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지난 27일 오후 경남 산청군 시천면 야산에서 야간 산불이 확산하고 있다. 연합뉴스=독자 제공
경남 산청군 대형 산불이 8일째 이어진 가운데 전날(27일) 밤 사이 지리산국립공원 내 화마(火魔)가 영향을 미친 범위가 2배 늘어난 80㏊인 것으로 28일 산림 당국은 추정했다. 축구장(0.714㏊) 112개 면적이다.

불길은 지리산 최고봉인 천왕봉(1915m)까지 4.5㎞ 앞까지 접근했다. 산림 당국은 지상에 방화선(防火線)을 구축하고 외곽에서 물을 뿌리는 동시에 공중에서 물 폭탄을 퍼붓는 ‘산불 봉쇄 작전’을 펼치고 있다.



지상·공중전으로 ‘火魔 고립’…“뚫리면 천왕봉까지 3시간”
28일 산림 당국에 따르면 산림청 등은 전날부터 경남 산청군 지리산 천왕봉에서 남쪽으로 4.5㎞ 지점에 150~200m 길이의 방화선을 구축했다. 시천면 구곡산(961m) 기슭에서 타오른 불길이 지리산 천왕봉 쪽으로 북진하면서다. 이틀 전, 구곡산 불길은 이 산 정상 너머 지리산국립공원 경계를 넘었다. 산림청 관계자는 “여기(방화선)가 뚫리면, 경사가 심해 불길이 3시간 안에 천왕봉까지 갈 수 있다”고 했다.

김영옥 기자
전날부터 산림 당국은 방화선 아래(남쪽) 불길이 있는 지역의 좌측(시천면 관음사 방면) 우측(삼장면 덕산사 방면) 외곽을 따라 중심부인 산 쪽을 향해 계속 물을 뿌리고 있다. 담수용량 8t짜리 살수차 10대와 방제차 9대, 국립공원 산불진화차 2대, 산림청 고성능 산불진화차(벤츠 유니목) 4대를 동원해서다. 이처럼 외곽에 물을 계속 뿌려, 나무와 풀 등 불쏘시개를 적셔 추가 확산을 막겠다는 것이다.

동시에 공중에서는 미군 대형 헬기인 치누크(CH-47)를 포함한 헬기 36대가 방화선 부근을 중심으로 산불 지역에 물을 퍼붓고 있다. 또 산불 확산 지연제 14t을 방화선 바로 위쪽(천왕봉 방면)에 집중 투하 중이다. 헬기가 뜨지 못하는 야간에 산불이 북진하지 못하도록 막는 작업이다. 지상과 공중에서 동시에 불길을 고립, 진화하는 작전이다.
경남도 동물위생시험소 구제역 및 조류 인플루엔자(AI) 소독차 가 28일 오전 경남 산청군 시천면에서 물을 뿌리며 산불 확산을 예방하고 있다. 연합뉴스

28일 오전 경남 산청군 시천면 상공에서 CH-47 치누크(Chinook) 헬기가 산불 진화를 위해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풍에 ‘좀비 불씨’ 날릴까…산불특전사, 밤샘 악전고투
전날 오후 9시쯤 불이 난 지리산 쪽에는 순간풍속 17~20m 강풍이 불었다. 불길이 천왕봉 쪽으로 향할 우려가 컸다. 산림 당국이 ‘산불 특전사’로 불리는 산림청 소속 산불 진화 전문 인력인 공중진화대·산불재난특수진화대를 투입, 새벽까지 진화 작업을 벌였던 이유다.

산림청 관계자는 “천왕봉까지 4.5㎞밖에 남지 않지 않았고, 강풍이 심해, 대원들을 투입하지 않았으면 불길이 확산할 수 있었다”며 “(지리산 자락에 있는) 덕산사, 관음사까지 불이 내려온 상황이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날 연무 등으로 시야 확보가 안 돼 헬기가 5대만 떴다”며 “게다가헬기에서 물을 뿌려도, 산죽(山竹·산에 있는 대나무) 뿌리 부분 등에 불씨가 남아 있어 (불을 끄려면) 지상에서도 진화 작전을 펼쳐야 했다”고 했다.

실제 지리산 국립공원과 구곡산 기슭에는 낙엽 더미와 암석 아래, 산죽(山竹) 뿌리에 숨은 불씨가 바람과 만나 계속 재발화, 산림 당국이 진화에 애를 먹고 있다. 불길을 잡아도 되살아나길 반복해 ‘좀비 불씨’라고 불릴 정도다.
산림청 공중진화대원들이 28일 오전 0시 10분께 경남 산청군에서 야간 진화 작업을 하고 있다. 사진 산림청



하동 불길, 거의 다 잡아…지리산만 남았다
하동군 옥종면으로 옮겨 붙은 산불은 사실상 다 잡았다. 산림 당국은 전날 밤부터 산림청과 소방당국 등 지상 진화 인력을 총동원, 사투를 벌인 끝에 큰 불을 껐다. 이곳은 민가와 과수원 시설 등이 있어 불길이 번질 경우 인명·시설피해가 클 것으로 우려된 곳이다. 산림 당국은 현재 잔불 감시 체제로 전환해 불씨가 다시 살아나지 않도록 정리하고 있다.

실제 이날 진화율이 올랐다. 이날 낮 12시 기준 산청 산불 진화율은 93%로, 5시간 전(86%)보다 5%p 상승했다. 전체 화선(火線) 70㎞ 중 남은 불의 길이는 5㎞다. 거의 산청에 남은 불길이다.

산청과 하동에서 산불로 대피 중인 인원은 1640명이다. 지난 밤 사이 비닐하우스와 창고 등 2곳이 불에 타면서 시설 피해는 전날보다 2개소 추가된 74개소로 집계됐다. 한편, 산청 산불 현장에는 전날 밤과 새벽 사이 0.4㎜의 적은 비만 내려, 불길을 잡기엔 한계를 보였다.

중앙일보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7179 [속보]대통령실, '尹 선고일' 지정에 "차분하게 헌재 결정 기다릴 것" 랭크뉴스 2025.04.01
47178 [르포] 앞차 돌발 후진에 “빵빵”… 안전요원도 없는 中 로보택시, 운전 실력 놀랍네 랭크뉴스 2025.04.01
47177 [속보] 경찰, 헌재 인근 100m '진공상태화' 조기 착수…집회 측에 통보 랭크뉴스 2025.04.01
47176 헌재, 尹 탄핵 ‘각하’ ‘기각’ ‘인용’ 세 가지 결정 가능 랭크뉴스 2025.04.01
47175 [속보]권영세 “탄핵 기각 희망하지만, 어떤 결론 나오든 당연히 승복” 랭크뉴스 2025.04.01
47174 [속보] 헌재, 윤석열 탄핵심판 4일 오전 11시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173 헌재 “尹 대통령 탄핵심판 4일 11시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172 법원, 전두환 장남 세운 출판 도매업체 북플러스 파산 선고 랭크뉴스 2025.04.01
47171 탄핵선고일 발표에 헌재앞 '폭풍전야'…"즉각파면" "탄핵각하" 랭크뉴스 2025.04.01
47170 10대들이 간다는 출입금지업소 ‘룸카페’를 아시나요? 랭크뉴스 2025.04.01
47169 장제원 사망에 여당 “마음 아파” “명예훼손 말라”…피해자 언급은 없어 랭크뉴스 2025.04.01
47168 헌법재판소 인근 3호선 안국역, 정오부터 일부 출구 폐쇄 랭크뉴스 2025.04.01
47167 “밤잠 설치는 고민이 뭔가요?” 머스크 또 “한국이…” [이런뉴스] 랭크뉴스 2025.04.01
47166 “‘윤 탄핵 기각 땐 국민적 불복 운동’ 미리 공표해야” 박홍근, ‘파면’ 촉구 랭크뉴스 2025.04.01
47165 '액션영화 같은 점프!' 태국에서 '국민 남편' 된 한국인 남성 [World now] 랭크뉴스 2025.04.01
47164 편의점서 일하던 전처 살해한 30대…경찰 사전안전조치에도 범행 랭크뉴스 2025.04.01
47163 헌재 인근 3호선 안국역, 일부 출구 폐쇄…4일엔 무정차 운행 랭크뉴스 2025.04.01
47162 실손보험 비중증 비급여 자부담 50%로↑…보상 일 20만원 한도 랭크뉴스 2025.04.01
47161 재판관 8인 제체 선고, 탄핵 아니면 4대4 전망…무게추는 파면에 랭크뉴스 2025.04.01
47160 문재인 소환 통보에 전주지검 달려간 친문 의원들..."정치검찰의 끝은 파멸뿐" 랭크뉴스 2025.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