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삼성, 中 전장·반도체 공략 강화
中전기차 글로벌 존재감 커지자
기존 방중 때보다 협력 공들여
지난해 中 매출 44조로 23%↑
"반도체 등 경쟁력 회복 계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8일 중국 베이징에서 주최한 글로벌 최고경영자(CEO)들과의 회동에 참석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AP연합뉴스

[서울경제]

이재용 삼성전자(005930) 회장은 올해 첫 해외 출장지로 선택한 중국에서 무려 일주일간 머물렀다. 2년 전 방중보다 이틀 더 긴 일정으로 샤오미와 비야디(BYD) 등 전기차 기업부터 시작해 마지막 시진핑 국가주석까지 만나는 말 그대로 광폭 행보였다. 삼성의 위기 극복을 위해 반드시 맞춰야 할 퍼즐 가운데 하나가 중국인 만큼 다양한 신규 고객을 발굴해 경쟁력을 되찾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이 회장의 이번 방중은 ‘전장(차량용 전자·전기 장비) 동맹’으로 요약된다. 중국 전기차 업계가 글로벌 시장에서 연일 존재감을 키우자 이들 기업 수장들과의 네트워크를 강화해 중국 전장 공급망에 대한 영향력을 높이겠다는 포석이다. 이 회장이 여러 중국 기업들을 제쳐 두고 BYD와 샤오미 등을 가장 먼저 만난 것도 이 때문이다.

전장 사업은 전기차와 소프트웨어중심차량(SDV) 확대와 함께 고성장이 예상된다. 이에 발맞춰 삼성 계열사들도 전장 사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가전과 반도체, 스마트폰을 주력으로 삼아 온 삼성전자는 2016년 디지털 콕핏을 만드는 하만을 인수한 후 다양한 고객사를 추가하며 공격적으로 전장 사업을 키웠다. 디지털 콕핏은 차량 앞쪽의 디지털 편의 기능 제어장치를 말한다. 인수 직후인 2017년 7조 1026억 원이던 하만 매출은 지난해 13조 2137억 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다. 삼성전기(009150)와 삼성디스플레이 역시 스마트폰, 정보기술(IT) 기기 성장 정체의 돌파구를 전장에서 찾고 있다. 삼성전기는 고부가 카메라모듈과 적층세라믹콘덴서(MLCC) 등을 앞세워 올해 전장 매출 2조 원을 목표로 삼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최근 퀄컴과 파트너십을 맺고 차량용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고전하고 있는 파운드리(반도체 위탁 생산)의 활로도 모색할 수 있다. 일반 내연기관 자동차 한 대에 탑재되는 반도체 칩이 600~700개인 반면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스마트카는 3000개가량이 필요하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파워를 관리하는 전력반도체를 비롯해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첨단 반도체까지 모든 분야에서 삼성전자와 전기차 회사 간 협업이 이뤄질 수 있다”고 전했다.

전장이 미래라면 가전과 반도체는 현재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중국 매출은 약 43조 9000억 원으로 2년 전 35조 6000억 원 대비 약 23% 늘었다. 글로벌 경기 침체로 세계 가전 시장이 수년째 답보하는 상황에서도 세계 최대 시장인 중국만은 분위기가 다른 셈이다. 중국 정부가 최근 내수 소비 진작을 위해 꺼내든 이구환신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면서다. 중국 상무부 발표에 따르면 이구환신 정책으로 현재까지 중국에서 2020만 명의 소비자가 12개 주요 가전 품목에서 2757만 대를 구매했고 누적 매출은 930억 8000만 위안(약 18조 7090억 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가전 침체에 허덕이는 삼성전자 등 국내 업계가 최근 중국을 향한 주목도를 높이는 이유다.

반도체 사업에서도 중국은 최대 수출 시장이자 주요 생산 시설이 자리한 지역이다. 창신메모리·양쯔메모리테크놀로지스 등 중국이 메모리 제품 자급화에 나서고 있지만 고급 스마트폰이나 데이터센터 서버 등에 들어가는 더블데이터레이트(DDR)5, 고용량 스토리지 솔루션 등 최선단 제품에 대해서는 중국 기업들은 여전히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에 의존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주요 제품 점유율 하락으로 고전하는 삼성이 이번 이 회장 방문을 계기로 경쟁력 회복의 계기를 만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180 [중년 여성의 알바 생활] 외제차 끌고 나온 ‘알바’ 여사님들 랭크뉴스 2025.03.30
46179 '유흥 성지' 오명 벗어던지고…휴가철 인구 무려 30배 불어난 '이곳' 어디? 랭크뉴스 2025.03.30
46178 “미안합니다” 600년 넘게 젊었던 느티나무도 화마에… [지금뉴스] 랭크뉴스 2025.03.30
46177 이재명 '골프사진 조작' 비판한 국힘 겨냥, SNS 올린 사진 한 장 랭크뉴스 2025.03.30
46176 [속보]10일째 맞은 산청 산불 진화율 99%…“진화 총력” 랭크뉴스 2025.03.30
46175 [속보] 경찰 '경북산불' 실화 혐의 50대 입건…"산림보호법 위반" 랭크뉴스 2025.03.30
46174 세계적 투자 대가 짐 로저스, 美 주식 팔고 새로 산 종목은[김민경의 글로벌 재테크] 랭크뉴스 2025.03.30
46173 '이민 천국'이던 뉴질랜드…"헬이다" 자국 청년들 탈출 급증, 왜 랭크뉴스 2025.03.30
46172 "트럼프, 관세 더 세게 나가라 주문"… 자동차 가격 인상에는 "신경 안 써" 랭크뉴스 2025.03.30
46171 민주당, 文 전 대통령 소환 통보에 격앙…“무도한 칼춤” 랭크뉴스 2025.03.30
46170 관세에 내일부터는 공매도까지…개미는 어찌 할까요 [선데이 머니카페] 랭크뉴스 2025.03.30
46169 트럼프 "관세 의한 車값 상승 신경안써…소비자들 미국차 살것" 랭크뉴스 2025.03.30
46168 경남 산청 산불 진화율 98%로 낮아져, 주불 진화 난항 랭크뉴스 2025.03.30
46167 [비즈톡톡] KT스카이라이프, 적자에 잉여금 줄었는데… 배당금 가져간 모회사 ‘KT’ 랭크뉴스 2025.03.30
46166 묘소 정리 중 실화 혐의…‘경북 산불’ 피의자 경찰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165 "아저씨, 사고 조심하세요" 조언한 아이들에 욕설 퍼부은 60대 랭크뉴스 2025.03.30
46164 "주 3일만 일하세요"…석유 부국인데 연료 없어서 근로시간 확 줄인 '이 나라' 랭크뉴스 2025.03.30
46163 눈 날리는 꽃샘추위 기승…전국 강풍 불어 산불·화재 주의 랭크뉴스 2025.03.30
46162 "尹 탄핵선고 언제까지 기다리나" 랭크뉴스 2025.03.30
46161 이재명 '골프 사진 조작' 비판한 국민의힘에 "진실 직시하라"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