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Z세대 구직자의 63%가 블루칼라 직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봉과 안정성 등의 요소가 주요 이유였으며, 특히 인기 업종으로는 ‘IT·배터리·반도체’와 ‘자동차·조선·항공’이 꼽혔다.

채용 플랫폼 캐치가 Z세대 구직자 1,603명을 대상으로 ‘연봉 7천 교대근무 블루칼라’ vs ‘연봉 3천 야근 없는 화이트칼라’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58%가 ‘블루칼라’를 선택하며 과반을 넘겼다. 화이트칼라를 선택한 비중은 42%에 그쳤다.

블루칼라에 대한 인식 변화도 뚜렷하다. 응답자의 63%는 ‘블루칼라 직업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했으며, ‘보통’이라는 응답은 30%, ‘부정적’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블루칼라를 긍정적으로 평가한 주된 이유는 ‘연봉이 높아서(67%)’였다. 이어 △기술을 보유해 해고 위험이 낮아서(13%), △야근·승진 스트레스가 덜해서(10%)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빠르게 취업할 수 있어서(4%) △AI 대체 가능성이 작아서(3%) △몸을 쓰는 업무를 선호해서(3%) 등의 답변도 있었다.

반대로 부정적인 인식을 가진 응답자들은 ‘육체적으로 힘들다(47%)’는 이유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어려워서(15%) △노동에 비해 급여가 적어서(11%) △성장 기회가 적어서(11%) △야근, 교대근무가 힘들어서(7%) △대학교 졸업(학력)이 아까워서(6%) △자동화 등 일자리가 줄 것 같아서(2%)’ 순서로 나타났다.

Z세대가 관심 있는 기술직 업종(복수 응답)으로는 ‘IT·배터리·반도체’와 ‘자동차·조선·항공’이 각각 29%로 공동 1위를 차지했다. 이어 △전기·전자(16%) △미용·요리·제과제빵(15%) △건설·토목·인테리어(8%) 순이었다. 블루칼라 취업이 없다고 답한 응답자 비율은 21%였다.

블루칼라에 대한 관심은 실제 채용 공고 조회수에도 반영됐다. 캐치에 따르면, 지난해 현대자동차의 '모빌리티 기술 인력 채용' 공고는 약 10만 회의 조회수를 기록했으며, 전후 진행된 모빌리티 기술 인력 채용 공고 또한 매번 높은 조회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학사 캐치 김정현 부문장은 “블루칼라에 대한 Z세대의 인식은 점차 ‘전문성과 생존력이 높은 고수익 직업’으로 변화하고 있다”며 “직업의 사회적 인식보다는 연봉, 워라밸, 그리고 자신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직무를 선택하려는 경향이 뚜렷하다”고 분석했다.

한경비즈니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52 제2의 티메프 되나… 정산금 밀린 발란, 결국 결제까지 중단 랭크뉴스 2025.03.31
46551 이 회사 없으면 삼성도 TSMC도 없다… "AI산업, 창소년기 접어들어"[김현예의 톡톡일본] 랭크뉴스 2025.03.31
46550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새 6배 넘게 증가" 랭크뉴스 2025.03.31
46549 "미국 해방일" 온다…협상 없는 관세 전쟁 드라이브[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③] 랭크뉴스 2025.03.31
46548 “반트럼프, 반USA”…트럼프가 불지핀 분열 [혼돈의 미국 그리고 한국②] 랭크뉴스 2025.03.31
46547 '자사고 희망' 초1 사교육비 월 59만 원...5년 새 두 배 늘어난 까닭은 랭크뉴스 2025.03.31
46546 “이렇게 될 줄이야”..논란의 ‘백설공주’, 처참한 성적 랭크뉴스 2025.03.31
46545 대기업 절반 이상 '억대 연봉' 준다…"5년전 대비 6.1배 많아져" 랭크뉴스 2025.03.31
46544 공짜 와인이 태안 해변에 깔렸다…캘리포니아의 로드트립 유혹 랭크뉴스 2025.03.31
46543 최상목에게 국민을 위한 나라는 있는가[정동칼럼] 랭크뉴스 2025.03.31
46542 오늘 의대생 복귀시한 '디데이'…집단휴학 사태 종지부 주목(종합) 랭크뉴스 2025.03.31
46541 현대차 한국 공장 품질 초월한 미국 공장 가보니…로봇 수 백 대 '행렬' 랭크뉴스 2025.03.31
46540 [단독]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 "월1회 주사 맞는 장기제형 플랫폼 개발…비만 치료제에 우선 적용할 것" 랭크뉴스 2025.03.31
46539 법은 실수도 응징했다...봄철 산불에 유독 엄한 이유 있었다 랭크뉴스 2025.03.31
46538 미국인들이 신차 뽑으려고 줄 선 이유 [잇슈 머니] 랭크뉴스 2025.03.31
46537 '챗GPT 지브리풍 그림' 유행 올라탄 백악관... "부적절" 논란, 왜? 랭크뉴스 2025.03.31
46536 찰스 3세, 한국 산불피해 위로…여왕 안동 방문도 언급 랭크뉴스 2025.03.31
46535 野 "마은혁 임명" 압박에…與 "그럼 문형배·이미선 후임도 뽑자" 랭크뉴스 2025.03.31
46534 대학 강의실에 부장님이?… 신용보증기금이 금융교육 나선 이유 랭크뉴스 2025.03.31
46533 “다 오릅니다” 라면·우유·버거 줄인상… 정국 불안 노렸나 랭크뉴스 2025.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