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작년 매출 276억···전년比 30% 감소
순자산 마이너스 180억으로 급증
작년 하반기부터 이상 징후 보여
사업확장·쿠폰발행 무리수 지속
VC 투자금 700억 전액 손실 우려

[서울경제]

최근 판매대금 미정산 사태로 논란이 된 발란이 지난해에도 전년 대비 부채 규모를 대폭 늘려오면서 자본잠식 규모를 키워온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자금 부족에 따라 외상거래를 확대하고, 할인 쿠폰 발행도 지속하는 등 방만한 경영을 지속해 오면서 이번 미정산 사태에 이르게 된 것으로 보인다.

28일 벤처 업계에 따르면 발란은 잠정 실적 집계 결과 지난해 12월 기준 자본총계(순자산)가 마이너스 180억 원을 기록하며 2년 연속 완전 자본잠식 상태를 지속하고 있다. 2023년 자본총계가 마이너스 77억 원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해도 크게 악화된 것이다.

이는 발란의 누적된 영업손실과 부채 증가의 영향이 컸다. 실제로 발란은 지난해 영업손실 72억 원을 기록했으며, 부채 규모도 전년 대비 2배 규모로 불어난 약 3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발란은 지난해 매출 감소까지 더해졌다. 소비자들의 명품 소비 감소와 더불어 쿠팡 등 대형 이커머스 업체들이 명품 시장에 뛰어들면서 경쟁이 치열해진 탓이다. 이에 지난해 발란의 매출액은 276억 원으로 전년 대비 30% 가까이 감소했다. 이는 발란이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한 2021년 891억 원과 비교해 3분의 1규모로 축소된 수준이다.

발란은 이미 2023년부터 큰 폭의 매출 감소 등을 겪으며 회사의 경영 상황에 대한 위기를 인식하고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 하지만 경영진들은 명확한 구조조정이나 수익성 개선 조치 없이 마케팅 비용 지출과 외형 확대에 집중하면서 재무 건전성을 더욱 악화시킨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발란은 지난해 중고 명품과 리빙, 키즈, 컨템포러리 패션 등 다양한 카테고리로 사업을 확장해 왔다. 아울러 쿠폰 발행 등을 전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손익 구조도 크게 악화됐다.

그결과 발란과 협력하고 있는 셀러들의 판매대금 수백억 원을 정산하지 못하는 지경에 이르게 됐다. 향후 미정산 사태가 지속될 경우 셀러들의 연쇄 도산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 그동안 발란에 투자했던 벤처캐피털(VC) 등도 수백 억원의 손실이 예상된다. 발란의 전체 누적 투자 유치 금액은 최근 700억 원 이상으로 파악된다.

이러한 미정산 사태가 지속될 경우 VC들은 사실상 투자금 전액을 감액해야 하는 상황이 놓인 것으로 보인다. 발란에 투자금을 댄 VC로는 미래에셋벤처투자(100790), 코오롱인베스트먼트, 컴퍼니케이(307930)파트너스, 우리벤처파트너스, 신한벤처투자, SBI인베스트먼트(019550), 제이비인베스트먼트 등이 있다. 또 전략적 투자자로 네이버(NAVER(035420))와 실리콘투(257720)도 참여했다. 각 VC들은 작게는 50억 원에서 크게는 100억 원 이상을 투자한 곳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나아가 이번 발란 사태가 다른 명품 커머스 업체들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커졌다는 점에서 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명품 커머스에 대한 소비자 신뢰가 흔들리면서 업계 전반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어서다. 한 명품 커머스 업체 관계자는 "그동안 발란의 경영 상황을 보면서 업계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현실화됐다"면서 "다른 업체들도 이제 신규 투자 유치는 물론 소비자들도 외면하게 될 것 같아 우려된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46506 의대생 복귀 행렬… “팔 한 짝 내놔야” vs “면허 걸어야” 갈등도 랭크뉴스 2025.03.31
46505 "도대체 언제 결론 내나"… 尹 선고일 안 잡히자 헌재에 따가운 시선 랭크뉴스 2025.03.31
46504 "속도가 생명" 돌변한 최상목…10조원 '필수 추경' 꺼냈다[Pick코노미] 랭크뉴스 2025.03.31
46503 오늘 의대생 복귀시한 '디데이'…집단휴학 사태 종결 여부 주목 랭크뉴스 2025.03.31
46502 늘어지는 헌재 선고… 여야 강경파만 득세 랭크뉴스 2025.03.31
46501 평의 한달 넘긴 尹탄핵심판 최장기록…이르면 내달 3~4일 선고 랭크뉴스 2025.03.31
46500 경북 휩쓴 '최악의 산불'… 실화자 징역·손해배상 가능성은? 랭크뉴스 2025.03.31
46499 마은혁 임명에 달린 野 '내각 총탄핵'... 한덕수 버티면 '국정 마비' 랭크뉴스 2025.03.31
46498 힘든 일은 로봇이…현대차 미국공장의 비밀 랭크뉴스 2025.03.31
46497 "믿고 수리 맡겼는데"…90대 할머니 도용 명의해 2억 빼돌린 휴대폰 대리점 직원 랭크뉴스 2025.03.31
46496 핀란드 대통령 "트럼프에 휴전일 설정 제안…4월20일 좋을듯" 랭크뉴스 2025.03.31
46495 과거 행적 캐고 집 앞서 시위… 사법 수난시대 랭크뉴스 2025.03.31
46494 “배달음식 잘못 먹었다가 죽을 수도”…요즘 유행한다는 무서운 '이 병' 뭐길래 랭크뉴스 2025.03.31
46493 "전도 받아 집 드나들어, 내연 관계인 줄"…스토커 오해받은 남성 무죄 랭크뉴스 2025.03.31
46492 미얀마 잔해 밑 ‘SOS’ 들려도 장비가 없다…“맨손으로라도 땅 파” 랭크뉴스 2025.03.31
46491 트럼프 "농담 아니다"…'美헌법 금지' 3선 도전 가능성 또 시사 랭크뉴스 2025.03.31
46490 “맨손으로 잔해 파헤쳐”···필사적 구조에도 ‘아비규환’ 미얀마 랭크뉴스 2025.03.31
46489 미얀마 군정, 지진 구호 중에도 공습…7명 사망 랭크뉴스 2025.03.31
46488 이란 대통령 ‘트럼프 서한’에 “핵 직접 협상은 안돼…간접 협상은 열려” 공식 답변 랭크뉴스 2025.03.31
46487 ‘1만명 사망 추정’ 미얀마 강진…“재난 타이밍, 이보다 더 나쁠 수 없다” 랭크뉴스 2025.03.31