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제2도시 만달레이서 33㎞ 떨어진 지점 발생
붕괴 사고 발생한 태국은 국가비상사태 선포
베트남, 중국 남부 등 인접국에서도 진동 감지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수도 네피도의 한 사원이 무너져 내렸다. 네피도=AP 연합뉴스


미얀마 내륙에서 28일 규모 7.7 강진이 발생했다. 같은 인도차이나 반도에 위치한 태국과 베트남은 물론 인도와 중국 남부 지역까지 진동이 감지될 만큼 파장이 컸다.
태국에서는 건설 중인
고층 빌딩이 무너져 인부 수십 명이 매몰되는 대형 사고도 발생하면서 국가비상사태가 선포
됐다.

미얀마 지진 사망자 1000명 넘을 듯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 등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50분쯤 미얀마 내륙에서 규모 7.7
지진이 발생
했다. 진앙은 수도 네피도에서 북북서쪽으로 248㎞, 인구 120만의 제2도시 만달레이에서 서남서쪽으로 33㎞ 떨어진 지점이다. 진원의 깊이는 10㎞로 관측됐다.

28일 미얀마 규모 7.7 강진 발생 위치. 미국 지질조사국(USGS) 캡처


미국 지질조사국(USGS)도 이번 지진 규모를 7.7로 측정했다. 첫 지진 발생 12분 뒤에는 미얀마 중부 사가잉 인근에서도 규모 6.4의 두 번째 강진이 발생했다고 미국 CNN방송은 전했다.

이날 미얀마 군사 정권은
네피도와 만달레이 등 강진 피해 6개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에 지원을 요청했다
. 지난 2021년 쿠데타 이후 '대화의 문'을 닫은 미얀마 군부가 먼저 도움을 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군정은 지난해 10월 동남아시아 지역을 강타한 대규모 태풍으로 수천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을 때도 인도주의 단체 등이 내민 손길을 거부했다.

다만 이날 구체적인 미얀마 내부 피해 상황은 현재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독립 언론과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도 매체 등을 종합하면 현지는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현지 독립 언론 미얀마나우는 “이번 지진으로 역사적 유적지인 만달레이 궁전 일부가 크게 훼손됐고 사가잉시 다리가 완전히 무너지는 등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고 목격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이 매체가 공개한 사진을 보면
지진으로 도로가 휘어지고 주거 건물과 사원 등 대부분의 건물이 처참하게 무너져 내렸다
.


28일 미얀마 제2도시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사가잉 다리가 무너져 내렸다. 미얀마 독립 매체 미얀마 나우 캡처


인도 이코노믹타임스는 현지 관리를 인용, “수도 네피도 대형 병원에서 사상자가 대거 발생했다”고 전했다.
USGS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번 지진 사망자가 1,000명을 넘을 확률이 70%가 넘을 것으로 추정
했다. 경제적 피해 역시 미얀마 국내총생산(GDP)의 20~30%에 이를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방콕서 30층 건물 빌딩 ‘와르르’



이날 지진은 이웃국가에서도 감지됐다. 국경을 맞대고 있는 태국의 피해가 가장 컸다. 만달레이에서 1,000㎞ 이상 떨어진
태국 수도 방콕에서는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 건물이 무너지면서
수십 명의 건설 노동자가 매몰
됐다. 현지 당국은 이번 사고로 최소 1명이 숨지고 50명이 부상을 입었다고 밝혔다.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1,000km 떨어진 태국 방콕에서 공사 중인 30층 높이 빌딩이 붕괴되고 있다. 페이스북 캡처


SNS 등에 올라온 영상을 보면 현지 유명 시장인 짜뚜짝 시장 인근에서 공사 중인 건물이 한순간에 흘러내리듯 땅으로 푹 꺼졌다. 무너진 자리에는 건물의 형태는 없이 뿌연 먼지 구름만 솟아올랐다.

로이터통신은 “방콕에서 진동에 놀란 시민들이 공황 상태에 빠져 거리로 뛰어나왔고, 수영장 물이 튀어나왔다는 목격담도 이어졌다”고 보도했다. 방콕에 거주하는 태국 여성 라미다는 한국일보에 "
지진 발생 당시 지상철(MRT)을 타고 있었고 열차가 좌우로 매우 심하게 흔들렸다
"며 "역에 도착해 문이 열리자마자 승객들이 두려워하며 재빨리 달려나갔다"고 회상했다.

28일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태국 방콕에서도 진동이 감지됐다. 이날 방콕 지상철(MRT)이 좌우로 크게 흔들리는 모습. 라미다 제공


태국 내 피해도 커지면서 태국 정부는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했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성명을 통해 "가능한 고층 빌딩을 피하고 계단만 이용하며 침착함을 유지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미얀마에서 1,500㎞ 이상 떨어진 베트남 수도 하노이와 남부 최대 도시 호찌민, 중국 남부 윈난성과 인도 서부 콜카타와 임팔 등에서도 크고 작은 진동이 감지됐다.

28일 미얀마 만달레이 인근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 여파로 태국 방콕에서 공사 중이던 30층 건물이 무너져 내렸다. 사고 현장에서 한 남성이 구조되고 있다. 방콕=AFP 연합뉴스


한국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40 [단독]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월1회 주사 맞는 장기제형 플랫폼 개발…비만 치료제에 우선 적용할 것" 랭크뉴스 2025.03.31
46539 법은 실수도 응징했다...봄철 산불에 유독 엄한 이유 있었다 랭크뉴스 2025.03.31
46538 미국인들이 신차 뽑으려고 줄 선 이유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
46537 '챗GPT 지브리풍 그림' 유행 올라탄 백악관... "부적절" 논란, 왜? 랭크뉴스 2025.03.31
46536 찰스 3세, 한국 산불피해 위로…여왕 안동 방문도 언급 랭크뉴스 2025.03.31
46535 野 "마은혁 임명" 압박에…與 "그럼 문형배·이미선 후임도 뽑자" 랭크뉴스 2025.03.31
46534 대학 강의실에 부장님이?… 신용보증기금이 금융교육 나선 이유 랭크뉴스 2025.03.31
46533 “다 오릅니다” 라면·우유·버거 줄인상… 정국 불안 노렸나 랭크뉴스 2025.03.31
46532 [단독] ‘21년째 비정규직’ 노인 일자리사업 담당자를 아시나요···노조 첫 출범 랭크뉴스 2025.03.31
46531 [단독] 국내 위스키 1·2·3위 모두 매물로 나와 랭크뉴스 2025.03.31
46530 경남 산청 산불 213시간 만에 주불 진화 랭크뉴스 2025.03.31
46529 트럼프 "휴전합의 안 하면 원유 25% 관세" 랭크뉴스 2025.03.31
46528 공매도 전면 재개…“개미들은 떨고 있다?”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
46527 공매도 재개… 고평가·대차 잔고 비중 큰 종목 주의 랭크뉴스 2025.03.31
46526 트럼프 “3선 가능, 농담 아니다”…민주당 “독재자가 하는 짓” 랭크뉴스 2025.03.31
46525 날계란 맞고 뺑소니로 전치 4주 부상에도 집회장 지키는 이유…“아무도 다치지 않길 바라서” 랭크뉴스 2025.03.31
46524 [삶] "서양 양아빠, 한국자매 6년간 성폭행…일부러 뚱뚱해진 소녀" 랭크뉴스 2025.03.31
46523 경기 18건, 경북 9건...산불 죄다 났는데 영남만 피해 큰 까닭 랭크뉴스 2025.03.31
46522 ‘깨지기 쉬운 지반’ 보고서 확인하고도… 서울시, 명일동 ‘안전~보통’ 등급 판단 랭크뉴스 2025.03.31
46521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