들이 줄을 서서 치료 받고 있고, 의료용 솜도 거의 떨어져가고 있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미얀마 군정은 네피도, 사가잉, 만달레이, 바고, 마궤, 샨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 사회에 지원을 요청했다.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네피도의 병원에 도착한 모습도 목격됐다. 아직 사상자 등 구체적인 피해수치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주로 한인들은 지진 피해가 비교적 적은 미얀마 남부 양곤(옛 수도)에 거주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인 사업가는 중앙일보에 "양곤 쪽에선 지진 피해를 별로 못 느끼고 있다. 알고 지내는 한인들 중에 연락이 두절된 이는 없다"고 했다.

외교부는 "현재까지 접수된 우리 국민의 인적 피해는 없다"며 "미얀마와 태국의 관련 당국 및 한인사회 등을 통해 피해 여부를 지속적으로 파악 중"이라고 밝혔다.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지진 생존자들이 치료를 받고 있다. AFP=연합뉴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에 따르면 지진은 이날 오후 12시 50분께(현지시간)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인구 120만의 제 2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다. 진원 깊이는 10㎞였다.

28일 미얀마 수도 네피도에서 의료진이 부상자들을 나르고 있다. AFP=연합뉴스.
규모 6.4의 여진까지 이어지면서 미얀마 곳곳에서 고속도로와 건물이 무너지는 등 피해가 속출했다. CNN이 공개한 영상에선 만달레이를 가로지르는 이라와디강의 한 다리가 먼지를 일으키며 물속으로 무너지는 장면이 포착됐다. 양곤의 한 시민은 방송에서 "1분 정도 지진이 느껴져 건물 밖으로 뛰쳐나왔다"며 "매우 갑작스럽고 강한 진동을 느꼈다"고 말했다. 미얀마의 한 모스크에서도 사망자 3명이 발생했다고 한다.

AP통신은 소셜미디어(SNS)에 올라온 영상과 사진을 종합해 만달레이에서 왕궁과 건물이 파손됐다고 보도했다. 통신에 따르면 만달레이 남서쪽 사가잉 지역에선 90년된 다리가 무너졌고, 만달레이와 양곤을 잇는 고속도로 일부 구간도 파괴됐다.

김주원 기자
이웃 국가들도 큰 피해가 발생했다. 강진의 여파로 약 1000㎞ 이상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에서는 공사 중이던 30층 높이의 빌딩이 무너져 인부 수십여명이 매몰되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수도 방콕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소셜미디어에서는 식당과 상점이 들어선 방콕 시내 건물이 흔들리고, 호텔의 옥상 수영장에서 물이 쏟아져내리는 영상이 확산하고 있다. 비명 소리와 함께 대피하는 사람들의 모습도 영상에 촬영됐다. 또 방콕 짜뚜짝에서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고층건물이 무너져 내려 최소 43명의 인부가 매몰됐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미얀마와 국경을 맞닿고 있는 중국 서남부 윈난성에서도 진동이 감지됐다고 한다. 윈난성 일부 지역에서도 건물이 부서지고 부상자가 발생했다고 중국라디오방송은 전했다.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7.7 규모의 지진으로 태국 방콕의 빌딩이 무너져 내렸다. 사고 현장에서 인부들을 구조하는 모습. AP=연합뉴스
전문가들은 미얀마가 여러 지각판이 교차하는 곳에 있어 지진에 취약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미얀마는 인도판과 유라시아판, 순다판, 버마판 등 최소 4개 지각판 사이에 끼어 있는데 수도 네피도, 최대 도시 양곤, 제 2도시 만델레이 등 주요 도시가 이들 단층의 경계인 '사가잉 단층'위에 놓여 있다고 한다. 사가잉 단층은 1946년 규모 7.7 강진과 2012년 규모 6.8 강진 등 미얀마에서 발생한 주요 강진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한편 현재 미얀마 정부가 운영하는 비자 신청 사이트는 접속해도 '페이지를 찾을 수 없다'는 화면만 뜨는 상태이다. 이와 관련, 장준영 한국외대 교수는 "비자 신청 사이트가 먹통인 것은 의도적으로 군부에서 막았을 가능성이 있다"며 "내부적으로 문제가 생기면 통상 인터넷 통제와 같은 조치를 하곤 한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32 [단독] ‘21년째 비정규직’ 노인 일자리사업 담당자를 아시나요···노조 첫 출범 랭크뉴스 2025.03.31
46531 [단독] 국내 위스키 1·2·3위 모두 매물로 나와 랭크뉴스 2025.03.31
46530 경남 산청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1
46529 트럼프 "휴전합의 안 하면 원유 25% 관세" 랭크뉴스 2025.03.31
46528 공매도 전면 재개…“개미들은 떨고 있다?”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
46527 공매도 재개… 고평가·대차 잔고 비중 큰 종목 주의 랭크뉴스 2025.03.31
46526 트럼프 “3선 가능, 농담 아니다”…민주당 “독재자가 하는 짓” 랭크뉴스 2025.03.31
46525 날계란 맞고 뺑소니로 전치 4주 부상에도 집회장 지키는 이유…“아무도 다치지 않길 바라서” 랭크뉴스 2025.03.31
46524 [삶] "서양 양아빠, 한국자매 6년간 성폭행…일부러 뚱뚱해진 소녀" 랭크뉴스 2025.03.31
46523 경기 18건, 경북 9건...산불 죄다 났는데 영남만 피해 큰 까닭 랭크뉴스 2025.03.31
46522 ‘깨지기 쉬운 지반’ 보고서 확인하고도… 서울시, 명일동 ‘안전~보통’ 등급 판단 랭크뉴스 2025.03.31
46521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랭크뉴스 2025.03.31
46520 [르포] 누리호 4차 발사 준비 ‘이상 無’… “항우연·한화 원팀 됐다” 랭크뉴스 2025.03.31
46519 "당장 윤 파면‥마은혁 임명 거부 시 중대 결심" 랭크뉴스 2025.03.31
46518 "포켓몬빵보다 잘 팔려요"…편의점 효자상품 떠오른 '이 빵' 랭크뉴스 2025.03.31
46517 오픈AI ‘지브리풍’ 이미지 열풍에 저작권 침해 논란 커져 랭크뉴스 2025.03.31
46516 '불바다' 천년 고찰 목욕탕서 버틴 소방관 11명, 동료들에 극적 구조 랭크뉴스 2025.03.31
46515 [단독]한덕수 내일 국무위원 간담회 소집…상법∙마은혁 논의할 듯 랭크뉴스 2025.03.31
46514 상호 관세 부과국 ‘아직’…“한·일·독이 미국을 조립국으로 만들어” 랭크뉴스 2025.03.31
46513 미얀마 강진 나흘째…인명 피해 ‘눈덩이’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