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이 지연되면서 조기 대선을 염두에 두고 움직여온 여권 주자들의 입장이 어정쩡해졌다.
홍준표 대구시장(왼쪽부터)·오세훈 서울시장·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 뉴스1·연합뉴스

최근 국민의힘에선 윤 대통령 탄핵 기각이나 각하 가능성을 높게 전망하는 이들이 늘었다. 한 중진 의원은 28일 “헌법재판소가 선고 기일을 여태 못 잡는 건 재판관들 의견이 팽팽히 갈리기 때문”이라며 “5(인용)대3(기각) 또는 4대4로 기각될 거라고 보는 의원들이 많다”고 전했다. 그간 공개적으로 기각이나 각하 가능성을 거론하지 않던 당 지도부도 최근 “기각 가능성이 높다”(26일 권성동 원내대표)고 말하고 있다.

헌재에서 탄핵이 기각 또는 각하될 경우 윤 대통령이 직무에 복귀하고 조기 대선은 없던 일이 된다. 각하가 되면 더불어민주당이 탄핵을 재시도할 것으로 보이지만, 그간 지지층이 결집해온 까닭에 여당 내 찬탄파(탄핵찬성파) 사이에서도 “우리 당 이탈표가 줄어들어 탄핵안이 다시 가결되긴 어려울 것”(찬탄파 의원)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탄핵이 인용돼 조기 대선이 있더라도 여당이 이길 가능성이 작다는 전망도 늘어나고 있다. 여론조사업체 한국갤럽이 25~27일에 걸쳐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차기 대선에서 ‘정권 유지(여당 후보 당선)’를 택한 응답률은 34%로, ‘정권 교체(야당 후보 당선)’ 응답률 53%보다 19%포인트 낮았다. 정권 유지 응답률은 전주 대비 5%포인트 하락했는데, 최근 10주간 같은 조사에서 나타난 정권 유지 응답률 중 가장 낮다.

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공직선거법 2심 판결이 무죄로 나면서 당내 패배론도 확산하고 있다. “현시점에선 면죄부를 받은 이재명을 이길 수 없으니 탄핵은 불가하다. 시간도 벌어야 한다”(26일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는 것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6일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법원에서 열린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항소심 선고 공판에서 무죄를 선고받은 뒤 법원을 나서고 있다. 뉴시스
상황이 이런 탓에 조기 대선을 겨냥해 시간표를 짜고 움직였던 여권 주자들은 난감한 상황이다. 대외적으론 “언제 치러질지 모르지만 차기 대선을 범죄자와 하는 게 우리 당으로선 더 편하게 됐다”(27일 홍준표 대구시장)고 하지만, 각 캠프 내에선 “이러다 이재명만 좋은 일 해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적지 않다. 최근 여의도에선 ‘오세훈 서울시장과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의 대선 준비 캠프가 해체 수순을 밟고 있다’는 미확인 풍문이 돌기도 했다. 양 측은 모두 “애초에 캠프를 꾸린 적도 없고, 조직이 와해됐다는 것도 사실무근”이라고 선을 그었다.

오 시장의 한 참모는 “지금 상황에서 탄핵이 인용되면 이 대표의 기세를 누르기 어려운 아니냐고 우려를 표하는 참모들도 일부 있다”며 “광장의 지지층을 고려하면, 내부 경선을 앞두고 메시지를 어떻게 낼지도 의견이 갈린다”고 전했다. 한 전 대표 측 관계자도 “헌재의 입장이 워낙 헷갈리니, (찬탄파와 반탄파를 두고) 양다리를 고민하는 사람들도 있지 않겠나”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결국 잃을 게 없는 반탄파 주자들만 소위 남는 장사를 한 모양새”라고 말했다. 오 시장은 27일 서울대 강연 후 기자들과 만나 윤 대통령 탄핵심판에 대해 “시간이 흐를수록 인용될 확률이 낮아지는 것 아닌가 내다보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주자들 주변에선 “이미 고(go)하기로 한 상황에선 돌이킬 수 없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오 시장 측 관계자는 “어려울수록 국가가 가야 할 방향과 비전을 명확히 설명하는 것만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라며“우리는 본연의 업무인 시정에 집중하며 결과를 기다릴 뿐”이라고 말했다. 한 전 대표 측 관계자도 “어차피 이재명의 사법리스크에 기대선 선거에서 이길 수는 없었다”며 “(어떤 결과든) 입장이 달라질 게 없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57 “마은혁 임명 거부는 윤 복귀 음모”…민주, 내일 시한 최후통첩 랭크뉴스 2025.03.31
46556 민간 기업이 무기체계 제안한다… 방사청, 도입형태 변경 랭크뉴스 2025.03.31
46555 국민의힘 36.1%·민주 47.3%…정권 교체 57.1%·연장 37.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54 [속보] 2월 산업생산·소비·투자 모두 증가… 1월 부진 기저효과 영향 랭크뉴스 2025.03.31
46553 [마켓뷰] "기댈 곳이 없네" 관세·경기우려에 공매도까지 사면초가 코스피 랭크뉴스 2025.03.31
46552 제2의 티메프 되나… 정산금 밀린 발란, 결국 결제까지 중단 랭크뉴스 2025.03.31
46551 이 회사 없으면 삼성도 TSMC도 없다… "AI산업, 창소년기 접어들어"[김현예의 톡톡일본] 랭크뉴스 2025.03.31
46550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새 6배 넘게 증가" 랭크뉴스 2025.03.31
46549 "미국 해방일" 온다…협상 없는 관세 전쟁 드라이브[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③] 랭크뉴스 2025.03.31
46548 “반트럼프, 반USA”…트럼프가 불지핀 분열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②] 랭크뉴스 2025.03.31
46547 '자사고 희망' 초1 사교육비 월 59만 원...5년 새 두 배 늘어난 까닭은 랭크뉴스 2025.03.31
46546 “이렇게 될 줄이야”..논란의 ‘백설공주’, 처참한 성적 랭크뉴스 2025.03.31
46545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랭크뉴스 2025.03.31
46544 공짜 와인이 태안 해변에 깔렸다…캘리포니아의 로드트립 유혹 랭크뉴스 2025.03.31
46543 최상목에게 국민을 위한 나라는 있는가[정동칼럼] 랭크뉴스 2025.03.31
46542 오늘 의대생 복귀시한 '디데이'…집단휴학 사태 종지부 주목(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541 현대차 한국 공장 품질 초월한 미국 공장 가보니…로봇 수 백 대 '행렬' 랭크뉴스 2025.03.31
46540 [단독]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월1회 주사 맞는 장기제형 플랫폼 개발…비만 치료제에 우선 적용할 것" 랭크뉴스 2025.03.31
46539 법은 실수도 응징했다...봄철 산불에 유독 엄한 이유 있었다 랭크뉴스 2025.03.31
46538 미국인들이 신차 뽑으려고 줄 선 이유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