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이 러시아 무르만스크를 방문해 신형 원자력잠수함인 아르한겔스크의 승조원들과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AP연합뉴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휴전 협상과 관련해 북한을 포함해 러시아의 우방국도 대화 대상이라고 언급했다.
28일(현지시간) 러시아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은 러시아 무르만스크를 방문해 신형 핵잠수함인 아르한겔스크의 승조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크라이나 평화 협상과 관련 “미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들도 러시아를 도울 수 있다”며 “중국, 인도, 브라질, 남아공 등 브릭스 국가와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체결한) 북한도 포함된다”고 말했다.
그는 북한과 맺은 전략적 동반자 관계 조약을 강조하면서 “4조는 상호 지원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말하고 있다”며 “북한과 군사 및 군사 기술 분야에서 협력이 진행 중”이라고도 밝혔다.
이는 현재 벌어지고 있는 휴전협상 과정에 참여를 노력하고 있는 유럽연합(EU)처럼 러시아도 우방국인 북한·중국 등의 참여를 끌어낼 수 있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특히 북한군은 현재 우크라이나전에 파병까지 한 상태다. 특히 러시아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올해 방러 계획을 공개하기도 했다.
이와 함께 푸틴 대통령은 미국, 유럽 및 러시아 우방국들과 협력해 우크라이나에 임시정부를 수립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거론했다. 그는 “원칙적으로 국제연합(UN)의 감시하에 미국, 유럽 국가들, 러시아의 우방국들과 함께 우크라이나에 대한 임시 정부 수립 가능성 논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로이터통신은 “이 발언은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지난해 5월 임기가 끝난 이후에도 권력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 당국이 합법적인 협상 파트너가 아니라는 오랜 불만을 겨냥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