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소셜미디어에 피해 사진 올라와
28일 미얀마 강진으로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건물이 완전히 기운 모습. 독자 제공

미얀마에서 28일 일어난 규모 7.7 강진으로 제2의 도시 만델레이 곳곳에서 건물이 무너지고 사람들이 크게 다친 모습이 목격되고 있다.

지진 당시 만달레이 식당에 있었다는 40대 교민 구아무개씨는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놀라서 밖으로 나와 대피해보니 만달레이 시내의 건물이 거의 다 무너지거나 휘어졌다. 다쳐서 길에서 지혈을 받는 이들을 목격했으며 거리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기도 했다”고 말했다. 만달레이 국립대학교가 무너져 검은 연기가 치솟는 모습이 소셜미디어에 올라왔다. 만달레이 근처 도시에 산다는 이 교민은 지진 뒤 집으로 돌아가는 데 평소 30분이면 갈 길을 2시간 넘게 걸려 돌아가고 있다고 말했다.

규모 7.7 강진으로 미얀마 북서부 만달레이 지역의 만달레이 대학 건물이 무너지고 화재가 발생했다. 엑스 갈무리

구씨가 찍은 사진을 보면 건물이 완전히 기운 옆으로 사람들이 위험천만하게 지나다니고 있는 모습 등이 보인다. 만달레이는 인구 120만명 규모의 미얀마 제2의 도시이지만 피해 규모는 즉각적으로 집계되고 있지 않다. 만달레이와의 전화 통신은 두절된 상태로 연락은 메신저 서비스를 통해서 겨우 할 수 있었다. 미얀마는 2021년 2월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이 군사 쿠데타로 아웅산 수치 민간정부를 전복한 뒤 내전이 계속되는 등 혼란한 상태다. 중국 신화 통신은 현지 언론(Khit Thit)을 인용해 만달레이 궁전의 성벽 요새를 포함한 일부 건물이 크게 부서지면서 최소 10명이 사망했다고 보도했다. 미얀마 소방당국은 구조작업 중이라고 밝혔다고 전했다.

28일 미얀마 강진으로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에서 건물이 완전히 기운 모습. 독자 제공

이날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미얀마 현지 시각 낮 12시50분께 북서부 사가잉에서 진원 깊이 10㎞ 강진이 일어났다고 밝혔다. 이후 소셜미디어에는 사가잉과 가까운 미얀마 제2의 도시 만달레이 지역의 피해 모습을 담은 사진과 영상이 올라오고 있다. 만달레이 국제공항 밖에는 사람들이 대피해 두려움에 떨고 있고 건물 안 천장이 무너져 내려 있는 모습이 보인다. 사가잉 지역에서는 건물과 다리가 무너진 모습의 사진도 올라왔다.

미얀마 최대 도시 양곤에 거주한 천기홍 부산외대 특임교수는 한겨레와 통화에서 “양곤에서도 건물이 1~2분 정도 심하게 흔들려 놀라서 밖으로 대피했다”고 말했다. 천 교수는 “만달레이에서 건물이 무너지고 사람들이 많이 숨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주유소도 문을 닫았다고 한다”고 말했다.

한겨레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56 민간 기업이 무기체계 제안한다… 방사청, 도입형태 변경 랭크뉴스 2025.03.31
46555 국민의힘 36.1%·민주 47.3%…정권 교체 57.1%·연장 37.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54 [속보] 2월 산업생산·소비·투자 모두 증가… 1월 부진 기저효과 영향 랭크뉴스 2025.03.31
46553 [마켓뷰] "기댈 곳이 없네" 관세·경기우려에 공매도까지 사면초가 코스피 랭크뉴스 2025.03.31
46552 제2의 티메프 되나… 정산금 밀린 발란, 결국 결제까지 중단 랭크뉴스 2025.03.31
46551 이 회사 없으면 삼성도 TSMC도 없다… "AI산업, 창소년기 접어들어"[김현예의 톡톡일본] 랭크뉴스 2025.03.31
46550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새 6배 넘게 증가" 랭크뉴스 2025.03.31
46549 "미국 해방일" 온다…협상 없는 관세 전쟁 드라이브[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③] 랭크뉴스 2025.03.31
46548 “반트럼프, 반USA”…트럼프가 불지핀 분열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②] 랭크뉴스 2025.03.31
46547 '자사고 희망' 초1 사교육비 월 59만 원...5년 새 두 배 늘어난 까닭은 랭크뉴스 2025.03.31
46546 “이렇게 될 줄이야”..논란의 ‘백설공주’, 처참한 성적 랭크뉴스 2025.03.31
46545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랭크뉴스 2025.03.31
46544 공짜 와인이 태안 해변에 깔렸다…캘리포니아의 로드트립 유혹 랭크뉴스 2025.03.31
46543 최상목에게 국민을 위한 나라는 있는가[정동칼럼] 랭크뉴스 2025.03.31
46542 오늘 의대생 복귀시한 '디데이'…집단휴학 사태 종지부 주목(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541 현대차 한국 공장 품질 초월한 미국 공장 가보니…로봇 수 백 대 '행렬' 랭크뉴스 2025.03.31
46540 [단독]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월1회 주사 맞는 장기제형 플랫폼 개발…비만 치료제에 우선 적용할 것" 랭크뉴스 2025.03.31
46539 법은 실수도 응징했다...봄철 산불에 유독 엄한 이유 있었다 랭크뉴스 2025.03.31
46538 미국인들이 신차 뽑으려고 줄 선 이유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
46537 '챗GPT 지브리풍 그림' 유행 올라탄 백악관... "부적절" 논란, 왜?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