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경북 산불의 주불 진화가 완료된 28일 경북 의성군 산림청 상황실 인근에서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공중진화대 대원들이 땅바닥에 누워 휴식을 취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2일 경북 의성군에서 발생해 안동·영덕·영양·청송으로 번진 산불의 주불 진화가 일주일째인 28일 완료됐다.

28일 오후 5시 경북 의성군 산불현장지휘소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임상섭 산림청장은 “이날 오후 2시 30분 영덕을 시작으로 오후 5시부로 의성·안동·청송·영양까지 주불 진화가 완료됐다”고 말했다. 지난 25일 경주와 봉화에서 각각 발생한 산불은 초기 진화를 완료한 상태다. 현재 산림당국은 지상진화인력을 투입해 잔불을 정리하고 있다.

지난 22일 의성군 안평면 괴산리에서 성묘객의 실화로 발생한 산불은 24일 인접 지역인 안동 길안면 일대로 번졌다. 25일 오후부터는 태풍급 바람을 타고 청송·영덕·영양까지 덮쳤다. 경북 산불 진화율은 전날 오후 5시까지 63%에 머무르다가, 이날 오전 7시 85%까지 상승한 뒤 낮 12시 94%까지 치솟았다.

산림당국은 이날 기상여건이 진화에 유리한 요소였다고 밝혔다. 임 청장은 “일주일째 진화를 진행했는데 오늘처럼 헬기 투입이 원활하게 된 적이 처음이다”며 “그동안 낮에 헬기로 진화율을 올리면 밤에 강한 바람으로 진화율이 떨어지는 악순환이 반복됐는데 이날은 지상 진화 여건도 좋아 진화율이 빠르게 올라갔다”고 설명했다.

대구지방기상청에 따르면 전날과 이날 새벽에 경북 지역에 소량의 단비가 내렸다. 의성 1.5㎜, 안동 1㎜, 청송 2㎜, 영양 3㎜, 영덕 2㎜의 비가 마른 땅을 적셨다. 이날도 오후 늦게 영덕·영양 지역에 빗줄기가 떨어졌다. 낮 기온도 9~14도로 전날보다 낮았고, 바람도 강한 편은 아니었다.
임상섭 산림청장이 28일 오후 경북 의성군 산림청 상황실 앞에서 지난 22일부터 시작된 경북 산불의 주불 진화를 선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불이 잡히면서 산림당국은 잔불 진화 체계에 돌입했다. 잔불 정리는 경북도와 해당 시·군, 관계기관을 중심으로 진행된다. 낙엽 속에 숨은 불씨가 재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산림청은 산불진화헬기를 각 시·군에 2~5대 남겨놓고 나머지는 산불이 잡히지 않은 경남 산청 등에 지원할 계획이다. 진화 인력이 투입돼 연기가 나는 곳을 찾아다니며 불을 끄거나 완진될 때까지 재발화를 감시한다.

산림당국은 산불이 완전히 진화되는 대로 피해면적을 조사할 방침이다. 이날 5시 기준 경북 산불영향구역은 4만5000여㏊로, 역대 최대 규모의 산불영향구역을 기록했다는 게 산림당국의 설명이다. 불이 잡히면서 지난 22일 오전 11시 24분쯤 “묘지를 정리하다 불이 났다”고 신고한 50대 성묘객에 대한 조사도 본격적으로 이뤄진다. 의성군은 오는 31일 이 성묘객을 소환해 조사할 예정이다. 의성군 관계자는 “원래 산불 용의자는 군 소속 특별사법경찰이 산림보호법에 따라 수사하게 돼 있는데 이번 경우에는 산림 피해뿐만 아니라 인명피해도 크고 문화재도 다량 소실돼 경찰과 협의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28일 경북 의성군 산림이 산불에 폐허가 된 모습을 보이는 가운데 빛내림 현상이 관측되고 있다. 연합뉴스
경북 산불로 사망자는 이날 오전 7시 기준 의성 1명(헬기 조종사), 안동 4명, 청송 4명, 영양 6명, 영덕 9명으로 24명이다. 지역 2412개소의 시설이 전소되거나 반소되는 피해를 입었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373 꽃샘추위에 73분 늦은 '초인'... 지드래곤 "내년엔 빅뱅으로 만날 것" 랭크뉴스 2025.03.30
46372 힘들게 터 잡은 청년농부들, 피땀 어린 삶의 터전도 잿더미 랭크뉴스 2025.03.30
46371 "삼일절 연휴 급여 달라"는 홈플러스 임원들…법원에 조기변제 신청 논란 랭크뉴스 2025.03.30
46370 휴대전화 수리 맡겼다가…대리점 여직원에 2억 뜯긴 90대, 뭔일 랭크뉴스 2025.03.30
46369 미얀마, 여진 속 필사의 '맨손' 구조활동…국제사회 지원 속도 랭크뉴스 2025.03.30
46368 글로벌 관세 전쟁, 서비스 분야로 확대될 수도… “美 빅테크에 보복관세” 랭크뉴스 2025.03.30
46367 한덕수의 침묵... 총리실 "마은혁 임명에 아무 말도 없다" 랭크뉴스 2025.03.30
46366 강민국, '연쇄 탄핵' 압박에 "이런 국회 해산해야‥총사퇴 각오" 랭크뉴스 2025.03.30
46365 화재 취약한 침엽수 위주 ‘숲가꾸기 사업’, 산림청은 왜 귀닫고 있나 랭크뉴스 2025.03.30
46364 기동대 숙박비만 13억 썼다…尹선고 지연에 피로 쌓이는 경찰 랭크뉴스 2025.03.30
46363 야권, 헌법재판관 임기 연장·권한쟁의심판·재탄핵···늦어지는 탄핵심판에 카드 총동원 랭크뉴스 2025.03.30
46362 한예슬에 "나잇값 좀 하자"…벌금형 받은 악플러 2심 무죄, 왜 랭크뉴스 2025.03.30
46361 BTS 뮤직비디오 ‘피 땀 눈물’ 유튜브 10억뷰 돌파 랭크뉴스 2025.03.30
46360 "가족 9명 깔려, 생후 20일 아들까지"…한국서 애타는 미얀마인들 랭크뉴스 2025.03.30
46359 검찰, ‘사드 기밀 유출 의혹’ 정의용 전 국가안보실장 소환 랭크뉴스 2025.03.30
46358 암 환자 절반 수술 한 달 밀려…의정 갈등에 전공의 공백 탓 랭크뉴스 2025.03.30
46357 '10조 필수추경'에 與 "적절" 野 "효과 의문"…협상 험로 예고 랭크뉴스 2025.03.30
46356 불 붙은 꿩 때문에 산불, 그래도 실화자 처벌…경북 산불 용의자는 랭크뉴스 2025.03.30
46355 한덕수 권한대행, “4월1일 마은혁 임명” 野 압박에도 ‘침묵’ 고수 랭크뉴스 2025.03.30
46354 의대생 '휴학' 단일대오 깨졌다…데드라인 앞두고 대규모 등록 러쉬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