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과대학들의 등록 마감 기한이 지나며 복귀 의대생 규모가 파악되고 있는 지난 24일 서울시내 한 의과대학 강의실이 비어있다. 정효진 기자


서울아산병원 등 ‘빅5’ 대학병원과 관련된 가톨릭대·서울대·성균관대·연세대·울산대 의대생들이 모두 올해 1학기 복학 신청을 하기로 결정했다. 의대생 단체가 ‘미등록 휴학’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했지만 5개 주요 의대가 모두 기존 동맹휴학 대열에서 이탈하게 됐다. 주요 5개 의대의 복학 신청 확정은 나머지 의대의 1학기 등록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28일 취재를 종합하면 성균관대 의대생들은 이날 투표를 거쳐 복학 신청을 하기로 결정했다. 이날 진행된 학생 투표에서 절반 이상이 올해 1학기 등록에 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울산대 의대는 올해 1학기 전원 복학을 하기로 결정했다. 가톨릭대 의대는 이날 설문조사를 해 ‘미등록 휴학’이 아닌 ‘등록 후 수업거부’로 선회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세대도 1명을 제외한 의대생이 모두 1학기 등록을 한 것으로 확인됐다. 서울대는 사실상 학생 전원이 1학기 복학 신청을 완료했다고 한다.

이날까지 올해 1학기 전원 복학 신청이 확정된 가톨릭·서울·성균관·연세·울산대 의대는 ‘빅5’ 대학병원(삼성서울병원·서울대병원·서울성모병원·서울아산병원·세브란스병원)을 교육협력병원이나 부속병원으로 둔다.

주요 5개 의대가 모두 기존 동맹휴학 대열에서 이탈하면서 강경파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의대협)의 입지가 좁아질 것으로 보인다. 의대협은 지난 27일 성명을 내고 연세대와 서울대 의대의 이탈에도 ‘미등록 휴학’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지난 26~27일 서울대와 연세대 의대는 일단 학생 전원이 수업 복귀를 하기로 결정하자 나온 성명이었다.

주요 5개 의대의 복학 신청 결정은 1학기 등록 마감을 앞둔 다른 의대생들에게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배신자’ 낙인을 두려워했던 상당수 의대생들이 수업에 복귀할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다른 의대에서도 복학 신청에 물꼬가 트일 가능성 또한 커졌다. 한 울산대 의대생은 “동료들에게 낙인찍히는 게 두려워 수업 복귀를 못 하는 학생들도 적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라고 했다.

다만 복귀를 결정한 의대생들이 ‘등록 후 수업거부’를 택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일단 1학기 등록을 해 제적을 피한 뒤 수업은 1개 과목만 듣는 방식으로 수업거부를 하려는 의대도 적지 않다. 이 때문에 연세대 의대 등에선 마감시한 이후 수업 복귀를 단서로 달아 복학 신청을 받았다.

이날 건국대, 경희대, 고신대, 전북대 등 20개 가까운 대학은 1학기 등록 마감을 앞두고 막판까지 수업 복귀 설득에 나섰다. 일부 대학은 학칙 개정을 통해 제적 기준을 완화하면서 학생 복귀를 설득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고려대는 당초 이날까지 등록금 납부 마감을 하려 했지만, 의대생들과 교수진의 면담을 당분간 이어가기로 했다. 고려대 의대 관계자는 “상담 신청이 200명 가까이 들어왔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면담 시간이 부족한 상황”이라며 “이달 31일까지 의대생과 교수진의 상담을 조금 더 진행할 예정”이라고 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397 "이러다 마을 사라질라"… 화마 휩쓴 텅 빈 마을엔 매캐한 냄새만 남았다 랭크뉴스 2025.04.01
47396 미, 한국 플랫폼 규제를 ‘무역장벽’ 적시…미 빅테크 ‘민원’ 반영 랭크뉴스 2025.04.01
47395 故 장제원 아들 노엘 "내가 무너질 일은 없어…사랑한다, 다들" 랭크뉴스 2025.04.01
47394 "향후 30년, 30만 명 희생된다"…'발생 확률 80%' 재앙 예고한 日 랭크뉴스 2025.04.01
47393 尹 탄핵 선고 시점 예측 적중한 보수 논객... "헌재, 이미 8 대 0 합의 마쳐" 랭크뉴스 2025.04.01
47392 관례상 요지 먼저 설명하면 전원일치…박근혜 땐 22분·노무현 땐 26분 ‘낭독’ 랭크뉴스 2025.04.01
47391 “어떤 국가도 예외 없다”…전 세계 강타하는 트럼프 관세폭풍 랭크뉴스 2025.04.01
47390 르펜 ‘대권 제동’…프랑스 ‘요동’ 랭크뉴스 2025.04.01
47389 최태원 SK 회장 “더 큰 사회적 문제 해결 위해 기업들 연대해야” 랭크뉴스 2025.04.01
47388 위기의 애경그룹…뿌리 ‘애경산업’  시장에 내놓는다 랭크뉴스 2025.04.01
47387 헌재, 사실상 결론 정해‥헌법학자들 "만장일치 파면" 촉구 랭크뉴스 2025.04.01
47386 윤 대통령 탄핵심판 4일 11시 선고…생중계 허용 랭크뉴스 2025.04.01
47385 용산 “차분하게 결정 기다릴 것”… 尹 직접 헌재 대심판정 나가나 랭크뉴스 2025.04.01
47384 생후 52일 신생아 두고 5시간 집 비운 엄마, 아기는 숨졌다 랭크뉴스 2025.04.01
47383 이재명 “대한민국 저력 전세계에 증명하자” 윤석열 파면 서명 촉구 랭크뉴스 2025.04.01
47382 산불에 “할머니” 외치고 업고 뛴 외국인…장기체류 자격 부여 검토 랭크뉴스 2025.04.01
47381 말레이 쿠알라룸푸르 인근서 가스관 폭발… 최소 112명 부상 랭크뉴스 2025.04.01
47380 법무부, 산불 덮친 영덕에서 할머니 업고 뛴 외국인에 장기거주자격 부여 검토 랭크뉴스 2025.04.01
47379 尹 탄핵 선고일 방청 신청 폭주 중… 20석에 9만명 넘게 몰려 랭크뉴스 2025.04.01
47378 계엄부터 탄핵 선고까지‥122일 만에 결론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