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의성군 소속 특사경, 집 주소 등 소재 확보 못해
“진화로 바빠…경찰 협조 요청 여부도 차후 검토”
지난 27일 의성군에서 안동시 방향으로 바라본 산림이 산불로 인해 폐허로 변해 있다. 의성 | 성동훈 기자


일주일째 이어지는 경북 의성 산불과 관련해 의성군이 산불 용의자에 대한 수사를 사실상 손놓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역대 최대 규모의 피해를 낸 산불을 두고 지자체의 대응이 안일한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온다.

28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이번 산불 수사를 전담하는 의성군 소속 특별사법경찰관(2명)은 산불이 난 지난 22일 이후 이날까지 산불 용의자 A씨(57)에 대해 조사 등을 목적으로 연락을 취한 적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다만 의성군 산림녹지과 관계자가 산불 발생 당일 A씨와 한 차례 통화한 게 전부다. 현재 의성군은 A씨의 실명과 연락처만 확보하고 있다. A씨 집 주소 등의 정확한 소재는 알지 못한다고 의성군측은 전했다.

의성군 특사경은 “산불 진화 작업에 투입되는 등 바쁜 일정 때문에 실화자에 대한 조사는 시작조차 못하고 있다. (실화자에게) 연락을 하지도 못했다”며 “진화가 완료되는 대로 조사하겠다. 경찰에 수사 협조를 구할 지도 이후에 검토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경북경찰청은 지자체의 공조 요청이 없는 상황에서 수사에 나설 수는 없다는 입장이다. 당초 폐쇄회로(CC)TV 분석과 감식 등을 지원할 계획이었지만 산불 일주일이 되도록 의성군으로부터 연락을 받지 못했다.

산림 등 전문 분야의 경우 특별법을 근거로 활동하는 지자체 특사경이 수사나 단속의 주체라는 것이다. 즉 경북 5개 시·군에서 막대한 인명 및 재산 등의 피해를 낸 용의자에 대한 수사가 전혀 이뤄지지 않은 셈이다.

이번 산불의 원인은 성묘객에 의한 실화(失火)인 것으로 잠정 파악된 상태이다.

지난 22일 A씨와 그의 아내가 조상을 모신 의성군 안평면 야산을 찾아 묘지 정리를 하다 불이 번지자 직접 119에 신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황급히 산을 내려오는 성묘객들을 목격한 주민도 있다. A씨는 대구에 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의성군의 대응은 실화가 원인인 것으로 잠정 확인된 다른 지역 대형산불의 사례와도 차이가 난다.

의성과 마찬가지로 진화 작업이 마무리되지 않은 경남 산청군 산불의 경우 경찰의 1차 조사는 물론 특사경에 의한 현장 조사, 차량 블랙박스 확보 등 속도를 내고 있다. 이 지역 산불은 지난 21일 농장주가 예초기로 풀을 베던 중 불똥이 튀면서 번진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작업 중 불씨가 순식간에 커지자 놀란 농장주의 동료가 최초 신고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산청군 특사경은 경찰이 용의자 B씨를 상대로 조사를 벌였지만, B씨가 “예초기에서 불씨가 튄 게 아니다”며 혐의를 부인했다고 전했다. 특사경은 지난 26일 경찰로부터 조사 결과를 전달 받았다.

산청군 특사경은 “발화지로 추정되는 농장을 조사한 결과, 울타리가 설치돼 있어 외부 침입이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 일기예보 상 (불씨의 원인이 되는) 낙뢰가 친다던가 하는 일도 확인되지 않았다”며 “신고자인 B씨 동료의 차량에서 블랙박스 영상은 확보했다. 진화가 완료되는 대로 대면 조사와 영상 분석 등을 하겠다”고 말했다.

농막에서 나온 용접 불꽃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지난 22일 울산 울주군 온양읍 산불 역시 수사 진행상황은 의성군에 한참 앞선다. 이 산불 역시 경찰이 용의자의 인적사항 등을 확인해 지자체에 알리는 등 1차 수사가 이뤄졌다.

울주군 특사경은 “오늘(28일) 중으로 용의자에게 출석 공문을 보내 다음 주 중에 대면 조사를 하기로 했다”면서 “발화 추정 현장에 수사 중임을 알리는 경계를 쳐 뒀고, 조만간 현장감식을 벌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성군 관계자는 “사상 유래없는 인명과 재산 피해 등이 발생한 산불이라 지자체 단위에서 실화자에 대한 수사와 처벌 등을 감당할 수준이 넘어섰다고 보고 있다”며 “이에 최근 경찰 및 검찰과도 수사 방향 등에 대한 협의를 한 것으로 안다. 실화자에 대한 대응에 손놓고 있지는 않았다”고 해명했다.

경향신문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63 낙엽 아래 불씨가 '복병'‥최초 발화자 입건 랭크뉴스 2025.03.31
46562 WHO, 미얀마 강진 '3급 비상사태' 선포…117억 자금 요청 랭크뉴스 2025.03.31
46561 2월 산업생산 0.6% 증가…소비 1.5%↑·투자 18.7%↑ 랭크뉴스 2025.03.31
46560 오늘부터 공매도 전면 재개…외국인 돌아오나[이런국장 저런주식] 랭크뉴스 2025.03.31
46559 케이크 가격 4만원 육박…조각은 거의 1만원 랭크뉴스 2025.03.31
46558 전문분야 찾아간 오너?... ‘캉골’ 키운 에스제이그룹, 투자사업에 점점 더 집중 랭크뉴스 2025.03.31
46557 “마은혁 임명 거부는 윤 복귀 음모”…민주, 내일 시한 최후통첩 랭크뉴스 2025.03.31
46556 민간 기업이 무기체계 제안한다… 방사청, 도입형태 변경 랭크뉴스 2025.03.31
46555 국민의힘 36.1%·민주 47.3%…정권 교체 57.1%·연장 37.8%[리얼미터] 랭크뉴스 2025.03.31
46554 [속보] 2월 산업생산·소비·투자 모두 증가… 1월 부진 기저효과 영향 랭크뉴스 2025.03.31
46553 [마켓뷰] "기댈 곳이 없네" 관세·경기우려에 공매도까지 사면초가 코스피 랭크뉴스 2025.03.31
46552 제2의 티메프 되나… 정산금 밀린 발란, 결국 결제까지 중단 랭크뉴스 2025.03.31
46551 이 회사 없으면 삼성도 TSMC도 없다… "AI산업, 창소년기 접어들어"[김현예의 톡톡일본] 랭크뉴스 2025.03.31
46550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새 6배 넘게 증가" 랭크뉴스 2025.03.31
46549 "미국 해방일" 온다…협상 없는 관세 전쟁 드라이브[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③] 랭크뉴스 2025.03.31
46548 “반트럼프, 반USA”…트럼프가 불지핀 분열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②] 랭크뉴스 2025.03.31
46547 '자사고 희망' 초1 사교육비 월 59만 원...5년 새 두 배 늘어난 까닭은 랭크뉴스 2025.03.31
46546 “이렇게 될 줄이야”..논란의 ‘백설공주’, 처참한 성적 랭크뉴스 2025.03.31
46545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랭크뉴스 2025.03.31
46544 공짜 와인이 태안 해변에 깔렸다…캘리포니아의 로드트립 유혹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