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이 지연되면서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움직여온 여권 주자들의 입장이 어정쩡해졌다.
홍준표 대구시장(왼쪽부터)·오세훈 서울시장·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뉴스1·연합뉴스

최근 국민의힘에선 윤 대통령 탄핵 기각이나 각하 가능성을 높게 전망하는 이들이 늘었다. 한 중진 의원은 28일 “헌법재판소가 선고 기일을 여태 못 잡는 건 재판관들 의견이 팽팽히 갈리기 때문”이라며 “5(인용)대3(기각) 또는 4대4로 기각될 거라고 보는 의원들이 많다”고 전했다. 그간 공개적으로 기각이나 각하 가능성을 거론하지 않던 당 지도부도 최근 “기각 가능성이 높다”(26일 권성동 원내대표)고 말하고 있다.

헌재에서 탄핵이 기각 또는 각하될 경우 윤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고 조기 대선은 없던 일이 된다. 각하가 되면 더불어민주당이 탄핵을 재시도할 것으로 보이지만, 그간 지지층이 결집해온 까닭에 여당 내 찬탄파(탄핵찬성파) 사이에서도 “우리 당 이탈표가 줄어들어 탄핵안이 다시 가결되긴 어려울 것”(찬탄파 의원)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탄핵이 인용돼 조기 대선이 있더라도 여당이 이길 가능성이 작다는 전망도 늘어나고 있다.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이 25~27일에 걸쳐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선에서 ‘정권 유지(여당 후보 당선)’를 택한 응답률은 34%로, ‘정권 교체(야당 후보 당선)’ 응답률 53%보다 19%포인트 낮았다. 정권 유지 응답률은 전주 대비 5%포인트 하락했는데, 최근 10주간 같은 조사에서 나타난 정권 유지 응답률 중 가장 낮다.

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공직선거법 2심 판결이 무죄로 나면서 당내 패배론도 확산하고 있다. “현시점에선 면죄부를 받은 이재명을 이길 수 없으니 탄핵은 불가하다. 시간도 벌어야 한다”(26일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는 것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뉴시스
상황이 이런 탓에 조기 대선을 겨냥해 시간표를 짜고 움직였던 여권 주자들은 난감한 상황이다. 대외적으론 “언제 치러질지 모르지만 차기 대선을 범죄자와 하는 게 우리 당으로선 더 편하게 됐다”(27일 홍준표 대구시장)고 하지만, 각 캠프 내에선 “이러다 이재명만 좋은 일 해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적지 않다. 최근 여의도에선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대선 준비 캠프가 해체 수순을 밟고 있다’는 미확인 풍문이 돌기도 했다. 양 측은 모두 “애초에 캠프를 꾸린 적도 없고, 조직이 와해됐다는 것도 사실무근”이라고 선을 그었다.

오 시장의 한 참모는 “지금 상황에서 탄핵이 인용되면 이 대표의 기세를 누르기 어려운 아니냐고 우려를 표하는 참모들도 일부 있다”며 “광장의 지지층을 고려하면, 내부 경선을 앞두고 메시지를 어떻게 낼지도 의견이 갈린다”고 전했다. 한 전 대표 측 관계자도 “헌재의 입장이 워낙 헷갈리니, (찬탄파와 반탄파를 두고) 양다리를 고민하는 사람들도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결국 잃을 게 없는 반탄파 주자들만 소위 남는 장사를 한 모양새”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27일 서울대 강연 후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 대해 “시간이 흐를수록 인용될 확률이 낮아지는 것 아닌가 내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주자들 주변에선 “이미 고(go)하기로 한 상황에선 돌이킬 수 없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오 시장 측 관계자는 “어려울수록 국가가 가야 할 방향과 비전을 명확히 설명하는 것만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라며“우리는 본연의 업무인 시정에 집중하며 결과를 기다릴 뿐”이라고 말했다. 한 전 대표 측 관계자도 “어차피 이재명의 사법리스크에 기대선 선거에서 이길 수는 없었다”며 “(어떤 결과든) 입장이 달라질 게 없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69 미얀마, 여진 속 필사의 '맨손' 구조활동…국제사회 지원 속도 랭크뉴스 2025.03.30
46368 글로벌 관세 전쟁, 서비스 분야로 확대될 수도… “美 빅테크에 보복관세” 랭크뉴스 2025.03.30
46367 한덕수의 침묵... 총리실 "마은혁 임명에 아무 말도 없다" 랭크뉴스 2025.03.30
46366 강민국, '연쇄 탄핵' 압박에 "이런 국회 해산해야‥총사퇴 각오" 랭크뉴스 2025.03.30
46365 화재 취약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64 기동대 숙박비만 13억 썼다…尹선고 지연에 피로 쌓이는 경찰 랭크뉴스 2025.03.30
46363 야권,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권한쟁의심판·재탄핵···늦어지는 탄핵심판에 카드 총동원 랭크뉴스 2025.03.30
46362 한예슬에 "나잇값 좀 하자"…벌금형 받은 악플러 2심 무죄, 왜 랭크뉴스 2025.03.30
46361 BTS 뮤직비디오 ‘피 땀 눈물’ 유튜브 10억뷰 돌파 랭크뉴스 2025.03.30
46360 "가족 9명 깔려, 생후 20일 아들까지"…한국서 애타는 미얀마인들 랭크뉴스 2025.03.30
46359 검찰, ‘사드 기밀 유출 의혹’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 소환 랭크뉴스 2025.03.30
46358 암 환자 절반 수술 한 달 밀려…의정 갈등에 전공의 공백 탓 랭크뉴스 2025.03.30
46357 '10조 필수추경'에 與 "적절" 野 "효과 의문"…협상 험로 예고 랭크뉴스 2025.03.30
46356 불 붙은 꿩 때문에 산불, 그래도 실화자 처벌…경북 산불 용의자는 랭크뉴스 2025.03.30
46355 한덕수 권한대행, “4월1일 마은혁 임명” 野 압박에도 ‘침묵’ 고수 랭크뉴스 2025.03.30
46354 의대생 '휴학' 단일대오 깨졌다…데드라인 앞두고 대규모 등록 러쉬 랭크뉴스 2025.03.30
46353 완공 앞둔 공장도 폭파한 완벽주의…수소·AI로 무장한 鐵의 제국 랭크뉴스 2025.03.30
46352 국민의힘 초선, '줄탄핵' 예고에 "'내란 정당' 민주당 해산 고려해야" 랭크뉴스 2025.03.30
46351 민주 초선들, 與 ‘내란선동죄 고발’ 방침에 ‘무고죄’ 맞불 예고 랭크뉴스 2025.03.30
46350 역주행 승용차, 경차 들이받아 80대 3명 숨져···운전자 ‘급발진’ 주장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