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땅꺼짐 예방할 유일 수단 GPR
서울·부산 제외 자체보유 ‘0대’
외부용역 의존···탐지 소홀 우려
지난 25일 서울 강동구 대명초등학교 인근 사거리에서 싱크홀(땅 꺼짐) 사고 발생으로 교통이 통제되고 있다. 이 사고로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이 싱크홀에 빠져 목숨을 잃었다. 뉴스1

[서울경제]

땅꺼짐(싱크홀)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지하 공동(空洞)을 탐색하는 핵심 장비인 지표투과레이더(GPR)가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통틀어 단 8대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나마 보유한 곳은 서울과 부산 뿐이다. 앞서 서울 강동구 명일동에 발생한 싱크홀이 오토바이 운전자의 목숨을 앗아가는 비극으로 이어진 가운데 사고를 예방할 수단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8일 서울경제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이날 기준 GPR을 자체 보유한 지자체는 서울특별시(7대)와 부산광역(1대) 2곳 뿐이었다. 부산시의 경우에도 넓은 지역을 맡는 차량형만 보유했을 뿐 인도나 골목길 등에 주로 사용되는 소형 장비는 없었다. 다른 15곳 지자체들은 관련 장비를 한 대도 보유하지 않았다.

문제는 이같은 장비 격차가 지역별 사고 예방 역량 차이로 이어진다는 점이다. GPR은 지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레이더를 투과해 싱크홀로 이어질 위험이 있는 공동을 탐색하는 수단이다. 현재로선 싱크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사실상 유일한 방법으로 꼽히지만 지자체별 보유 현황은 턱없이 부족한 셈이다. 이영주 경일대 소방방재학과 교수는 “GPR이 있으면 탐사를 더 적극적으로 할 수 있지만 장비를 운영하고 유지·관리하는 데 적지 않은 예산이 들기 때문에 지자체 입장에선 큰 부담이 될 수 있다”고 했다.

실제 장비를 자체 보유하지 않는 지자체는 외부 용역에 의존하고 있다. 통상 1㎞당 200만원 수준에 달하는 높은 검사 비용 탓에 지자체들이 쉽게 이용하지 못한다. 국토안전관리원 통계연보에 따르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5년 간 광주·전북·울산 등 전국 대다수 지자체의 GPR 공동 조사 건수는 100건 이하에 머물렀다. 지자체들이 국토안전관리원으로부터 9대의 GPR을 지원받고는 있지만 전국적인 탐사에는 역부족이다. 요청이 있고 나서 국토안전관리원 점검에 이르기까지는 평균 220일이 소요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싱크홀 사고가 재발할 우려는 여전히 큰 상태다. 국민의힘 소속 이상욱 서울시의원에 따르면 시가 2023년부터 지난해 9월까지 181개 도로를 조사한 결과 지반 침하 위험도가 가장 높은 E등급을 받은 구간은 28곳에 달했다. 여기에는 용산 대통령 관저로 이어지는 한남삼거리~한남대교북단 구간 도로도 포함됐다. 이 지역은 계엄과 탄핵 국면을 거치며 최근까지도 대규모 집회가 열리고 있는 장소다. 서울시는 지하에 매설된 △상·하수도 △전기 △통신 시설이 중첩되고 노후한 경우 지반 침하 위험도가 높다고 판단해 E등급을 부여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결국 전문 인력과 장비를 크게 확충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사고를 예방할 장비를 확보하는 작업이 더 이상 낭비로 여겨져선 안 된다는 의미다. 조원철 연세대 토목공학과 교수는 “싱크홀 예방을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성”이라며 “특히 땅이 가장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장마철에 집중적인 탐사 작업을 벌이기 위해 재정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408 文 "계엄 내란 광기 원형 찾을 수 있어"…제주 4·3 관련 책 추천 랭크뉴스 2025.03.30
46407 천주교 시국선언 "군경으로 국회 장악, 단죄 식별 그렇게 어렵나" 랭크뉴스 2025.03.30
46406 하루종일 ‘진화율 99%’…힘겨웠던 주불 진화 선언 랭크뉴스 2025.03.30
46405 “민주당 해산” “내각 줄탄핵” 헌재 바라보다 격해진 여야 랭크뉴스 2025.03.30
46404 부산대 의대생 600명 전원 복귀 결정…전산망 열어 신청 접수 랭크뉴스 2025.03.30
46403 기후변화에 '괴물 산불' 예상해 대책 세웠지만...속절없이 당했다 랭크뉴스 2025.03.30
46402 이재용은 시진핑·정의선은 트럼프… 국가 대신 뛰는 총수들 랭크뉴스 2025.03.30
46401 꿀벌이 美과일 75% 맺어주는데…올겨울 원인모를 떼죽음에 비상 랭크뉴스 2025.03.30
46400 “헌재는 윤석열을 파면하라” 탄원 서명…9시간 만에 20만명 동참 랭크뉴스 2025.03.30
46399 산불 대응에 ‘10조 추경’ 물꼬 튼 정부…“4월 중 통과 요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8 신정아 "尹 무서워 오줌쌌다"…반윤 검사가 밝힌 '조사실 진실' 랭크뉴스 2025.03.30
46397 ‘왕의 귀환’ 지드래곤 8년 만의 콘서트···73분 지연은 오점 랭크뉴스 2025.03.30
46396 홈플러스, 회생법원에 ‘임원 사흘치 급여’ 지급 허가 신청 랭크뉴스 2025.03.30
46395 “원자폭탄 334개 위력”…미얀마 강진 나흘째, 사망자 1600명 넘어 랭크뉴스 2025.03.30
46394 정산 계획 내놓지 못한 발란…결제서비스까지 전면 중단 ‘잠정 폐업’ 랭크뉴스 2025.03.30
46393 고령 고객 개인정보로 대출 받은 휴대전화 대리점 직원 송치 랭크뉴스 2025.03.30
46392 고려대·충남대·부산대 의대생도 전원 등록…복귀 '대세'로 랭크뉴스 2025.03.30
46391 삼전 주주만 516만 명인데…전자주총땐 발언·의결권 행사 현실적 불가 랭크뉴스 2025.03.30
46390 정부, 산불 피해 대응 등 '10조 추경안' 내놨지만… 여야, '재난 예비비' 공방만 랭크뉴스 2025.03.30
46389 韓, 野 재탄핵 경고에도 침묵… 마은혁 임명 ‘여야 합의’ 고수 랭크뉴스 2025.03.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