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2도시 만달레이서 33㎞ 떨어진 지점 발생
붕괴 사고 발생한 태국은 국가비상사태 선포
베트남, 중국 남부 등 인접국에서도 진동 감지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수도 네피도의 한 사원이 무너져 내렸다. 네피도=AP 연합뉴스


미얀마 내륙에서 28일 규모 7.7 강진이 발생했다. 같은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태국과 베트남은 물론 인도와 중국 남부 지역까지 진동이 감지될 만큼 파장이 컸다.
태국에서는 건설 중인
고층 빌딩이 무너져 인부 수십 명이 매몰되는 대형 사고도 발생하면서 국가비상사태가 선포
됐다.

미얀마 지진 사망자 1000명 넘을 듯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 등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50분쯤 미얀마 내륙에서 규모 7.7
지진이 발생
했다. 진앙은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인구 120만의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떨어진 지점이다. 진원의 깊이는 10㎞로 관측됐다. 첫 지진 발생 12분 뒤에는 미얀마 중부 사가잉 인근에서도 규모 6.4의 두 번째 강진이 발생했다.

28일 미얀마 규모 7.7 강진 발생 위치. 미국 지질조사국(USGS) 캡처


이날 미얀마 군사 정권은
네피도와 만달레이 등 강진 피해 6개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했다
. 지난 2021년 쿠데타 이후 '대화의 문'을 닫은 미얀마 군부가 먼저 도움을 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군정은 지난해 10월 동남아시아 지역을 강타한 대규모 태풍으로 수천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을 때도 인도주의 단체 등이 내민 손길을 거부했다.

다만 이날 구체적인 미얀마 내부 피해 상황은 현재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독립 언론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도 매체 등을 종합하면 현지는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현지 독립 언론 미얀마나우는 “이번 지진으로 역사적 유적지인 만달레이 궁전 일부가 크게 훼손됐고 90년 된 사가잉시 다리가 완전히 무너지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고 목격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매체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지진으로 도로가 휘어지고 주거 건물과 사원 등 대부분의 건물이 처참하게 무너져 내렸다
.


28일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사가잉 다리가 무너져 내렸다. 미얀마 독립 매체 미얀마 나우 캡처


미국 뉴욕타임스(NYT)는 만달레이 종합병원 의료진을 인용, 현재까지 사망자가 최소 20명, 부상자가 최소 300명으로 집계됐다고 보도했다. 미얀마 수도 네피도의 병상 1,000개를 갖춘 대형 종합병원에는 부상자들로 응급실이 가득 차면서 고통에 몸부림치는 환자들이 응급실 밖에서도 누워서 치료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번 지진 사망자가 1,000명을 넘을 확률이 70%가 넘을 것으로 추정
했다. 경제적 피해 역시 미얀마 국내총생산(GDP)의 20~30%에 이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방콕서 30층 건물 빌딩 ‘와르르’



이날 지진은 이웃국가에서도 감지됐다. 국경을 맞대고 있는 태국의 피해가 가장 컸다. 만달레이에서 1,000㎞ 이상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에서는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 건물이 무너지면서
수십 명의 건설 노동자가 매몰
됐다. 현지 국방부는 이번 사고로 최소 3명이 숨지고 90명이 실종됐다고 밝혔다.

SNS 등에 올라온 영상을 보면 현지 유명 시장인 짜뚜짝 시장 인근에서 공사 중인 건물이 한순간에 흘러내리듯 땅으로 푹 꺼졌다. 무너진 자리에는 건물의 형태는 없이 뿌연 먼지 구름만 솟아올랐다.

로이터통신은 “방콕에서 진동에 놀란 시민들이 공황 상태에 빠져 거리로 뛰어나왔고, 수영장 물이 튀어나왔다는 목격담도 이어졌다”고 보도했다. 방콕에 거주하는 태국 여성 라미다는 한국일보에 "
지진 발생 당시 지상철(MRT)을 타고 있었고 열차가 좌우로 매우 심하게 흔들렸다
"며 "역에 도착해 문이 열리자마자 승객들이 두려워하며 재빨리 달려나갔다"고 회상했다.



태국 내 피해도 커지면서 태국 정부는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성명을 통해 "가능한 고층 빌딩을 피하고 계단만 이용하며 침착함을 유지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미얀마에서 1,500㎞ 이상 떨어진 베트남 수도 하노이와 남부 최대 도시 호찌민, 중국 남부 윈난성과 인도 서부 콜카타와 임팔 등에서도 크고 작은 진동이 감지됐다.

한국 정부도 교민 피해 상황 파악에 나섰다. 외교부 당국자는
"현재까지 접수된 우리 국민 인적 피해는 없다"며 "미얀마와 태국의 관련 당국 및 한인 사회 등을 통해 피해 여부를 지속 파악할 예정"
이라고 밝혔다. 주미얀마 한국대사관과 주태국대사관도 현지를 여행하는 한국 관광객에게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28일 미얀마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 여파로 태국 방콕에서 공사 중이던 30층 건물이 무너져 내렸다. 사고 현장에서 한 남성이 구조되고 있다. 방콕=AFP 연합뉴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27 이범준 박사 "일부 재판관 '시간끌기' 가능성" 랭크뉴스 2025.03.30
46426 “전투식량 좀 대신 구매해달라” 군인 사칭 사기 기승 랭크뉴스 2025.03.30
46425 “민주당 해산” “내각 줄탄핵”···헌재 선고 지연에 극단 치닫는 여야 랭크뉴스 2025.03.30
46424 상호관세 앞두고 뭉치는 한·중·일 경제통상장관 “3국 협력 확대를” 랭크뉴스 2025.03.30
46423 흔적도 없이 사라진 집과 밭…“앞으로가 막막해요” 랭크뉴스 2025.03.30
46422 "살 쭉쭉 빠지길래 '다이어트 부작용'인 줄"…병원 가보니 '위암 말기'였다 랭크뉴스 2025.03.30
46421 경찰, '장제원 성폭력' 고소한 전 비서 추가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420 [단독] 경찰, 성폭력 피해 상황 쓴 3년 전 글 확보‥장제원, 경찰조사서 혐의 전면부인 랭크뉴스 2025.03.30
46419 1월엔 쥐, 이번엔 바퀴벌레 나왔다…日 3대 규동 체인점 발칵 랭크뉴스 2025.03.30
46418 이재명, 풍자 그림 올리며 “조작인가, 아닌가”…국힘 비판 반박 랭크뉴스 2025.03.30
46417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7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416 “유효 기간? 영구적”…‘관세 펀치’ 더 세게 날리는 트럼프 랭크뉴스 2025.03.30
46415 "尹 기각될라"…한덕수 재탄핵에, 재판관 임기연장까지 꺼낸 野 랭크뉴스 2025.03.30
46414 실적 부담에 관세 불확실성… 목표가 낮아진 전력株 랭크뉴스 2025.03.30
46413 1분기 회사채 순발행 16.2조 최대…'IPO 대어 효과' 공모액 작년의 3배 [시그널] 랭크뉴스 2025.03.30
46412 “내 폰 찾아줘” 삼성 냉장고에 말했더니…세탁실에서 벨소리 울려 랭크뉴스 2025.03.30
46411 정전된 대피소서 음식 나누고 부둥켜안고... 이재민들 온기로 두려움 달랬다 랭크뉴스 2025.03.30
46410 트럼프 최측근 머스크에 찍힐라…기업들 엑스에 광고 재개 랭크뉴스 2025.03.30
46409 “유효 기간? 영구적”…트럼프, 관세 드라이브 ‘더 크게’ 건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8 文 "계엄 내란 광기 원형 찾을 수 있어"…제주 4·3 관련 책 추천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