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북 산불의 주불 진화가 완료된 28일 경북 의성군 산림청 상황실 인근에서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공중진화대 대원들이 땅바닥에 누워 휴식을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해 안동·영덕·영양·청송으로 번진 산불의 주불 진화가 일주일째인 28일 완료됐다.

28일 오후 5시 경북 의성군 산불현장지휘소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임상섭 산림청장은 “이날 오후 2시 30분 영덕을 시작으로 오후 5시부로 의성·안동·청송·영양까지 주불 진화가 완료됐다”고 말했다. 지난 25일 경주와 봉화에서 각각 발생한 산불은 초기 진화를 완료한 상태다. 현재 산림당국은 지상진화인력을 투입해 잔불을 정리하고 있다.

지난 22일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에서 성묘객의 실화로 발생한 산불은 24일 인접 지역인 안동 길안면 일대로 번졌다. 25일 오후부터는 태풍급 바람을 타고 청송·영덕·영양까지 덮쳤다. 경북 산불 진화율은 전날 오후 5시까지 63%에 머무르다가, 이날 오전 7시 85%까지 상승한 뒤 낮 12시 94%까지 치솟았다.

산림당국은 이날 기상여건이 진화에 유리한 요소였다고 밝혔다. 임 청장은 “일주일째 진화를 진행했는데 오늘처럼 헬기 투입이 원활하게 된 적이 처음이다”며 “그동안 낮에 헬기로 진화율을 올리면 밤에 강한 바람으로 진화율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됐는데 이날은 지상 진화 여건도 좋아 진화율이 빠르게 올라갔다”고 설명했다.

대구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전날과 이날 새벽에 경북 지역에 소량의 단비가 내렸다. 의성 1.5㎜, 안동 1㎜, 청송 2㎜, 영양 3㎜, 영덕 2㎜의 비가 마른 땅을 적셨다. 이날도 오후 늦게 영덕·영양 지역에 빗줄기가 떨어졌다. 낮 기온도 9~14도로 전날보다 낮았고, 바람도 강한 편은 아니었다.
임상섭 산림청장이 28일 오후 경북 의성군 산림청 상황실 앞에서 지난 22일부터 시작된 경북 산불의 주불 진화를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불이 잡히면서 산림당국은 잔불 진화 체계에 돌입했다. 잔불 정리는 경북도와 해당 시·군, 관계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낙엽 속에 숨은 불씨가 재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산림청은 산불진화헬기를 각 시·군에 2~5대 남겨놓고 나머지는 산불이 잡히지 않은 경남 산청 등에 지원할 계획이다. 진화 인력이 투입돼 연기가 나는 곳을 찾아다니며 불을 끄거나 완진될 때까지 재발화를 감시한다.

산림당국은 산불이 완전히 진화되는 대로 피해면적을 조사할 방침이다. 이날 5시 기준 경북 산불영향구역은 4만5000여㏊로, 역대 최대 규모의 산불영향구역을 기록했다는 게 산림당국의 설명이다. 불이 잡히면서 지난 22일 오전 11시 24분쯤 “묘지를 정리하다 불이 났다”고 신고한 50대 성묘객에 대한 조사도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의성군은 오는 31일 이 성묘객을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의성군 관계자는 “원래 산불 용의자는 군 소속 특별사법경찰이 산림보호법에 따라 수사하게 돼 있는데 이번 경우에는 산림 피해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도 크고 문화재도 다량 소실돼 경찰과 협의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28일 경북 의성군 산림이 산불에 폐허가 된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빛내림 현상이 관측되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산불로 사망자는 이날 오전 7시 기준 의성 1명(헬기 조종사), 안동 4명, 청송 4명, 영양 6명, 영덕 9명으로 24명이다. 지역 2412개소의 시설이 전소되거나 반소되는 피해를 입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44 "66세에 자연임신"…10번째 아이 출산한 獨 여성, 매일 '이 운동' 했다는데 랭크뉴스 2025.03.30
46343 [단독] 알테오젠 '한달 한번' 맞는 비만주사 플랫폼 만든다 랭크뉴스 2025.03.30
46342 “일단 급한 불부터 끄자”… 답답한 與野 공전에 ‘추경’ 물꼬 튼 정부 랭크뉴스 2025.03.30
46341 민주당 마은혁 임명 압박에…"입장 없다" 말 아끼는 한덕수 랭크뉴스 2025.03.30
46340 중대본 "울산·경북·경남 산불 주불 모두 진화‥역대 최대 피해" 랭크뉴스 2025.03.30
46339 최악 산불 퍼지던 시기… 출장 가서 케이블카 탄 시의회 의원들 랭크뉴스 2025.03.30
46338 역주행 승용차, 경차 들이받아 3명 숨져…운전자 ‘급발진’ 주장 랭크뉴스 2025.03.30
46337 국힘 맹공에…“조작인가 아닌가” 이재명, 페북 올린 사진 랭크뉴스 2025.03.30
46336 아이돌 이름으로, 친구들 재능 모아서…산불에 ‘기부 독려’ 나선 청년들 랭크뉴스 2025.03.30
46335 한덕수 ‘마은혁 임명’ 굳게 닫힌 입…윤 복귀 위한 ‘위헌 버티기’ 비판 랭크뉴스 2025.03.30
46334 "당장 뱃살부터 빼야겠네"…남성 허리둘레 늘어나니 암 발병 확률도 '쑥' 랭크뉴스 2025.03.30
46333 정부, 산불 피해 복구 등 ‘10조 추경’ 추진 랭크뉴스 2025.03.30
46332 지진속 '그 건물만' 무너졌다…태국 정부, 中시공사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331 이재명 "헌재 고뇌·고충 막중할 것‥현명한 결정 신속히 해달라" 랭크뉴스 2025.03.30
46330 [단독] 롯데리아, 주문당 쿠폰 5개 중복 가능…버거플레이션 속 숨통 랭크뉴스 2025.03.30
46329 민주 초선들, 권성동 '내란선동죄 고발'에 "무고죄 맞고발" 랭크뉴스 2025.03.30
46328 정부 '10조 필수추경' 추진‥"여야, 취지 동의한다면 조속편성" 랭크뉴스 2025.03.30
46327 왜 이 건물만?…태국 정부, 지진에 무너진 33층 건물 中시공사 조사 랭크뉴스 2025.03.30
46326 정부 '10조 필수추경' 추진…"여야, 취지 동의한다면 조속편성"(종합2보) 랭크뉴스 2025.03.30
46325 문재인 전 대통령 “계엄내란 광기의 원형, 제주 4·3서 찾을 수 있어”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